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불교(佛敎)와 경제(經濟)
1. 종교와 경제
2. 원시불교의 경제윤리
3. 불교의 경제관
Ⅲ. 선(禪)과 경제
1. 불교와 선
2. 선과 경제
Ⅳ. 경제문제의 선(禪)적인 해결
1. 현대 경제문제의 본질
2. 경제윤리와 선정(禪定)
3. 선(禪)적인 해결
Ⅴ. 맺음말
Ⅱ. 불교(佛敎)와 경제(經濟)
1. 종교와 경제
2. 원시불교의 경제윤리
3. 불교의 경제관
Ⅲ. 선(禪)과 경제
1. 불교와 선
2. 선과 경제
Ⅳ. 경제문제의 선(禪)적인 해결
1. 현대 경제문제의 본질
2. 경제윤리와 선정(禪定)
3. 선(禪)적인 해결
Ⅴ. 맺음말
본문내용
서 선(禪)을 그리고 선속에서 인간생활을 찾으려 했다는 점은 현대의 경제생활에 있어서 커다란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아무튼 보살은 육바라밀을 구도(求道)의 실천행으로 삼아야 하며, 선사상에서 보시(布施)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다뤄진다. 타종교에도 불교의 보시와 유사한 헌금제도가 있다. 그 한 예로 이슬람의 자카트는 무이자은행(無利子銀行, interest-free banking)이라는 형태로 발전하여 금융기관으로 새롭게 자리잡고 있다. 이슬람의 자카트보다 자율적인 기능을 갖고 있는 보시(布施)의 재원을 금융화하는 것이 하나의 새로운 대안(代案)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일종의 '불교은행(佛敎銀行, Buddhist Banking)'과 같은 금융기관의 설립을 경제문제에 대한 하나의 실천적인 해결책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화엄경(華嚴經)은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들에게 있어서 커다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參考文獻
강연심 譯. ___. [禪]. 전남 승주: 불일출판사.
高聖焄. 1985. [반야심경의 해설]. 해남: 우리出版社.
광덕 역주. 1991. [禪關策進](운서주굉 지음). 서울: 불광출판부.
교양교재편찬위원회 편. 1999. [禪과 自我].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金東華. 1992. [原始佛敎思想]. 서울; 寶蓮閣.
金宇正 譯. 1982. [西洋思想에서 본 佛敎(上)-現代佛敎新書 41](M. O. C. 월슈 著. 서울: 東國大學校佛典刊行委員會.
김진현 譯. 1997. [자본주의 정신과 반자본주의 정신](Ludwig von Mises. 1979. Economic Policy: Thoughts for Today and Tomorrow. 1972. The Anti-Capitalistic Mentality). 서울: 자유기업센터.
金雲學. 1982. [生活人의 佛敎-現代佛敎新書 43]. 서울: 東國大學校佛典刊行委員會.
金日坤. [儒敎文化圈의 秩序와 經濟]. 서울: 韓國經濟新聞社.
金鐘澈 譯. 1986. [宗敎와 資本主義의 發興](R.H. Henry Tawney, 1980, Religion and the Rise of Capitalism). 서울: 한길사.
김정우 譯. 1987. [불교와 경제](Schumacher, E.F. Small is Beautiful: Economics as if People Mattered). 서울: 대원정사.
돈연 편저. 1993. [잡아함경]. 경남 합천: 海印寺 出版部.
東嚴 譯. 3016(불기). [禪家龜鑑]. 충북진천: 공림사.
朴京俊 譯. 1992. [原始佛敎 思想論](木村泰鉉 著). 서울: 경서원.
박경준, 이영근 譯. 1992. [불교사회 경제학]. 서울: 불교시대사.
박순성, 강신욱 譯. 2000. [윤리학과 경제학](On Ethics and Economics). 서울: 한울.
法頂 譯. 1993. [밖에서 찾지말라 -普照禪師 법어-]. 전남 승주: 불일출판사.
法頂 譯. 1993. [깨달음의 거울 -禪家龜鑑-](西山 著). 전남 승주: 불일출판사.
法頂 隨想集. 1993. [버리고 떠나기]. 서울: 샘터.
仰. 1985. [禪의 秘密]. 서울: 宣文出版社.
불일출판사 편집부 譯. [현대인을 위한 佛敎](平川 彰 著). 전남 승주: 불일출판사.
宋錫球. 1986. [韓國의 儒彿思想]. 서울: 思社硏.
沈義燮, 洪性敏. 1987. 韓國社會와 이슬람 共同體의 傳統的 私金融에 관한 硏究. 『韓 國經濟學會論文集』. 韓國經濟學會.
沈義燮, 洪性敏. 1987. [현대 이슬람經濟論]. 서울 集文堂.
양기봉, 譯, 1998. [현대인과 禪]. 서울: 대원정사.
여래 편집부 譯. 1991. [불교에서 본 경제사상](宮坂有勝 著). 서울: 도서출판 여래.
유필화. 1997. [부처에게서 배우는 경영의 지혜]. 서울: 한ㆍ언.
이남재 譯. 1999. [禪에서 배우는 經營]. 서울: 도서출판 여래.
이성순 譯. 1997. [경쟁과 기업가정신](Israel M. Kirzner. 1973. Competition and Entrepreneurship). 서울: 자유기업센타.
이종욱, 유주현 譯. 1997. [시장의 도덕](Harry Burrows Acton, The Morals of Markets). 서울: 자유기업센터.
日陀. 1992. [범망계 보살계]. 서울: 다라니.
장대환 감역. 2000. [21세기 예측](Klaus Schwab. ed. Overcoming Indifference). 서울: 매 일경제신문사.
전운성 譯. 2000. [경제학은 왜 자연의 무한함을 전제로 했는가](中村 修 著, 1995). 서울: 한울아카데미.
鄭泰赫, 譯. 1993. [原始佛敎-그 思想과 生活](中村 元, 1970). 서울: 東文選.
靑潭大宗師. 1993. [人生은 無所有]. 서울: 三育出版社.
許鐘烈 譯, 1994. [가톨릭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Michael Novak, 1933, The Catholic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1933). 서울: 韓國經濟新聞社.
玄鋒 譯. 1994. [禪에서 본 반야심경 - 大顚和尙注心經]. 전남 승주: 불일출판사.
형선호 譯. 1999. [세계자본주의의 위기](George Soros. 1998. The Crisis of Global Capitalism). 서울: 김영사.
洪性敏. 1984. 이슬람의 자카트(Zakhat)와 利子에 관한 硏究. 『韓國中東學會論叢』. 第5 號. 韓國中東學會.
洪性敏. 1985. 이슬람의 無利子銀行 : 그 特性과 課題. 『韓國中東學會論叢』. 第6號. 韓 國中東學會.
洪性敏. 1991. [中東經濟論]. 서울: 明志出版社.
홍준기, 이승미 譯. 1998. [욕망의 전복](Peter Widmer, 1990, Subersion des Begehrens). 서울: 한울아카데미.
Jones, Donald G. 1982. Business, Religion, and Ethics. Cambridge, Massachusetts: Oelgeschlager, Gunn & Hain, Publishers, Inc.
아무튼 보살은 육바라밀을 구도(求道)의 실천행으로 삼아야 하며, 선사상에서 보시(布施)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다뤄진다. 타종교에도 불교의 보시와 유사한 헌금제도가 있다. 그 한 예로 이슬람의 자카트는 무이자은행(無利子銀行, interest-free banking)이라는 형태로 발전하여 금융기관으로 새롭게 자리잡고 있다. 이슬람의 자카트보다 자율적인 기능을 갖고 있는 보시(布施)의 재원을 금융화하는 것이 하나의 새로운 대안(代案)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일종의 '불교은행(佛敎銀行, Buddhist Banking)'과 같은 금융기관의 설립을 경제문제에 대한 하나의 실천적인 해결책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화엄경(華嚴經)은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들에게 있어서 커다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參考文獻
강연심 譯. ___. [禪]. 전남 승주: 불일출판사.
高聖焄. 1985. [반야심경의 해설]. 해남: 우리出版社.
광덕 역주. 1991. [禪關策進](운서주굉 지음). 서울: 불광출판부.
교양교재편찬위원회 편. 1999. [禪과 自我].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金東華. 1992. [原始佛敎思想]. 서울; 寶蓮閣.
金宇正 譯. 1982. [西洋思想에서 본 佛敎(上)-現代佛敎新書 41](M. O. C. 월슈 著. 서울: 東國大學校佛典刊行委員會.
김진현 譯. 1997. [자본주의 정신과 반자본주의 정신](Ludwig von Mises. 1979. Economic Policy: Thoughts for Today and Tomorrow. 1972. The Anti-Capitalistic Mentality). 서울: 자유기업센터.
金雲學. 1982. [生活人의 佛敎-現代佛敎新書 43]. 서울: 東國大學校佛典刊行委員會.
金日坤. [儒敎文化圈의 秩序와 經濟]. 서울: 韓國經濟新聞社.
金鐘澈 譯. 1986. [宗敎와 資本主義의 發興](R.H. Henry Tawney, 1980, Religion and the Rise of Capitalism). 서울: 한길사.
김정우 譯. 1987. [불교와 경제](Schumacher, E.F. Small is Beautiful: Economics as if People Mattered). 서울: 대원정사.
돈연 편저. 1993. [잡아함경]. 경남 합천: 海印寺 出版部.
東嚴 譯. 3016(불기). [禪家龜鑑]. 충북진천: 공림사.
朴京俊 譯. 1992. [原始佛敎 思想論](木村泰鉉 著). 서울: 경서원.
박경준, 이영근 譯. 1992. [불교사회 경제학]. 서울: 불교시대사.
박순성, 강신욱 譯. 2000. [윤리학과 경제학](On Ethics and Economics). 서울: 한울.
法頂 譯. 1993. [밖에서 찾지말라 -普照禪師 법어-]. 전남 승주: 불일출판사.
法頂 譯. 1993. [깨달음의 거울 -禪家龜鑑-](西山 著). 전남 승주: 불일출판사.
法頂 隨想集. 1993. [버리고 떠나기]. 서울: 샘터.
仰. 1985. [禪의 秘密]. 서울: 宣文出版社.
불일출판사 편집부 譯. [현대인을 위한 佛敎](平川 彰 著). 전남 승주: 불일출판사.
宋錫球. 1986. [韓國의 儒彿思想]. 서울: 思社硏.
沈義燮, 洪性敏. 1987. 韓國社會와 이슬람 共同體의 傳統的 私金融에 관한 硏究. 『韓 國經濟學會論文集』. 韓國經濟學會.
沈義燮, 洪性敏. 1987. [현대 이슬람經濟論]. 서울 集文堂.
양기봉, 譯, 1998. [현대인과 禪]. 서울: 대원정사.
여래 편집부 譯. 1991. [불교에서 본 경제사상](宮坂有勝 著). 서울: 도서출판 여래.
유필화. 1997. [부처에게서 배우는 경영의 지혜]. 서울: 한ㆍ언.
이남재 譯. 1999. [禪에서 배우는 經營]. 서울: 도서출판 여래.
이성순 譯. 1997. [경쟁과 기업가정신](Israel M. Kirzner. 1973. Competition and Entrepreneurship). 서울: 자유기업센타.
이종욱, 유주현 譯. 1997. [시장의 도덕](Harry Burrows Acton, The Morals of Markets). 서울: 자유기업센터.
日陀. 1992. [범망계 보살계]. 서울: 다라니.
장대환 감역. 2000. [21세기 예측](Klaus Schwab. ed. Overcoming Indifference). 서울: 매 일경제신문사.
전운성 譯. 2000. [경제학은 왜 자연의 무한함을 전제로 했는가](中村 修 著, 1995). 서울: 한울아카데미.
鄭泰赫, 譯. 1993. [原始佛敎-그 思想과 生活](中村 元, 1970). 서울: 東文選.
靑潭大宗師. 1993. [人生은 無所有]. 서울: 三育出版社.
許鐘烈 譯, 1994. [가톨릭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Michael Novak, 1933, The Catholic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1933). 서울: 韓國經濟新聞社.
玄鋒 譯. 1994. [禪에서 본 반야심경 - 大顚和尙注心經]. 전남 승주: 불일출판사.
형선호 譯. 1999. [세계자본주의의 위기](George Soros. 1998. The Crisis of Global Capitalism). 서울: 김영사.
洪性敏. 1984. 이슬람의 자카트(Zakhat)와 利子에 관한 硏究. 『韓國中東學會論叢』. 第5 號. 韓國中東學會.
洪性敏. 1985. 이슬람의 無利子銀行 : 그 特性과 課題. 『韓國中東學會論叢』. 第6號. 韓 國中東學會.
洪性敏. 1991. [中東經濟論]. 서울: 明志出版社.
홍준기, 이승미 譯. 1998. [욕망의 전복](Peter Widmer, 1990, Subersion des Begehrens). 서울: 한울아카데미.
Jones, Donald G. 1982. Business, Religion, and Ethics. Cambridge, Massachusetts: Oelgeschlager, Gunn & Hain, Publishers, Inc.
키워드
추천자료
[경제불황]경제불황의 개념, 경제불황기 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경영전략, 경제불황기 탈출...
[사회주의시장경제]사회주의시장경제의 성립과 역사, 사회주의시장경제의 특징, 사회주의시장...
[시장경제][시장경제의 정의][시장경제의 형성][시장경제의 진화][시장경제의 원칙][시장경제...
[경제학][노동경제학][경영경제학][고전경제학][후생경제학][경제성공학][경제사회학][경제지...
[경제학][경제학 원리][경제학 영역][경제학 연구대상][경제학자][보이지않는손]경제학의 유...
[경제교육][유아경제교육][일본 경제교육 사례]경제교육의 정의, 경제교육의 목표, 경제교육...
[경제보도][경제학][경제보도 문제점][잘못된 경제보도 사례]경제보도의 특징, 경제보도의 역...
고전학파 경제학 존 스튜어트 밀의 일생과 자유론, 고전학파 경제학 존 스튜어트 밀의 경제사...
고전학파 경제학 아담 스미스 사회경제사상과 동감이론, 고전학파 경제학 아담 스미스 자본 ...
[경제교육][경제의식][경제문제해결력]경제교육의 중요성, 경제교육의 기본 방향, 경제교육과...
[경제교육][경제의식][상생경제교육]경제교육의 배경, 경제교육의 중요성, 경제교육의 목적, ...
[거시경제학][실업][정치][재정분권화][수요공급곡선][경제안정화정책][신용위험]실업 거시경...
[법경제학][저작권][디지털방송정책][코즈정리]저작권의 법경제학, 디지털방송정책의 법경제...
법과 경제학의 이해 - 경제학이란, 법과 법학, 법에 대한 경제학의 적용, 법과 경제학 연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