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뇌졸증이란 ?
Ⅱ. 뇌졸증 초래할 risk factor
1. 20-30대에 생기는 뇌졸증의 원인
2. 고혈압
3. 심장병
4. 당뇨병
5. 뇌졸중의 과거력
6. 나이
7. 고지혈증
8. 흡연
9. 비만과 식이습관
10.알콜
Ⅲ. 뇌졸중의 종류
1.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 - 뇌경색 초래
1) 혈전성 뇌졸중( Thrombotic stroke)
2) 출혈성 뇌졸중(Hemorrhagic storke) - 동맥류의 파열 ( 지주막하 출혈)
Ⅳ. 손상의 위치에 따른 특징적인 증상
Ⅴ. 치료
1. 뇌조직 관류 증진
Ⅵ. 언어적 의사소통 증진
Ⅶ. 연하장애의 치료
Ⅱ. 뇌졸증 초래할 risk factor
1. 20-30대에 생기는 뇌졸증의 원인
2. 고혈압
3. 심장병
4. 당뇨병
5. 뇌졸중의 과거력
6. 나이
7. 고지혈증
8. 흡연
9. 비만과 식이습관
10.알콜
Ⅲ. 뇌졸중의 종류
1.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 - 뇌경색 초래
1) 혈전성 뇌졸중( Thrombotic stroke)
2) 출혈성 뇌졸중(Hemorrhagic storke) - 동맥류의 파열 ( 지주막하 출혈)
Ⅳ. 손상의 위치에 따른 특징적인 증상
Ⅴ. 치료
1. 뇌조직 관류 증진
Ⅵ. 언어적 의사소통 증진
Ⅶ. 연하장애의 치료
본문내용
함께 해주어 이해를 돕고, 그래도 이해를 못했을 때는 반복해서 말해준다.
4) 환자의 말을 들을 때는
① 주의해서듣고 중간에 말을 가로막지 않는다.
② 인내심을 가진다.
③ 환자에게 반응할 시간적 여유를 준다.
④ 환자의 막힌 낱말을 대신 말해주지 않는다.
⑤ 말할 때의 실수를 문제삼지 않는다.
다. 방법
1) 발언된것의 이해
① 입을 움직여 의사소통하려 시도한다.
② 머리를 끄덕여 대화에 반응한다.
③ 이름 불리운 사물을 가리킨다.
④ 사물이름과 사물을 가리킨다.
⑤ 취급하여 사물을 가리킨다.
⑥ 이름 불리운 그름을 지적한다.
⑦ 적절한 예/아니오 반응으로 질문을 이해한다.
⑧ 신체일부를 가리킨다.
⑨ 말을 해서 이해한다.
⑩ 전치사구를 이해한다.
⑪ 단순한 두 순차적 지시를 따른다.
⑫ 그림에서 3개 연속적 항목을 지적한다.
⑬ 적절한 몸짓으로 문장을 이해한다.
⑭ 구어적 단락을 이해한다.
⑮ 입으로 읽은 이야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그림을 놓는다.
2) 말하기
① 1에서 10까지 수를 반복한다.
② 입의 움직임을 반복한다
③ 화합해서 노래한다
④ 문장을 완성한다.
⑤ 구조화된 단락을 반복한다.
⑥ 흔한 시의 시작을 암송한다.
⑦ 길이가 6게에서 8개의 낱말로 된 문장을 반복한다.
⑧ 동사구를 사용한다.
⑨ 질문에 간단히 답한다.
⑩ 독백한다.
⑪ 집단내 복잡한 대화를 한다
3) 읽기
① 간단한 낱말을 그림고 짝짓는다.
② 요일을 순서대로 놓는다.
③ 다섯단어가 적힌 목록에서이름 불리운 낱말을 가리킨다
④ 낱말을 입으로 읽는다
⑤ 문장에서 10낱말까지 잡어낸다
⑥ 우사한 낱말의 목록에서 단어를 집어낸다.
⑦ 의문 문장에 답한다.
⑧ 인쇄된 지시의 순서를 따른다.
⑨ 단락을 읽고 질문에 답한다.
4) 쓰기
① 편지를 베껴 쓴다.
② 이름을 베껴 쓴다.
③ 자연스레 이름을 찍는다.
④ 흔한 사물의 이름을 찍는다.
⑤ 입으로 발음된 낱말을 찍는다.
⑥ 문장에 빠진 낱말을 더해 넣는다.
⑦ 불러준 구를 쓴다.
⑧ 그려진 항목의 이름을 쓴다
⑨ 질문에 짧은 답을 쓴다
⑩ 그림을 설명하는 문장을 완성한다.
⑪ 긴 집합된 문장을 완성한다.
⑫ 질문에 긴 답을 쓴다.
Ⅶ. 연하장애의 치료
1. 식이 변형
- 식이 변형의 가장 중요하고도 많이 쓰이는 치료 방법이나.
- 구강섭취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환자에게 적합하도록 식이의 점도와 재질을 조절하여 준다.
- 연하장애 초기에 구강 혹은 인두의구조물에 음식 잔여물이 많이 남거나 구강 준비기에 문제가 있는 환자는
낮은 점도로 구성된음식물을 섭취하도록 한다.
- 연하기능이이 향상됨에 따라 반 고형음식 -> 정상식이 순으로 음식물을 섭취하도록 한다.
- 한번에 삼킬수 있는 양과 몇 번에 나누어 삼킬 것인가 등도 환자에게 교육하여야 한다.
- 구강청결 유지도 중요하다.
2. 운동 및 촉진 기법
- 연하 장애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운동은 연하에 관련된 근육을 등장성 수축등으로강화시키는 간접법과
음식물로 연하를 직접 시해하면서 훈련하는 직접법으로 나눌수 있다.
가. 연하 근육의 강화 운동
- 입술 강화 운동 : 물이나 음식물이 구강으로부터 흘려내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
- 설근 강화 운동 : 설근 기저부의 후퇴와 식괴의 이동을 향상시킨다.
- 혀를 물고 마른 삼킴을 하는 운동 : 후방부의 인두벽을 앞을 가져오게 하여 연하기능을 향상시키며
턱운동은 저작기능을 강화 시킨다.
- 누운 자세에서 어깨를 바닥에 붙이고 고개를 들어 발끝을 보게 하는 등척성 두부 거상 운동 :
설골 후두 복압체의 건방 이동과 상부 식도 괄약근의 이완을 향상시킨다.
나. 촉진기법
- 심부 인두 신경근육 자극법 : 감각 신경을 자극하여 운동반응을 유발하는 방법, 거울후두경을 이용하여
미뢰, 설 기저부, 연구개, 상부 및 내측 인두 괄약근 등의 특정 부위를 자극
함으로써 설근 기저부의후퇴, 연구개 상승, 인두연동운동, 윤상 인두근의
열림 등을 유발시킨다.
3. 보상기법
: 흡인의 위험성을 줄이고 인두의 식괴 잔여물을 줄이기 위한 보상 기법으론느 턱 당기기, 머리돌리기,
머리 기울이기, 성문 상부 연하법, 멘델슨 기법등이 있다.
가. 자세의 변화를 이용한 방법
a. 턱 당기기자세 : 설기저부와 인두 후벽 상이의 공간을 좁혀주고 인두 내압을 증가시켜 식괴가 인두로
넘어가기 좋게 해준다. 또한 기도입구를 좁혀주고 후두개곡의 공간을 넓혀줌으로써 연하
반사가 일어나기 전 식괴를 후두개곡에 머물게 함으로써 바로 흡인이 되는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b. 머리 돌리기 : 이환된 측으로 머리를 돌려 이환측 양배꼴등의 해부학적 공간을 줄여주고 식괴를 건측으로
내려가도록하는 방법.
c. 머리 기울리기 방법 : 건측으로 머리를 기울여 식과가 건측 인두벽을 딸 흘러 내려가도록 하느 것
나. 기도 보호를 위한 기법
a. 성문 상부 연하법 : 기도 입구를 연하 전과 연하중에 인위적으로 막음으로써 흡인을 방지하느 방법
구체적 방법 ㄱ. 김피 숨을 들여 마시고 숨을 멈춘다.
ㄴ. 숨을 멈춘 상태에서 기관 절개관 튜부가 있으면 막는다.
ㄷ. 음식물을 삼키는 동안 계속해서 숨을 참는다.
ㄹ. 연하 직후 기침을 한다.
b. 강조 성문 상부 연하법 : 성부 성문 연하법에 발살바 법을 더한것
c. 신전 성문 연하법 : 혀의 움직임이 현저하게 떨어졌을때 사용
ㄱ. 깊이 숨을 들여 마시고 숨을 멈춘다.
ㄴ. 5-10cml의 액상 음식을 입에 넣는다.
ㄷ. 숨을 계속 멈춘 상태에서 고개를뒤로 제쳐 구강 내 액상 음식을 인두 쪽으로 보낸다.
ㄹ. 숨을 계속 멈춘 상태에서 적어도 2-3회 이상 반복 연하를 시행한다.
ㅁ. 연하 직후 기침을 하여 인두의 잔여물을 제거한다.
다. 식괴의 통과를 향상 시키기 위한 기법
a. 노력연하 : 환자에게 힘껏 삼키도록 하는 것으로 설기저부의 후방운동을 증진 시킴으로써 후두개곡의
식괴 청소를 도와준다.
d. 멘델슨법 : 연하를 한 채 2-3초간 유지한 후 인두가 가장 거상 되었을 때 서서히 이환시키는 것으로
후두거상과 윤상 인두근의 열림을도아준다. 연하 후 후두에 식괴의 잔여물이 많이 남아 있는 경우
연하를 반복하거나 물로 잔여물을 씻어 내릴 수 있다.
4) 환자의 말을 들을 때는
① 주의해서듣고 중간에 말을 가로막지 않는다.
② 인내심을 가진다.
③ 환자에게 반응할 시간적 여유를 준다.
④ 환자의 막힌 낱말을 대신 말해주지 않는다.
⑤ 말할 때의 실수를 문제삼지 않는다.
다. 방법
1) 발언된것의 이해
① 입을 움직여 의사소통하려 시도한다.
② 머리를 끄덕여 대화에 반응한다.
③ 이름 불리운 사물을 가리킨다.
④ 사물이름과 사물을 가리킨다.
⑤ 취급하여 사물을 가리킨다.
⑥ 이름 불리운 그름을 지적한다.
⑦ 적절한 예/아니오 반응으로 질문을 이해한다.
⑧ 신체일부를 가리킨다.
⑨ 말을 해서 이해한다.
⑩ 전치사구를 이해한다.
⑪ 단순한 두 순차적 지시를 따른다.
⑫ 그림에서 3개 연속적 항목을 지적한다.
⑬ 적절한 몸짓으로 문장을 이해한다.
⑭ 구어적 단락을 이해한다.
⑮ 입으로 읽은 이야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그림을 놓는다.
2) 말하기
① 1에서 10까지 수를 반복한다.
② 입의 움직임을 반복한다
③ 화합해서 노래한다
④ 문장을 완성한다.
⑤ 구조화된 단락을 반복한다.
⑥ 흔한 시의 시작을 암송한다.
⑦ 길이가 6게에서 8개의 낱말로 된 문장을 반복한다.
⑧ 동사구를 사용한다.
⑨ 질문에 간단히 답한다.
⑩ 독백한다.
⑪ 집단내 복잡한 대화를 한다
3) 읽기
① 간단한 낱말을 그림고 짝짓는다.
② 요일을 순서대로 놓는다.
③ 다섯단어가 적힌 목록에서이름 불리운 낱말을 가리킨다
④ 낱말을 입으로 읽는다
⑤ 문장에서 10낱말까지 잡어낸다
⑥ 우사한 낱말의 목록에서 단어를 집어낸다.
⑦ 의문 문장에 답한다.
⑧ 인쇄된 지시의 순서를 따른다.
⑨ 단락을 읽고 질문에 답한다.
4) 쓰기
① 편지를 베껴 쓴다.
② 이름을 베껴 쓴다.
③ 자연스레 이름을 찍는다.
④ 흔한 사물의 이름을 찍는다.
⑤ 입으로 발음된 낱말을 찍는다.
⑥ 문장에 빠진 낱말을 더해 넣는다.
⑦ 불러준 구를 쓴다.
⑧ 그려진 항목의 이름을 쓴다
⑨ 질문에 짧은 답을 쓴다
⑩ 그림을 설명하는 문장을 완성한다.
⑪ 긴 집합된 문장을 완성한다.
⑫ 질문에 긴 답을 쓴다.
Ⅶ. 연하장애의 치료
1. 식이 변형
- 식이 변형의 가장 중요하고도 많이 쓰이는 치료 방법이나.
- 구강섭취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환자에게 적합하도록 식이의 점도와 재질을 조절하여 준다.
- 연하장애 초기에 구강 혹은 인두의구조물에 음식 잔여물이 많이 남거나 구강 준비기에 문제가 있는 환자는
낮은 점도로 구성된음식물을 섭취하도록 한다.
- 연하기능이이 향상됨에 따라 반 고형음식 -> 정상식이 순으로 음식물을 섭취하도록 한다.
- 한번에 삼킬수 있는 양과 몇 번에 나누어 삼킬 것인가 등도 환자에게 교육하여야 한다.
- 구강청결 유지도 중요하다.
2. 운동 및 촉진 기법
- 연하 장애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운동은 연하에 관련된 근육을 등장성 수축등으로강화시키는 간접법과
음식물로 연하를 직접 시해하면서 훈련하는 직접법으로 나눌수 있다.
가. 연하 근육의 강화 운동
- 입술 강화 운동 : 물이나 음식물이 구강으로부터 흘려내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
- 설근 강화 운동 : 설근 기저부의 후퇴와 식괴의 이동을 향상시킨다.
- 혀를 물고 마른 삼킴을 하는 운동 : 후방부의 인두벽을 앞을 가져오게 하여 연하기능을 향상시키며
턱운동은 저작기능을 강화 시킨다.
- 누운 자세에서 어깨를 바닥에 붙이고 고개를 들어 발끝을 보게 하는 등척성 두부 거상 운동 :
설골 후두 복압체의 건방 이동과 상부 식도 괄약근의 이완을 향상시킨다.
나. 촉진기법
- 심부 인두 신경근육 자극법 : 감각 신경을 자극하여 운동반응을 유발하는 방법, 거울후두경을 이용하여
미뢰, 설 기저부, 연구개, 상부 및 내측 인두 괄약근 등의 특정 부위를 자극
함으로써 설근 기저부의후퇴, 연구개 상승, 인두연동운동, 윤상 인두근의
열림 등을 유발시킨다.
3. 보상기법
: 흡인의 위험성을 줄이고 인두의 식괴 잔여물을 줄이기 위한 보상 기법으론느 턱 당기기, 머리돌리기,
머리 기울이기, 성문 상부 연하법, 멘델슨 기법등이 있다.
가. 자세의 변화를 이용한 방법
a. 턱 당기기자세 : 설기저부와 인두 후벽 상이의 공간을 좁혀주고 인두 내압을 증가시켜 식괴가 인두로
넘어가기 좋게 해준다. 또한 기도입구를 좁혀주고 후두개곡의 공간을 넓혀줌으로써 연하
반사가 일어나기 전 식괴를 후두개곡에 머물게 함으로써 바로 흡인이 되는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b. 머리 돌리기 : 이환된 측으로 머리를 돌려 이환측 양배꼴등의 해부학적 공간을 줄여주고 식괴를 건측으로
내려가도록하는 방법.
c. 머리 기울리기 방법 : 건측으로 머리를 기울여 식과가 건측 인두벽을 딸 흘러 내려가도록 하느 것
나. 기도 보호를 위한 기법
a. 성문 상부 연하법 : 기도 입구를 연하 전과 연하중에 인위적으로 막음으로써 흡인을 방지하느 방법
구체적 방법 ㄱ. 김피 숨을 들여 마시고 숨을 멈춘다.
ㄴ. 숨을 멈춘 상태에서 기관 절개관 튜부가 있으면 막는다.
ㄷ. 음식물을 삼키는 동안 계속해서 숨을 참는다.
ㄹ. 연하 직후 기침을 한다.
b. 강조 성문 상부 연하법 : 성부 성문 연하법에 발살바 법을 더한것
c. 신전 성문 연하법 : 혀의 움직임이 현저하게 떨어졌을때 사용
ㄱ. 깊이 숨을 들여 마시고 숨을 멈춘다.
ㄴ. 5-10cml의 액상 음식을 입에 넣는다.
ㄷ. 숨을 계속 멈춘 상태에서 고개를뒤로 제쳐 구강 내 액상 음식을 인두 쪽으로 보낸다.
ㄹ. 숨을 계속 멈춘 상태에서 적어도 2-3회 이상 반복 연하를 시행한다.
ㅁ. 연하 직후 기침을 하여 인두의 잔여물을 제거한다.
다. 식괴의 통과를 향상 시키기 위한 기법
a. 노력연하 : 환자에게 힘껏 삼키도록 하는 것으로 설기저부의 후방운동을 증진 시킴으로써 후두개곡의
식괴 청소를 도와준다.
d. 멘델슨법 : 연하를 한 채 2-3초간 유지한 후 인두가 가장 거상 되었을 때 서서히 이환시키는 것으로
후두거상과 윤상 인두근의 열림을도아준다. 연하 후 후두에 식괴의 잔여물이 많이 남아 있는 경우
연하를 반복하거나 물로 잔여물을 씻어 내릴 수 있다.
추천자료
노인성 치매의 이해
관상동맥질환 죽상경화증 과 협십증에 대한 문헌 고찰
질병-순환계 질환
관상동맥 질환 간호교육의 필요성
고지혈증 및 알콜대사
[수면무호흡증][수면무호흡증 원인][심박동수 변화율][수면무호흡증 진단][수면무호흡증 치료...
뇌졸중의 정의와 고찰
운동의 효과
뇌동맥류 aneurysm casestudy
[심혈관계질환][심근경색][고지혈증][촬영술]심혈관계질환의 개념, 심혈관계질환의 유형, 심...
[콜레스테롤][동맥경화][위암][식품][운동]콜레스테롤의 발견, 콜레스테롤의 기능, 콜레스테...
‘성인병’과 ‘운동’에 대해
허혈성 심질환-
성인간호학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보건 교육 PPT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