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막성 심질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판막성 심질환 ♧
♤ 후천성 판막질환 ♤
♤ 승모판막 질환 ♤
♤ 대동맥 판막질환 ♤
♤ 삼첨판막 질환 ♤

본문내용

벌름거리며 호흡
- 산소 사용
- 청색증, 반점형성, 점상출혈, 피부탈색 등을 포함한 피부색과 체온
- 손톱 색과 모세혈관의 재충혈
- 경정맥 확장
- 심근성 호흡곤란(심한 좌심실 비대에서 볼 수 있음)
- 발한
② 청진
- 심박동수와 리듬
- 심음
- 호흡음
- 비정상적인 호흡음(악설음, 천명음)
③ 촉진
- 사지의 체온
- 맥박 수와 체온 : 불규칙적이고 빠른 맥박은 종종 심방 세동이 있는 승모판 협착증 환자 에게서 촉지됨
- 맥박의 양상 : 결손맥박(pulse deficit), 맥박의 교대차단(pulsus alterans), 맥압 증가 부종 의 존재 : 요흔성 또는 비요흔성
- 정맥염 징후 : 장딴지 둘레의 증가, Homan's sign있음
2. 간호진단
- 심장판막 이상과 전기적 기능, 심부정맥과 관련된 심박출량 장애
- 울형성 심부전증과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 자기간호에 대한 지식결여
- 만성질환으로 인한 비효율적인 개인 대처
- 정맥의 울혈로 인한 조직 관류 저하
- 산소 요구와 공급의 불균형과 관련된 활동 내구성 장애
3. 간호중재
# 불안감소
-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접근법 이용, 진단적 검사와 수술에 대해 환자와 가족에게 설명
# 활동과 휴식 사이의 균형을 촉진
- 활동중간에 휴식기간을 가지도록 환자지지
- 활동 전후의 맥박을 모니터
- 맥박 : 운동 후 10분 이내에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어야 함.
# 체액균형의 촉진
- 체중,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경정맥의 시진, 심음과 호흡음의 청진으로 환자 상태 지속 적으로 점검, 체액과잉의 징후 관찰, 외모의 변화, 모세혈과 충혈, 부종의 존재와 정도를 관찰
# 환자교육
① 심장이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심장판막의 목적
② 약물치료의 효과 : 이뇨제, 심방 배당체(glycosides), 항응고제, 항생제
③ 과거에 류머티스 열을 앓은 경험이 있는 경우, 치과 치료나 외과적 절차 전후에 예방 차원의 항생제 복용
④ 염분과 수분제한이 심장기능에 미치는 효과
⑤ 사지의 체액축적을 사정
⑥ 에너지를 보존하고 활동에 대한 내구성을 규명하기 위해 작업, 휴식, 활동 프로그램을 계획해야 할 필요성
⑦ 수술을 위한 준비로서 진단적 검사의 목적과 절차
⑧ 외과적 중재의 목적과 특성
4. 평가
# 성공적 간호의 결과
① 불안이 감소되고 더욱 편안함을 느낀다.
② 숨쉬기가 쉽고 활동시에 피로가 덜 발생한다.
③ 활동들 사이에 휴식을 취한다.
④ 체중이 안정된다.
⑤ 질병의 특성, 약물치료, 염분제한, 휴식과 활동 프로그램을 정확하게 설명하고, 지속적인 내과 혹은 외과적 치료에 대한 계획을 기술한다.
<참고문헌>
◈ 서문자 외 - 성인간호학 하1 - p.634~641 - 수문사 2000
◈ 김조자 외 - 성인간호학 상2 - p.1289~1309 - 현문사 2000
◈ 최신임상간호메뉴얼 - p.444~448
♡심장판막질환♡
과 목 : 간호학 2-2-2
담당교수 : 강문정 교수님
제 출 자 : 2학년 C-part 1조
문은주, 김미선, 이지연
좌미정, 고유진
제 출 일 : 2001.12.10.월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2.06
  • 저작시기20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4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