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대상자 사정
Ⅱ. 문헌 고찰
Ⅲ. 각종 임상검사 및 결과
Ⅳ. 치료 및 약물
Ⅴ. 간호 과정
#1. 수술로 인한 통증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Ⅵ. 참고 문헌
Ⅱ. 문헌 고찰
Ⅲ. 각종 임상검사 및 결과
Ⅳ. 치료 및 약물
Ⅴ. 간호 과정
#1. 수술로 인한 통증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 통증 점수 : 8점
11.29 2:30PM(진통제 투여 30분후)
- 통증 점수 : 6점
11.30 - 통증 점수 : 6점
3.처방된진통제(Anacen 90mg/2ml/A)을 PRN으로 투약했으며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11.29 2회 투약 (2PM, 7PM)
11.30 2회 투약 (8AM, 2PM)
4.통증을 표현할 수 있도록 대상자 옆에서 격려해주었음.
5.심상요법 및 음악요법을 교육시켜 주었음.
6.보호자가 항시 대상자 곁에 머물도 록 격려함.
7.음악요법, 보호자의 지지등과 교육의 결과로 수면을 취하기가 한결 수월해졌다고 말함.
11.30 수면시간 6시간/일
(수술 전 수면시간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수술 당일에 비해 중재를 통해 수면시간이 늘어났다.)
1. 통증 사정
일시
점수
양상
부위
11.29
13:30
8
쑤심
op
site
11.29
14:30
6
욱신거림
op
site
11.30
9:00
6
욱신거림
op
site
11.30
14:00
3
욱신
거림
op
site
->통증을 완화하는 간호 중재 후 점점 통증 점수 감소하여 11.30 14:00 통증 점수 3점으로 목표에 달성함.
2.대상자의 v/s은 통증 점수가 8점이던 29일 14시를 제외하고 그 뒤 정상범위를 유지하였음.
3.대상자는 중재 후 V/S을 측정할 때 찡그린 표정없이 편안한 표정이다.
4.대상자는 밤에 6시간이상 수면을 취하였다.(11.30)
#1. 수술과 관련된 통증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사정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1.비파열성 동맥류로 인해
cerebral aneurysm clippi
ng수술을 시행받음. -11.29
2.Left clavian IV, F-cath, B-vac 보유중임(11/29~)
3.op site로 붉게 oozing되어 dressing change함(11/29)
4.WBC 수치가 증가
11/26
11/29
WBC
8.5
12.28
→감염의 위험 큼
5.
BP
T
P
R
28일
6AM
120/80
36.7
68
20
28일
2PM
130/80
36.2
74
20
29일6AM
120
/80
36.4
64
20
V/S 측정 결과
6.대상자의 올바른 손씻기 방법을 이행하지 않고 있었다.(화장실을 다녀온 후 손씻기, 식사전 손씻기 등을 이행하지 않음.)
<장기목표>
대상자는 감염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단기목표>
1.대상자의 V/S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2.대상자의 WBC 수치는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3.대상자는 op site(head),
Left clavian IV 부위,
F-cath에 감염 증상( 열감, 발
적 , 동통, 부종 등)을 보이지
않는다.
4.대상자는 감염의 증상과 2개 이상 설명하고 시행 할 수 있다.
5.대상자는 올바른 손씻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1.대상자의 활력징후
를 매 duty때마다 측정
한다.(6AM,2PM,8PM)
2.Lab data를 확인한다. 특히 WBC, CRP 수치를 주의깊게 확인한다.
3.op site(head), Left clavian IV부위, F-cath 주위의 피부를 사정한다.(발적, 동통, 부종, 분비물이 있는지 확인한다.)
4.Left clavian IV와 Head op site를 dressing한다.
5.처방된 항생제를 투약하고 부작용을 관찰한다.
6.대상자의 간호시 손씻기를 한다.
7.감염증상에 대해 교육하고 대상자는 증상 2가지 이상을 열거할 수 있다.
8.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손씻기 6단계 방법을 교육한다.
1.활력징후는 지속적인 대상자 건강 상태의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된다. 특히 감염 시 체온이 높아진다.
2.감염 시 혈역학적으로 변화가 있으며, 특히 백혈구 수치(WBC)와 감염수치(CRP)의 증가가 감염을 나타낸다.
3.감염 시 그 부위로 발적, 부종, 열감을 동반하게 된다.
4.더러운 dressing은 깨끗하게 교환해 줌으로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5.항생제(Talimephin)를 투여한다.
6.미생물 전파를 막아 감염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7.대상자가 스스로 자신을 사정하고 감염증상(발적, 부종, 열감)이 있을 시. 의료진에게 알려 빠르게 처치가 가능하게 한다.
8.올바른 손씻기는 감염 예방의 기본이다.
1.V/S를 측정하였다.
BP
T
P
R
29일 2PM
140/90
36.7
92
20
30일 6AM
120/80
37.2
68
20
30일 2PM
130/80
36.5
80
20
->30일 29일 2PM 대비 체온상승했으나 정상범위 유지함.
2.11.30 WBC : 11.5
CRP는 검사 자료 없음
11.29 대비 감소하였으나 정상범위 벗어남.
3.매일 Left clavian IV와 Head op site 주위의 피부를 사정하였다. 발적이나 동통, 부종, 분비물등은 관찰되지 않았다.(11/29,30), F-cath는 11/30에 remove 하였으며 4시간 뒤 시원하게 self voiding하였다.
4.11/30 Left clavian IV와 Head op site 부위의 dressing을 교환한 것을 확인하였다.
5.처방된 Talimephine을 투약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부작용(어지러움, 설사)은 나타나지 않았다.
6. 대상자 간호시 철저히 손씻기를 시행하고. 다른 환자와 접촉 후 손소독제를 사용하여 감염의 위험을 줄였다.
7.감염 시 부종, 발적, 열감, 통증이 있을 수 있다고 말씀드렸으며 대상자는 감염 시 발적, 부종, 열감이 있을 수 있다고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설명 하였다.
8.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손씻기 6단계를 시범보이고 따라하도록 교육하였다.
1.대상자의 V/S은 11/29 혈압상승을 제외하고 나머지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2.대상자의 WBC수치는 정상범위를 벗어났고 CRP수치는 확인 할 수 없었다.
3.대상자는 F-cath는 제거하였으며(11.30), Left clavian IV 부위와 Head op site에 감염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4.대상자는 감염으로 인한 증상 2가지를 말할 수 있다.(“주사맞은데 감염되면 뜨겁고 붓는거 맞죠?”11.30)
5.대상자는 손씻기 6단계에 맞춰 손씻기를 시행하였다.
11.29 2:30PM(진통제 투여 30분후)
- 통증 점수 : 6점
11.30 - 통증 점수 : 6점
3.처방된진통제(Anacen 90mg/2ml/A)을 PRN으로 투약했으며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11.29 2회 투약 (2PM, 7PM)
11.30 2회 투약 (8AM, 2PM)
4.통증을 표현할 수 있도록 대상자 옆에서 격려해주었음.
5.심상요법 및 음악요법을 교육시켜 주었음.
6.보호자가 항시 대상자 곁에 머물도 록 격려함.
7.음악요법, 보호자의 지지등과 교육의 결과로 수면을 취하기가 한결 수월해졌다고 말함.
11.30 수면시간 6시간/일
(수술 전 수면시간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수술 당일에 비해 중재를 통해 수면시간이 늘어났다.)
1. 통증 사정
일시
점수
양상
부위
11.29
13:30
8
쑤심
op
site
11.29
14:30
6
욱신거림
op
site
11.30
9:00
6
욱신거림
op
site
11.30
14:00
3
욱신
거림
op
site
->통증을 완화하는 간호 중재 후 점점 통증 점수 감소하여 11.30 14:00 통증 점수 3점으로 목표에 달성함.
2.대상자의 v/s은 통증 점수가 8점이던 29일 14시를 제외하고 그 뒤 정상범위를 유지하였음.
3.대상자는 중재 후 V/S을 측정할 때 찡그린 표정없이 편안한 표정이다.
4.대상자는 밤에 6시간이상 수면을 취하였다.(11.30)
#1. 수술과 관련된 통증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사정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1.비파열성 동맥류로 인해
cerebral aneurysm clippi
ng수술을 시행받음. -11.29
2.Left clavian IV, F-cath, B-vac 보유중임(11/29~)
3.op site로 붉게 oozing되어 dressing change함(11/29)
4.WBC 수치가 증가
11/26
11/29
WBC
8.5
12.28
→감염의 위험 큼
5.
BP
T
P
R
28일
6AM
120/80
36.7
68
20
28일
2PM
130/80
36.2
74
20
29일6AM
120
/80
36.4
64
20
V/S 측정 결과
6.대상자의 올바른 손씻기 방법을 이행하지 않고 있었다.(화장실을 다녀온 후 손씻기, 식사전 손씻기 등을 이행하지 않음.)
<장기목표>
대상자는 감염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단기목표>
1.대상자의 V/S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2.대상자의 WBC 수치는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3.대상자는 op site(head),
Left clavian IV 부위,
F-cath에 감염 증상( 열감, 발
적 , 동통, 부종 등)을 보이지
않는다.
4.대상자는 감염의 증상과 2개 이상 설명하고 시행 할 수 있다.
5.대상자는 올바른 손씻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1.대상자의 활력징후
를 매 duty때마다 측정
한다.(6AM,2PM,8PM)
2.Lab data를 확인한다. 특히 WBC, CRP 수치를 주의깊게 확인한다.
3.op site(head), Left clavian IV부위, F-cath 주위의 피부를 사정한다.(발적, 동통, 부종, 분비물이 있는지 확인한다.)
4.Left clavian IV와 Head op site를 dressing한다.
5.처방된 항생제를 투약하고 부작용을 관찰한다.
6.대상자의 간호시 손씻기를 한다.
7.감염증상에 대해 교육하고 대상자는 증상 2가지 이상을 열거할 수 있다.
8.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손씻기 6단계 방법을 교육한다.
1.활력징후는 지속적인 대상자 건강 상태의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된다. 특히 감염 시 체온이 높아진다.
2.감염 시 혈역학적으로 변화가 있으며, 특히 백혈구 수치(WBC)와 감염수치(CRP)의 증가가 감염을 나타낸다.
3.감염 시 그 부위로 발적, 부종, 열감을 동반하게 된다.
4.더러운 dressing은 깨끗하게 교환해 줌으로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5.항생제(Talimephin)를 투여한다.
6.미생물 전파를 막아 감염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7.대상자가 스스로 자신을 사정하고 감염증상(발적, 부종, 열감)이 있을 시. 의료진에게 알려 빠르게 처치가 가능하게 한다.
8.올바른 손씻기는 감염 예방의 기본이다.
1.V/S를 측정하였다.
BP
T
P
R
29일 2PM
140/90
36.7
92
20
30일 6AM
120/80
37.2
68
20
30일 2PM
130/80
36.5
80
20
->30일 29일 2PM 대비 체온상승했으나 정상범위 유지함.
2.11.30 WBC : 11.5
CRP는 검사 자료 없음
11.29 대비 감소하였으나 정상범위 벗어남.
3.매일 Left clavian IV와 Head op site 주위의 피부를 사정하였다. 발적이나 동통, 부종, 분비물등은 관찰되지 않았다.(11/29,30), F-cath는 11/30에 remove 하였으며 4시간 뒤 시원하게 self voiding하였다.
4.11/30 Left clavian IV와 Head op site 부위의 dressing을 교환한 것을 확인하였다.
5.처방된 Talimephine을 투약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부작용(어지러움, 설사)은 나타나지 않았다.
6. 대상자 간호시 철저히 손씻기를 시행하고. 다른 환자와 접촉 후 손소독제를 사용하여 감염의 위험을 줄였다.
7.감염 시 부종, 발적, 열감, 통증이 있을 수 있다고 말씀드렸으며 대상자는 감염 시 발적, 부종, 열감이 있을 수 있다고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설명 하였다.
8.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손씻기 6단계를 시범보이고 따라하도록 교육하였다.
1.대상자의 V/S은 11/29 혈압상승을 제외하고 나머지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2.대상자의 WBC수치는 정상범위를 벗어났고 CRP수치는 확인 할 수 없었다.
3.대상자는 F-cath는 제거하였으며(11.30), Left clavian IV 부위와 Head op site에 감염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4.대상자는 감염으로 인한 증상 2가지를 말할 수 있다.(“주사맞은데 감염되면 뜨겁고 붓는거 맞죠?”11.30)
5.대상자는 손씻기 6단계에 맞춰 손씻기를 시행하였다.
추천자료
중화자실 case (SAH)
신경계 수술간호
지주막하출혈
뇌졸증(CVA)에 대하여
CVA 케이스
CVA(Cerebral Vascular Accident) = 뇌졸증
신경외과-처치
신경과 신경외과 간호 실습 case study
혈관조영술(동맥조영술)과 cerebral clipping, 기계호흡
SAH 지주막하출혈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케이스 최종 완성
[뇌졸중] 뇌졸중의 유형(종류)과 원인 및 증상, 뇌졸중 예방 및 치료방법(뇌졸중의 영양치료,...
ns케이스-Subarachnoid hemorrhage (지주막하출혈 A++)
[성인간호] 지주막하출혈 병태생리 및 간호진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