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관점에서 본 장애인 교육을 위한 테크놀러지의 활용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2. 구성주의에서의 테크놀러지와 교육
1) 구성주의에서의 학습 원칙
2) 구성주의에 입각한 테크놀러지의 활용

3. 장애인교육과 테크놀러지의 활용

본문내용

학생들은 단서를 이용하여 30군데의 도시 중 한 곳에 숨어있는 도둑을 찾아내는 탐정들이다.
주제영역: 문제해결과 논리적 사고 ; 지리
학년수준: 5학년 이상
1. 목표
A. 단서를 가지고 미스테리를 해결하는 동안 학생들은 문제 해결 기능과 논리적 사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B. 학생들은 참고도구로 사전과 세계 연감을 사용할 수 있다.
C. 학생들은 그들의 지리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줄 자료들을 얻을 것이다.
D. 학생들은 그들이 취할 행동을 지지하는 이유를 팀멤버들에게 묻고 답변을 경청한다.
2. 필요한 자료들. 프로그램 Carmen Sandiego는 세계의 어디에 있을까? 안내서, 세계연 감, 사전, 경찰 일건서류 소책자, 종이와 연필, 병, 작업카드, 평가서
3. 소요시간: 매 활동당 1 학습 시간
4. 과정
A. 준비
1. 필요한 자료들을 모은다.
2. 프로그램 Carmen Sandiego는 세계의 어디에 있을까?를 연습하고 몇 가지 사례들 을 풀어본다.
B. 착수
1. 학생들에게 TV에서 본 적이 있는 미스테리 프로그램들에 대하여 물어본다. 탐정의 역할에 대하여 물어본다.
2. 제임스 본드로 항상 과제를 시작한다. 오늘은 여러분이 도둑을 잡을 과제를 맡는 다. 여러분은 미스테리를 풀기 위하여 Carmen Sandiego의 갱에 관한 단서와 도시 와 국가들에 대한 단서들을 사용할 것이다. 팀을 이루어 함께 조사를 할 것이다.
C. INPUT
1. 학급 전체가 프로그램 Carmen Sandiego는 세계의 어디에 있을까?를 사용하여 사 건을 해결한다. 메뉴옵션을 결정하기 위하여 세 가지 무작위 질문을 한다. 그리고 나서 다음 옵션을 위해 또 다른 세 명의 학생들을 사용한다.
2. 그 다음엔 무엇을 해야할지 세 명의 학생에게 묻는다; 각 각에게 결정한 이유를 묻 고 답변을 잘 듣는다. 사건을 해결하기 위한 다음 행동에 대한 동의를 구한다.
추가 결정과 세 명의 학생들로부터의 추가 아이디어들에 대하여 이 과정을 반복한 다.
3. 이질적인 팀들로 학생들을 나눈다.
4. 그룹목표를 정한다. "여러분의 팀이 오늘 도둑을 잡기 위해 사건과제에 함께 일할 것이다. 연감, 사전, 경찰 일건서류 소책자, 그리고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힌트들 을 얻어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할 때, 각 멤버에게 아이 디어를 물어보고 답변을 잘 듣는다. 그리고 나서 행동과정에 대한 동의를 한다.
5. 각 컴퓨터에는 과제완수를 돕기위한 작업카드가 있다. 각 팀멥버들에게 카드를 나 눠준다. 참고인과 기록자에게 제안을 할 수도 있다. 여러분 모두 사회적 기능을 사 용하여 이유에 대한 문을 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잘 듣는다.
6. 도둑을 잡는 모든 그룹은 병에 구슬을 넣도록 허락받을 것이다. 병이 구슬로 가득 차게되면 학급파티를 열 것이다. 그때까지는 구슬을 넣는 모든 그룹에게 점심시간 에 앞줄에 설 수 있는 날을 하루 줄 것이다.
D. 유도 실습
1. 학생들이 도둑을 잡기 위해 팀을 만들어 일할 것이다.
2. 교사는 팀멤버들이 다른 멤버에게 그들의 아이디어에 대한 이유를 묻는 단계들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또한 교사는 학생들이 다른 학생의 답변을 잘 듣는지 기록한다.
E. 종결
1. 각 학생들은 평가서를 작성한다.
2. 교사는 학급의 전체 학생들에게 각 팀의 그룹작업에 대한 논평을 부탁한다. 그 다 음으로는 교사는 학생들의 논평과 질문에 대하여 사례를 들어가며 조언을 주고, 답 변을 듣는 태도에 대하여 논평을 한다.
F. 자습
1. 각 팀은 연속적으로 매일 추가사건들을 해결하며 사건을 해결할 때마다 병에 구술 을 넣는다. (강화와 보상)
2. 수업 시작 전이나, 방과 후, 혹은 스케줄이 없는 때를 골라 팀멤버들이 모여 함께 사건을 해결할 수 있다.
Carmen Sandiego는 세계의 어디에 있을까?를 위한 필기 안내
국가 수도 인구 지리 국기 화폐 생산품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교육과정과의 연계된 프로그램 개발
Sheingold(1991)는 그의 논문에서 테크놀러지와 교육과정의 밀접한 관계를 "테크놀러지가 학급 수업목표와 학급활동에 연계되지 않으면 아무리 잘 짜여진 프로그램이라도 결코 교육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가 없으며, 학급 수업목표와 학급활동은 전적으로 교육과정에 의해서 만들어진다"(p. 20)고 기술하고 있다. 많은 상업용 교수·학습 소프트웨어들이 특수학급이나 특수학교에서 그다지 호응을 받지 못한 것은 그러한 프로그램이 교육과정 중심으로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테크놀러지가 교육과정에 연계된다는 것은 쉽게 설명하자면 학생이 책상에서 교과서를 갖고 공부하는 목표와 내용을 그대로 컴퓨터에 옮겨놓는 것이며 여기에 여러 가지 다양한 매체와 소프트웨어를 첨가시켜 교육적인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교육과정을 테크놀러지에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테크놀러지를 교육과정에 적용시키는 것이다.
Gardner와 Edyburn(1993)은 교육과정과의 일치(Curriculum correspondence)라는 논문에서 교육과정 중심의 컴퓨터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IEP에 기술된 학생의 현 수준과 이에 따른 단기 및 장기 목표, 교과서 내용 등을 참조하여 만들 것을 권고하고 있다. 우리의 경우 다행히 특수학교 제 7차 교육과정이 단순하지만은 이미 전자화가 되어 있고 이에 따른 개별화교육프로그램도 전자화되어 있어 교육과정 중심의 교수·학습 프로그램과 자료를 만들 수 있는 틀은 짜여져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은 교육과정 중심으로 개발될 프로그램이나 자료들이 네트워크 상에서 효율적으로 상호관련 되고 운영·관리될 수 있는 네트워크 체제이다.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 네트워크시스템>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02.03
  • 저작시기20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2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