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독서 교육의 경향
2. 구성주의와 독서
3. 구성주의적 독서 교육의 원리
4. 구성주의 관점의 독서 교육의 실제
2. 구성주의와 독서
3. 구성주의적 독서 교육의 원리
4. 구성주의 관점의 독서 교육의 실제
본문내용
차(또는 모형)를 나누는 방식은 여러 가지일 것이다. 독서의 과정을 중심으로 나누어보면 독서 전, 독서 동안, 독서 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표 1 ] 구성주의 관점의 독서(읽기) 수업 절차
수업 절차
중요한 활동
독서 전
* 동기 유발하기
* 목표 구성하기(과제 부여)
* 자료 훑어보기
* 배경 경험(지식) 떠올리기
독서 동안
* 경험과 연관 짓기/자기 생각과 비교하기
* 읽는 과정을 점검하면서 읽기
* 협의하기
독서 후
* 읽은 것 정리하기
* 토론하기
* 다시 재정리하기
* 공표하기
여기에서 볼 수 있듯이 우선 독서 전에서 자기 나름대로 목표를 구성하는 것을 강조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교과서에 있는 목표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자기 나름대로 배울 내용을 설정해 보도록 했다. 그래서 '학습 목표 파악'이라는 말을 쓰지 않고 학습 목표 '구성'이라는 말을 썼다. 수업 이외의 장면에서 독서 교육을 할 때에도 책을 읽기 전에 자기 나름의 목표를 설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독서 전에 자료를 얼른 훑어보면서 자신의 경험을 떠올려 보고, 예측하는 활동을 강조했다. 그리고 독서 동안에는 계속해서 자기의 경험과 비교해 보고, 자신의 관점을 점검해 보게 함으로써 나름의 의미 구성 행위를 강조하도록 했다. 그리고 협의 활동을 강조하여 필요에 따라 독서 동안에도 동료나 교사와 협의를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독서 후에는 우선 읽은 것을 자기 나름대로 정리해 본 다음, 그것에 대해 서로 토론해 보는 활동을 강조했다. 토론 후에는 다시 재정리해 보고, 정리한 것을 공표해 보는 활동을 강조했다. 공표는 여러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는데, 예를 들어 교실 뒤쪽에 게시해 두거나 아니면 문집 형태로 꾸밀 수도 있다. 또는 가족 신문 형태로 꾸밀 수도 있다. 이런 점을 강조함으로써 자기가 한 것에 대해 자부심을 갖게 하고 여러 사람들이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교실을 하나의 독서 문화 공간으로 구성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이다.
나. 독서 수업 절차의 적용 예
앞에서 살펴본 독서 수업 절차를 서울의 어느 초등학교에서 실제로 적용해 보았던 것을 간단하게 예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 <단원>
초등학교 5-2 <읽기> 14. 전해 오는 이야기들(도둑을 회개시킨 삶)
* <이야기의 줄거리>
어느 날 도둑이 홍참봉 집에 물건을 훔치러 갔는데, 홍참봉이 너무 가난하게 살아서 훔칠만한 것이 없었다. 도둑은 동정심이 생겨 오히려 다섯 냥을 솥 속에 넣어 두고 나왔다. 다음 날 아침 이것을 본 것을 홍참봉 부인이 하늘이 도운 것이니 이것을 가지고 밥을 해 먹자고 했다. 그러나 홍참봉은 당치않은 일이라고 하면서 집 앞에 방을 붙이게 했다. 그 방을 본 도둑이 감동을 받아 홍참봉에게 그 사실대로 이야기했고, 그 이후에 서로 잘 지내게 되었다.
* <수업 과정별 주요 활동>
활동
절차
주요 교수 학습 활동
독서 전
<동기 유발>
도둑에 관한 이야기해 보기
교사가 도둑에 관한 이야기 말하기(착한 도둑)
<목표 설정하기>
이번 시간에 무엇에 대해 공부하면 좋을지 의논해 보기
- 책 대충 읽어보기
- 교과서에 제시된 목표 살펴보기
- 이번 시간에 공부할 목표 구성하기(조별 토의 후에 각자 설정)
<자료 훑어보기>
5분간 책이 있는 내용을 살펴보기
<배경 경험 떠올리기>
등장인물의 성격에 대한 경험 떠올리기(놀부 흥부전을 예로 하여)
정직하게 산 사람에 관해 읽었던 경험 말해 보기
독서
<경험과 관련짓기>
궤간을 다니며 경험과 관련지으며 읽도록 유도하기
경험과 다른 점에 대해 간단히 질문하기
<점검하면서 읽기>
간단하게 학생에게 질문을 던짐(너 지금 무슨 생각을 하면서 읽니?)
서로에게 질문을 해 보게 함
생각난 것을 교과서 여백에 간단히 써 보게 함
<협의하기>
중간 중간에 자율적으로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어 보게 함
(자기가 느낀 것, 어려운 낱말, 잘 이해가 안 되는 부분)
독서 후
<읽은 것 정리하기>
줄거리 요약하기(발표)
각 인물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 나누기
느낀 점 말하기(발표)
<청문회 활동하기>
참여할 학생 선정하기(도둑, 홍참봉, 홍참봉 부인 역할)
앞에 나와서 자리에 앉은 다음, 각자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를 함
(예: 나는 도둑인데요. 홍참봉이 가난하게 사는 것을 보니 불쌍해졌어요. 그래서......)
동료들이 질문을 하고, 등장인물은 대답을 함
<토론하기>
역할을 맡은 학생과 동료 학생들에게 함께 토론해 보았으면 하는 문제를 제안하게 함.
교사가 한두 문제를 제안하여 토론을 함
<삶과 관련짓기>
홍참봉처럼 사는 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눔(홍참봉처럼은 살지 않겠다는 학생이 다수 나왔음)
왜 그런지 말해 보게 함.
반대의 생각을 가진 사람의 이야기를 들음
서로의 생각에 대해 다시 토론을 진행함
<다시 재정리하기>
등장인물의 성격을 말해 보게 함.
나라면 어떻게 할지, 이 사람처럼 산다면 내 생활에서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지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함.
<공표하기>
이야기를 읽고 느낀 점이나 다른 친구들에게 말하고 싶은 것이 있으면 써서 쪽지편지를 보내거나 교실 뒤쪽에 게시해 두게 함.
* <수업에서의 유의점>
2차시를 연속 수업으로 진행했다. <읽기> 교과서의 경우, 2-3차시를 묶어서 진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때가 많다.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목표는 '등장인물의 성격 파악하기'였는데, 오로지 여기에만 매달리는 것은 곤란할 것이다. 여기에서 초점을 맞추되, 이야기 전체를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이 이야기를 읽고 난 다음에 이와 유사한 이야기의 목록을 제공하여 읽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그리고 가능하면 학생들이 읽은 이야기를 소집단별로나 전체 친구들이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면 좋을 것이다.
홍참봉은 훌륭하지만 나는 절대로 홍참봉처럼 가난하게 살지 않겠다는 학생들이 많았는데, 이 문제에 대해 여러 각도에서 이야기를 나누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자신의 삶과 관련지으면서 말이다. 무조건 도덕적인 교훈만을 전달하려고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재승>
계좌번호: 724-02-106824(농협중앙회)
[ 표 1 ] 구성주의 관점의 독서(읽기) 수업 절차
수업 절차
중요한 활동
독서 전
* 동기 유발하기
* 목표 구성하기(과제 부여)
* 자료 훑어보기
* 배경 경험(지식) 떠올리기
독서 동안
* 경험과 연관 짓기/자기 생각과 비교하기
* 읽는 과정을 점검하면서 읽기
* 협의하기
독서 후
* 읽은 것 정리하기
* 토론하기
* 다시 재정리하기
* 공표하기
여기에서 볼 수 있듯이 우선 독서 전에서 자기 나름대로 목표를 구성하는 것을 강조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교과서에 있는 목표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자기 나름대로 배울 내용을 설정해 보도록 했다. 그래서 '학습 목표 파악'이라는 말을 쓰지 않고 학습 목표 '구성'이라는 말을 썼다. 수업 이외의 장면에서 독서 교육을 할 때에도 책을 읽기 전에 자기 나름의 목표를 설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독서 전에 자료를 얼른 훑어보면서 자신의 경험을 떠올려 보고, 예측하는 활동을 강조했다. 그리고 독서 동안에는 계속해서 자기의 경험과 비교해 보고, 자신의 관점을 점검해 보게 함으로써 나름의 의미 구성 행위를 강조하도록 했다. 그리고 협의 활동을 강조하여 필요에 따라 독서 동안에도 동료나 교사와 협의를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독서 후에는 우선 읽은 것을 자기 나름대로 정리해 본 다음, 그것에 대해 서로 토론해 보는 활동을 강조했다. 토론 후에는 다시 재정리해 보고, 정리한 것을 공표해 보는 활동을 강조했다. 공표는 여러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는데, 예를 들어 교실 뒤쪽에 게시해 두거나 아니면 문집 형태로 꾸밀 수도 있다. 또는 가족 신문 형태로 꾸밀 수도 있다. 이런 점을 강조함으로써 자기가 한 것에 대해 자부심을 갖게 하고 여러 사람들이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교실을 하나의 독서 문화 공간으로 구성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이다.
나. 독서 수업 절차의 적용 예
앞에서 살펴본 독서 수업 절차를 서울의 어느 초등학교에서 실제로 적용해 보았던 것을 간단하게 예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 <단원>
초등학교 5-2 <읽기> 14. 전해 오는 이야기들(도둑을 회개시킨 삶)
* <이야기의 줄거리>
어느 날 도둑이 홍참봉 집에 물건을 훔치러 갔는데, 홍참봉이 너무 가난하게 살아서 훔칠만한 것이 없었다. 도둑은 동정심이 생겨 오히려 다섯 냥을 솥 속에 넣어 두고 나왔다. 다음 날 아침 이것을 본 것을 홍참봉 부인이 하늘이 도운 것이니 이것을 가지고 밥을 해 먹자고 했다. 그러나 홍참봉은 당치않은 일이라고 하면서 집 앞에 방을 붙이게 했다. 그 방을 본 도둑이 감동을 받아 홍참봉에게 그 사실대로 이야기했고, 그 이후에 서로 잘 지내게 되었다.
* <수업 과정별 주요 활동>
활동
절차
주요 교수 학습 활동
독서 전
<동기 유발>
도둑에 관한 이야기해 보기
교사가 도둑에 관한 이야기 말하기(착한 도둑)
<목표 설정하기>
이번 시간에 무엇에 대해 공부하면 좋을지 의논해 보기
- 책 대충 읽어보기
- 교과서에 제시된 목표 살펴보기
- 이번 시간에 공부할 목표 구성하기(조별 토의 후에 각자 설정)
<자료 훑어보기>
5분간 책이 있는 내용을 살펴보기
<배경 경험 떠올리기>
등장인물의 성격에 대한 경험 떠올리기(놀부 흥부전을 예로 하여)
정직하게 산 사람에 관해 읽었던 경험 말해 보기
독서
<경험과 관련짓기>
궤간을 다니며 경험과 관련지으며 읽도록 유도하기
경험과 다른 점에 대해 간단히 질문하기
<점검하면서 읽기>
간단하게 학생에게 질문을 던짐(너 지금 무슨 생각을 하면서 읽니?)
서로에게 질문을 해 보게 함
생각난 것을 교과서 여백에 간단히 써 보게 함
<협의하기>
중간 중간에 자율적으로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어 보게 함
(자기가 느낀 것, 어려운 낱말, 잘 이해가 안 되는 부분)
독서 후
<읽은 것 정리하기>
줄거리 요약하기(발표)
각 인물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 나누기
느낀 점 말하기(발표)
<청문회 활동하기>
참여할 학생 선정하기(도둑, 홍참봉, 홍참봉 부인 역할)
앞에 나와서 자리에 앉은 다음, 각자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를 함
(예: 나는 도둑인데요. 홍참봉이 가난하게 사는 것을 보니 불쌍해졌어요. 그래서......)
동료들이 질문을 하고, 등장인물은 대답을 함
<토론하기>
역할을 맡은 학생과 동료 학생들에게 함께 토론해 보았으면 하는 문제를 제안하게 함.
교사가 한두 문제를 제안하여 토론을 함
<삶과 관련짓기>
홍참봉처럼 사는 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눔(홍참봉처럼은 살지 않겠다는 학생이 다수 나왔음)
왜 그런지 말해 보게 함.
반대의 생각을 가진 사람의 이야기를 들음
서로의 생각에 대해 다시 토론을 진행함
<다시 재정리하기>
등장인물의 성격을 말해 보게 함.
나라면 어떻게 할지, 이 사람처럼 산다면 내 생활에서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지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함.
<공표하기>
이야기를 읽고 느낀 점이나 다른 친구들에게 말하고 싶은 것이 있으면 써서 쪽지편지를 보내거나 교실 뒤쪽에 게시해 두게 함.
* <수업에서의 유의점>
2차시를 연속 수업으로 진행했다. <읽기> 교과서의 경우, 2-3차시를 묶어서 진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때가 많다.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목표는 '등장인물의 성격 파악하기'였는데, 오로지 여기에만 매달리는 것은 곤란할 것이다. 여기에서 초점을 맞추되, 이야기 전체를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이 이야기를 읽고 난 다음에 이와 유사한 이야기의 목록을 제공하여 읽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그리고 가능하면 학생들이 읽은 이야기를 소집단별로나 전체 친구들이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면 좋을 것이다.
홍참봉은 훌륭하지만 나는 절대로 홍참봉처럼 가난하게 살지 않겠다는 학생들이 많았는데, 이 문제에 대해 여러 각도에서 이야기를 나누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자신의 삶과 관련지으면서 말이다. 무조건 도덕적인 교훈만을 전달하려고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재승>
계좌번호: 724-02-106824(농협중앙회)
추천자료
서술적 정체성, 놀이, 독서(이야기)교육 : 독서교육 이야기교육
[독서지도][독서교육][독서][책][독서지도방법][독서교육방법]독서지도(독서교육) 심층 고찰(...
아동 독서교육, 독서지도를 위한 독서기록장
[유아기][유아][유아관리][유아기관리]유아기의 피부관리, 유아기의 건강지도(건강교육), 유...
[교육학A+]초등학생 대상 초등교육 독서지도(독서교육) 사례발표
[교실수업개선]교실수업개선의 의미, 교실수업개선의 중요성과 교실수업개선을 위한 국어과 I...
[즐거운생활]즐거운생활 교과 교육중점과 교육목표, 즐거운생활 교과의 수업과정, 즐거운생활...
자기주도적학습력의 정의와 가치, 자기주도적학습력과 수준별교육과정, 자기주도적학습력과 ...
[슬기로운생활]초등학교1학년 슬기로운생활 교과의 지도중점과 지도내용, 초등학교1학년 슬기...
[논술][윤리교육][독서교육][논술의 요령][논술의 사례][논술의 신장 방안]논술의 의미, 논술...
중고등학생의 독후감, 독서결과물에 대한 지도방법 및 독서교육 증진방안[A+ 평가 레포트★★★★★]
[아동문학] 마음에 드는 한 권의 그림책을 선정하여 그 그림책과 짝지어 읽을 그림책을 선택...
[아동문학] 유아기 독서 교육 활동에서 사전활동과 사후 활동을 요약하시오 (독서교육과 관련...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프로그램 사례 - 외국의 다문화교육프로그램(미국, 일본), 우리나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