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목차
Ⅳ. 배뇨장애
Ⅴ. 생식계장애
Ⅵ. 알러지 질환
Ⅶ. 근골격계장애
Ⅷ. 내분비장애
Ⅸ. 신경장애
Ⅹ. 눈, 귀 장애
Ⅺ. 피부장애
Ⅴ. 생식계장애
Ⅵ. 알러지 질환
Ⅶ. 근골격계장애
Ⅷ. 내분비장애
Ⅸ. 신경장애
Ⅹ. 눈, 귀 장애
Ⅺ. 피부장애
본문내용
) 치료
① 기생하는 이는 물론 이의 알까지도 모두 제거한다.
② Lindane이 포함되어 있는 샴푸로 감고 충분히 헹군 후 빗살이 있는 빗으로 식초에 담근 다음 머리카락에 남아있는 이와 알을 모두 제거한다.
③ 머리빗을 같이 사용하지 말고 불량하고 밀집된 환경에서 신체접촉으로 옮겨지므로 주의한다.
④ 음모슬증은 화장실의 용변보는 변기나 성적접촉에 의해 옮겨지므로 주의를 요한다.
2) 옴
개선이라고도 하며 인체 옴진드기에 의한 피부증상으로 진드기가 피부를 침투하여 조그만 선모양의 누공을 뚫는다.
(1) 증상: 옴에 접촉된지 4주 후에 나타난다.
① 심한 소양증: 취침전 저녁시간과 밤에 특히 심하다.
② 피부는 누공이 생기며 표피가 박리된다. 여기저기 긁은 자국과 같이 작은 수포성 구진이 산재해 있다.
③ 주로 손가락 사이, 손목, 전박, 겨드랑이, 허리, 등하부, 유방, 배꼽 주위, 남자의 생식기 주위에 발생한다.
(2) 치료
① 환자와 접촉한 사람은 모두 동시에 치료받도록 한다.
② 감염된 옷, 침구들을 소독한다.
③ Lindane이나 crotamiton을 밤에 자기 전에 목에서 발까지 전신에 바른다. 약을 바른 후에는 의복을 완전히 갈아입고 약은 12∼24시간 동안 그대로 두었다가 조심해서 닦아낸다. 24시간 간격으로 두 번 더 바른다. 다음날 저녁에 목욕을 시키고 옷을 갈아 입힌다.
7. 피부의 바이러스 감염 질환
1) 단순포진(Herpes simplex)
(1) 원인
herpes virus의 typeⅠ(구순포진), typeⅡ(음부포진)
(2) 증상: 발적, 무리진 수포→ 가피형성
(3) 치료
① 치료하지 않아도 1주일 정도면 자연히 낫는다.
② 급성기 때는 냉습포로 환부의 불편감 완화
③ 2차 세균 감염시 항생제
2) 대상포진(Herpes Zoster)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척수후근으로부터 나오는 신경절에 침범하는 동통을 수반하는 바이러스성 질환, 수두 virus(Varicella)가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저하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짐
(1) 임상적 특징
① 체온상승
② 침해받은 신경에 심한 동통이 있으며 신경을 방사한다.
③ 12∼24시간 내에 소낭이 생기고 화농하여 파열되며 카피가 형성된다. 어떤 소낭은 상흔없이 말라버린다.
④ 발진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척수후근 신경절로부터 나온 신경의 분포를 따라 일측성으로 나타난다.
⑤ 임상경과는 1∼3주, 치유기간은 7∼28일
⑥ 이 질환은 발생 후 첫 2∼3일간만 전염성이 있다.
⑦ 삼차신경의 눈 부위가 침범되면 각막 궤양, 홍채염, 공막염 등이 합병할 수 있다.
⑧ 대상포진은 전신질환(Hodgkin's disease, leukemia, cancer)과 관계가 있으므로 주의해서 관찰한다.
(2) 치료
① 신경염으로 인한 동통을 완화시킨다.
- 진통제 투여: 심한 포진 후 동통에 대해서는 신경절에 procain이나 alcohol 주사를 하거나 방사선 요법
- 항히스타민제 투여: 소양감 조절
- corticosteroid: 소염
- vitamin B12 투여
② 안정
③ 피부병소의 이차적 세균 감염 치료
④ 국소적 치료
- 찬습윤 dressing
- steroid 국소요법(이차적 감염이 있으면 투여하지 않는다)
⑤ 합병증의 유무를 살핀다.
- 계속되는 신경통
- 눈의 대상포진에 있어 안와의 동통은 이마로 방사됨
8. 피부의 세균성 감염 질환
1) 농가진
농가진은 표피에 국한된 화농성 병변으로 농즙이 다른 부분의 피부면에 접촉되면 새로운 발진이 생긴다.
(1) 원인: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등
(2) 증상: 홍반, 수포(얼굴, 손), 황색의 가피형성
(3) 간호
① 전염성이 높으므로 발진, 분비액이 다른 사람에게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수건, 이불격리)
② 환자가 발진에 손을 대지 않도록
③ 항생제: 페니실린 요법
2) 절종과 옹종
절종은 표피의 모낭염으로부터 모낭주위 진피, 피하지방까지 침범하는 화농성 염증, 옹종은 절종이 더 광범하고 깊은 피부조직까지 침범된 경우를 말한다.
(1) 원인
① 포도상구균 감염
② 여드름을 짜거나 털을 뽑아서 생긴 상처
③ 전신적 조건: 허약, 당뇨, 빈혈 등
(2) 증상
① 절종: 통증, 발진, 홍반, 농
② 옹종: 부풀어오르는 발진, 홍반, 통증이 심한 급성염증(목덜미, 등 뒤)
(3) 치료 및 간호
① hot wet socking
② penicillin, tetracycline
③ 영양식, 휴식, 정서적 긴장해소
④ 종기를 짜지 않도록 한다.
3) 봉와직염
진피와 피하조직을 침범하는 급만성 염증
(1) 원인: 연쇄상구균 감염이 많다.
(2) 증상: 발적, 동통, 발열 및 불쾌감, 홍반
(3) 치료: 안정, 항생제 투여, 해열제
9. 전신성 홍반성 낭창
1) 미국 류마치스 학회에서 내린 진단기준
(11개 중 4개 이상의 증상이 있으면 전신성 홍반성 낭창으로 확진한다.)
① 뺨의 발진: 고정된 뺨의 홍반(나비모양의 발진)
② 원판상 발진: 여러개의 모인 홍반성 병변
③ 광과민성: 태양광선 노출시 발진
④ 구강궤양: 구강과 비강에 동통없는 궤양
⑤ 기형이 동반되지 않는 관절염
⑥ 장막염: 늑막염, 심막염
⑦ 신장애: 지속적인 단백뇨
⑧ 신경장애: 신경증, 경련
⑨ 혈액장애: 용혈성 빈혈, 혈소판감소증, 백혈구감소증, 림프구감소증
⑩ 면역장애
⑪ 항핵항체
2) 피부보호 교육지침
① 부드러운 비누로 피부를 씻는다.
② 피부를 문지르지 말고 두드려서 완전히 말린다.
③ 건조한 피부에 로션을 자주 바른다.
④ 파우더나 다른 건조 유발물질을 피한다.
⑤ 수분이 많은 화장품을 사용한다.
⑥ 직접적인 태양노출을 피하고 다른 자외선 노출도 피한다.
⑦ 외출할 때는 챙이 넓은 모자, 긴소매 옷, 긴 바지를 착용한다.
⑧ 최소한 SPF 30°이상의 자외선 차단크림을 사용한다.
⑨ 노출된 부위의 피부와 발진을 매일 관찰한다.
10. 피부암 예방
① 태양광선에 노출되는 것 피하기
② 적절한 자외선 차단제 사용
③ 햇빛이 강한 야외에서는 모자, 불투명한 옷, 선글라스를 사용하기
④ 한달에 한번 피부 자가검진하기
⑤ 피부색, 병소의 크기, 모양, 감각, 특성의 변화가 있을 때 병원 방문하기
① 기생하는 이는 물론 이의 알까지도 모두 제거한다.
② Lindane이 포함되어 있는 샴푸로 감고 충분히 헹군 후 빗살이 있는 빗으로 식초에 담근 다음 머리카락에 남아있는 이와 알을 모두 제거한다.
③ 머리빗을 같이 사용하지 말고 불량하고 밀집된 환경에서 신체접촉으로 옮겨지므로 주의한다.
④ 음모슬증은 화장실의 용변보는 변기나 성적접촉에 의해 옮겨지므로 주의를 요한다.
2) 옴
개선이라고도 하며 인체 옴진드기에 의한 피부증상으로 진드기가 피부를 침투하여 조그만 선모양의 누공을 뚫는다.
(1) 증상: 옴에 접촉된지 4주 후에 나타난다.
① 심한 소양증: 취침전 저녁시간과 밤에 특히 심하다.
② 피부는 누공이 생기며 표피가 박리된다. 여기저기 긁은 자국과 같이 작은 수포성 구진이 산재해 있다.
③ 주로 손가락 사이, 손목, 전박, 겨드랑이, 허리, 등하부, 유방, 배꼽 주위, 남자의 생식기 주위에 발생한다.
(2) 치료
① 환자와 접촉한 사람은 모두 동시에 치료받도록 한다.
② 감염된 옷, 침구들을 소독한다.
③ Lindane이나 crotamiton을 밤에 자기 전에 목에서 발까지 전신에 바른다. 약을 바른 후에는 의복을 완전히 갈아입고 약은 12∼24시간 동안 그대로 두었다가 조심해서 닦아낸다. 24시간 간격으로 두 번 더 바른다. 다음날 저녁에 목욕을 시키고 옷을 갈아 입힌다.
7. 피부의 바이러스 감염 질환
1) 단순포진(Herpes simplex)
(1) 원인
herpes virus의 typeⅠ(구순포진), typeⅡ(음부포진)
(2) 증상: 발적, 무리진 수포→ 가피형성
(3) 치료
① 치료하지 않아도 1주일 정도면 자연히 낫는다.
② 급성기 때는 냉습포로 환부의 불편감 완화
③ 2차 세균 감염시 항생제
2) 대상포진(Herpes Zoster)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척수후근으로부터 나오는 신경절에 침범하는 동통을 수반하는 바이러스성 질환, 수두 virus(Varicella)가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저하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짐
(1) 임상적 특징
① 체온상승
② 침해받은 신경에 심한 동통이 있으며 신경을 방사한다.
③ 12∼24시간 내에 소낭이 생기고 화농하여 파열되며 카피가 형성된다. 어떤 소낭은 상흔없이 말라버린다.
④ 발진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척수후근 신경절로부터 나온 신경의 분포를 따라 일측성으로 나타난다.
⑤ 임상경과는 1∼3주, 치유기간은 7∼28일
⑥ 이 질환은 발생 후 첫 2∼3일간만 전염성이 있다.
⑦ 삼차신경의 눈 부위가 침범되면 각막 궤양, 홍채염, 공막염 등이 합병할 수 있다.
⑧ 대상포진은 전신질환(Hodgkin's disease, leukemia, cancer)과 관계가 있으므로 주의해서 관찰한다.
(2) 치료
① 신경염으로 인한 동통을 완화시킨다.
- 진통제 투여: 심한 포진 후 동통에 대해서는 신경절에 procain이나 alcohol 주사를 하거나 방사선 요법
- 항히스타민제 투여: 소양감 조절
- corticosteroid: 소염
- vitamin B12 투여
② 안정
③ 피부병소의 이차적 세균 감염 치료
④ 국소적 치료
- 찬습윤 dressing
- steroid 국소요법(이차적 감염이 있으면 투여하지 않는다)
⑤ 합병증의 유무를 살핀다.
- 계속되는 신경통
- 눈의 대상포진에 있어 안와의 동통은 이마로 방사됨
8. 피부의 세균성 감염 질환
1) 농가진
농가진은 표피에 국한된 화농성 병변으로 농즙이 다른 부분의 피부면에 접촉되면 새로운 발진이 생긴다.
(1) 원인: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등
(2) 증상: 홍반, 수포(얼굴, 손), 황색의 가피형성
(3) 간호
① 전염성이 높으므로 발진, 분비액이 다른 사람에게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수건, 이불격리)
② 환자가 발진에 손을 대지 않도록
③ 항생제: 페니실린 요법
2) 절종과 옹종
절종은 표피의 모낭염으로부터 모낭주위 진피, 피하지방까지 침범하는 화농성 염증, 옹종은 절종이 더 광범하고 깊은 피부조직까지 침범된 경우를 말한다.
(1) 원인
① 포도상구균 감염
② 여드름을 짜거나 털을 뽑아서 생긴 상처
③ 전신적 조건: 허약, 당뇨, 빈혈 등
(2) 증상
① 절종: 통증, 발진, 홍반, 농
② 옹종: 부풀어오르는 발진, 홍반, 통증이 심한 급성염증(목덜미, 등 뒤)
(3) 치료 및 간호
① hot wet socking
② penicillin, tetracycline
③ 영양식, 휴식, 정서적 긴장해소
④ 종기를 짜지 않도록 한다.
3) 봉와직염
진피와 피하조직을 침범하는 급만성 염증
(1) 원인: 연쇄상구균 감염이 많다.
(2) 증상: 발적, 동통, 발열 및 불쾌감, 홍반
(3) 치료: 안정, 항생제 투여, 해열제
9. 전신성 홍반성 낭창
1) 미국 류마치스 학회에서 내린 진단기준
(11개 중 4개 이상의 증상이 있으면 전신성 홍반성 낭창으로 확진한다.)
① 뺨의 발진: 고정된 뺨의 홍반(나비모양의 발진)
② 원판상 발진: 여러개의 모인 홍반성 병변
③ 광과민성: 태양광선 노출시 발진
④ 구강궤양: 구강과 비강에 동통없는 궤양
⑤ 기형이 동반되지 않는 관절염
⑥ 장막염: 늑막염, 심막염
⑦ 신장애: 지속적인 단백뇨
⑧ 신경장애: 신경증, 경련
⑨ 혈액장애: 용혈성 빈혈, 혈소판감소증, 백혈구감소증, 림프구감소증
⑩ 면역장애
⑪ 항핵항체
2) 피부보호 교육지침
① 부드러운 비누로 피부를 씻는다.
② 피부를 문지르지 말고 두드려서 완전히 말린다.
③ 건조한 피부에 로션을 자주 바른다.
④ 파우더나 다른 건조 유발물질을 피한다.
⑤ 수분이 많은 화장품을 사용한다.
⑥ 직접적인 태양노출을 피하고 다른 자외선 노출도 피한다.
⑦ 외출할 때는 챙이 넓은 모자, 긴소매 옷, 긴 바지를 착용한다.
⑧ 최소한 SPF 30°이상의 자외선 차단크림을 사용한다.
⑨ 노출된 부위의 피부와 발진을 매일 관찰한다.
10. 피부암 예방
① 태양광선에 노출되는 것 피하기
② 적절한 자외선 차단제 사용
③ 햇빛이 강한 야외에서는 모자, 불투명한 옷, 선글라스를 사용하기
④ 한달에 한번 피부 자가검진하기
⑤ 피부색, 병소의 크기, 모양, 감각, 특성의 변화가 있을 때 병원 방문하기
추천자료
신경외과,안과,비이인후과 약물
신경계 수술환자의 간호
신경전달물질과 감성
신경계 CNS, PNS, ANS의 구조 및 특징 신경학적 검사
[신경계간호] 신경계 환자 간호방법(중환자간호,무의식환자간호,실어증환자간호등)
[신경계, 뉴런, 시냅스, 반사, 뇌사, 식물인간, 말초신경계, 자율신경계, 신경, 뉴런반응]신...
[신경, 신경생물학, 신경생리학, 신경행동평가도구]신경과 신경생물학, 신경과 신경생리학, ...
[신경질환, 신경]신경질환(신경외과질환)과 뇌혈관질환, 뇌졸중, 신경질환(신경외과질환)과 ...
[신경해부학, 신경로, 뇌, 외상성뇌손상, 척수병변, 해부학, 신경, 신경해부]신경해부학과 신...
[자율신경계, 자율신경계 정의, 자율신경계 기능, 자율신경계 지배, 자율신경계 약물]자율신...
[신경계, 신경계 개념, 신경계 조직, 신경계 기능, 신경계 수술간호, 신경계 감염]신경계의 ...
[신체(인체), 신체(인체) 의미, 신체(인체)와 신체적성, 신체(인체)와 신체상, 신경계, 에너...
[의학신경해부 - 물리치료] 상위운동신경원증후군[upper motor neuron syndrome]에 관해
성인간호학(신경,근골격)국시요약 - [성인간호학Ⅲ 핵심정리] 신경계의 건강문제와 간호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