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육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한국 교육사>
1. 삼국 시대 이전의 교육
2. 삼국 시대의 교육
3. 고려 시대의 교육
4. 조선시대의 교육
5. 근대교육

본문내용

경(갱)신고 -> 학문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시
㉡ 준승척 -> 독서의 방법 제시
3. 과거제도
1) 소과 -> 생원, 진사(하급관리 등용, 성균관입학 허용, "백패") -> 대과
+--+--+ +-----+-----+
초시 복시 초시 복시 전시(서열결정)
사실상의 합격(33명) 종6품, 홍패수여
2) 문과, 무과(합격자 : 선달), 잡과가 있었다.
3) 식년시 : 3년마다 보는 정기 시험
특별시 : 특별할때(알성시, 별시, 증광시, 기타.......)
4) 문음제도(음서) -> 정 2품이상의 자제에 한함
5) 서민들의 응시는 비교적 많은 제한을 받았다.
6) 고려시대에 비하여 잘 발달되었다.
7) 기타 시험
4. 사상가(print 참조)
5. 실학교육
1) 교육의 목적 : 실용인, 실천인의 양성
2) 성리학을 바탕으로 형성(이이) -> 성리학이 가지는 풍부한 이론이 실학의 장점이며, 성리학 의 공리공론은 실학의 단점이다.
3) 실학의 특징
실학의 특징
실학자의 특징
실학 교육의 특징
① 민초주의
② 민족주의
③ 근대 지향주의(신분타파)
④ 과학의 중요성 강조
① 민본주의
② 합리주의(이성주의)
③ 성실한 맘으로 학문에 임함
④ 옛것을 바로 세우고, 새 것 을 받아들인다.
① 공교육 제도
② 신분타파를 전제로한 교육의 기회균등
③ 개성 존중 교육
④ 교육 과정의 개혁
4) 사상가(print 참조)
5 근대교육
1. 고종의 <교육 입국 조서> ☆☆☆☆☆
① 1895년 고종에 의해 독자적으로 발표
② 1894년 갑오개혁의 영향을 받았다.
③ 한성 사범 학교(1895)등과 같은 근대 학교의 설립을 촉진
④ 교육의 중요성 강조
⑤ 공교육 제도의 표방
⑥ 전근대의 경서교육을 지양하고 근대의 실용교육을 주장
⑦ ㉠ 덕양 : 도덕적 생활
㉡ 체양 : 근면, 역행의 정신
㉢ 지양 : 격물치지
2. 근대학교
관학
민족 선각자
선교사
① 육영공원(1886)-외형만 근대
② 한성사범학교(1895)-실질적
③ 관학의 교육적 의의
㉠ 사학에 비해 발달 미숙
㉡ 교원 양성, 외국어 교육,
실업교육 중시
㉢ 실제보다 외형과 법규발달
④ 한성중학교(1899)
한성 고등학교(1900)
한성 여고(1908)
① 원산학사(1883) ☆
+- 최초의 근대학교
+- 주민들에 의해 자치적 설립
+- 개량 서당의 발전된 형태
② 교육적 의의
국권 회복과 민족지도자 양성
③ 흥화학교(1895, 민영환)
정진학교(1897)
보성학교(1895)
양정학교(1907)
대성학교(1907)
보산학교(1907)
① 배재학당(1895, 아펜젤러)
② 교육적 의의
㉠ 순수한 서양식 제도의 도입
㉡ 전인 교육과 예체능 교육 강조
㉢ 인간 평등과 남녀평등 주장
㉣ 인격 완성과 국가사회봉사 강조
③ 이화학당(1886)
경신학교(1886)
정신여고(1887)
3. 일제의 탄압정책
① 1908년 사립 학교령 ☆
② 1911년 조선 교육령
③ 1913년 사설 강습소 규칙
④ 1915년 조선 교육령 1차 개정
⑤ 1917년 서당 규칙
⑥ 1922년 조선 교육령 2차 개정 -> 민족교육 말살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2.04
  • 저작시기20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2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