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혈성심부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울혈성심부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정 의

2.병태생리/원인

3.성별/나이

4.심부전의 형태

5.진단적 검사

6.심부전의 치료와 간호관리

7.합병증

8.간호진단

9.환자사정

본문내용

in : 작-심근에 작용 수축력 증강. Hisbundle의 conductivity 를 저하시키고 불응기를 연장시킨다. 따라서 심박수는 감소.
: 강심이뇨제, 울혈성 심부전
: 부-중독증상(식욕부진, 구토, 설사, 부정맥, 빈맥, 한기, 두통), 과민증(발진, 담마진, 자반병, 부종)
theo 1×1 : Theophylline서방형 : Phosphodiesterase의 작용을 억제하여 세포내 AMP농도를 높여 기관지 확장 작용을 나타내는 동시에 비만세포에 서 화학전달물질의 유지를 억제한다 : 작용-기관지천식 : 부-위장장 애, 심계항진, 흥분, 단백뇨, 혼수, 헛소리
LSX 1×2 : Furosemide : 이뇨제, 부종, 고혈압치료제 : 부-구토, 설사, 부정맥, 전해질실조,혈구감소, 변비 : 주-신, 간장애 환자, 무 뇨증, 전해질감소환자
BASA 300㎎×1: Acetylsalicylic acid : 해열진통 소염제
MLT 15㏄×3 : Mylanta 400 :제산, 가스제거제
RXT 1×2 : Roxatidine acetate HCL : H₂수용체 길항체로 위십이지장궤양, 역 류성 식도염에 사용
RAP ½×2 : Ramipril : 고혈압 : 부-과민증, 현기증, 오심, 구토, 설사
ADT 1×1 : Spironolactone : Aldosterone길항제로서 심부전, 고혈압, 복수 또는 부종을 수반하는 제질환, 원발성 Aldosterone증
: 부-Hyperkalemia, Gynecomastia, 위장장애, 전해질 실조
MANI ½×1 : Ca 길항제로 고혈압치료
BOQ 1×3 : Q-zyme : 소화불량감, 식욕부진, 위부팽만감, 과식, 식체
] Injection ]
I­ MAL 0.5ℓ+ Hepa 15000
: MAL(Maltose) - 인슐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세포내로 들어가 Maltose 에 의해 포도당으로 분해되어 이용
: Hepa(Heparin sodium) - 혈액응고 억제제
- 부: 알러지성 반응, 골다공증, 출혈
MAL 0.5ℓ+ LSX 150㎎
: LSX(Furosemide) : 이뇨제, 부종, 고혈압치료제 : 부-구토, 설사, 부정맥, 전해질실조,혈구감소, 변비 : 주-신, 간장애 환자, 무뇨증,
전해질감소환자
MAL 0.5ℓ+ NTG 20㎎
: NTG(Nitroglycerin)-관상동맥확장작용, 산소요구량 감소
-수술전후의 혈압조정, 협심증, 울혈성 심부전증
-부: 안면홍조, 두통, 오심, 구토, 불안, 심박증가, 현훈, 복통
-주: 저혈압, 뇌압상승환자, 중증의 신, 간질환자, 초기 심근 경색
③증상
a.호흡곤란
-주관적인 증상으로 CHF의 정도를 정확하게 나타낸다고는 할 수 없다.
-환자는 기좌호흡의 경우와 같이 숨쉬기가 힘든 것은 아니나 앉아있는 동 안에 숨쉬기가 편해 항상 앉아있는 편이다(앉아있는 동안에는 신체의 하 부에 혈액의 울혈로 숨쉬기가 좀 편해지나 평평하게 누워있을 때는 신체 하부에서 정맥계를 통하여 이미 웅혈되어 있는 심장과 폐를 혈액이 돌아 가게 되므로)
b.두통과 경미한 불면증으로 인한 피로감, 전신쇠약
c.소변량의 감소
d.식욕부진, 소화불량
④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간호진단
a.digitalis의 독성과 관련된 잠재성 상해
b.염분 및 수분의 정체와 관련된 체액과다
c.호흡곤란으로 인한 안위변화
d.이뇨제 부작용과 관련된 잠재성 상해
e.심박출량의 감소, 가스교환장애와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⑤치료와 간호사정
a.산소공급 : 비강 캐뉼라를 통한 분당 6ℓ의 산소 공급
b.강심배당체 투여
: DGX ½×1 투여함으로써 심근에 작용, 수축력을 증강시킨다
:부작용이 일어나지 않나 잘 관찰한다(식욕부진, 오심, 구토, 설사, 복통, 두통, 피 로, 시력감퇴, 두드러기, 호산구증가증)
c.이뇨제 투여: 과도한 체액을 제거, 심실압 감소
:LSX 1×2 (전해질과 pH, BUN의 변화를 주의깊게 관찰해야 한다. 장기간 의 이뇨제 사용은 전해질의 불균형과 신기능 장애가 초래되므로 잘 관찰 해야 한다)
d,혈액응고 억제제 투여(Hepa 15000)
:장기간의 이뇨제 사용으로 혈전이 형성될 수도 있다.
e.심부전의 원인이 되는 고혈압 치료
-CLZ ½×2: Cilazapril : 혈압하강제
-RAP ½×2 : Ramipril : 고혈압치료
-MANI ½×1 : Ca 길항제로 고혈압치료
-ADT 1×1 : Spironolactone : Aldosterone길항제로서 심부전, 고혈압, 복수 또는 부종을 수반하는 제질환, 원발성 Aldosterone증
f.식욕부진, 소화불량
-BOQ 1×3 : Q-zyme : 소화불량감, 식욕부진, 위부팽만감, 과식, 식체
- MLT 15㏄×3 : Mylanta 400 :제산, 가스제거제
-RXT 1×2 : Roxatidine acetate HCL : H₂수용체 길항체로 위십이지장궤양, 역 류성 식도염에 사용
g.혈관 이완법: 현저하게 전신의 정맥을 이완
-NTG(Nitroglycerin)-관상동맥확장작용, 산소요구량 감소
h.적절한 심박출량 유지
: 심장의 작업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서적, 신체적 안정을 취해준다.
i.호흡곤란 완화
:침대머리를 상숭시키고 앉는 자세를 취해준다: 심장과 폐로의 정맥 귀환을 줄인다.
j.체액균형회복
: 이뇨제를 투여하고 섭취량과 배설량에 대한 기록을 한다.
: 전해질 고갈의 증상을 관찰한다(권태, 무력, 의식혼미, 식욕부진, 소변배출 량의 감소, 질소혈증)
k.침상안정의 합병증 관찰
: 욕창, 혈전성 정맥염, 폐색전
l.식이 조절
: 환자는 당뇨병이 있는 관계로 고섬유 저콜레스테롤의 DM soft diet 1600 ㎈를 섭취하고 있다(소화불량으로 인해 ND에서 SD로 바뀌었음)
m.안정
정신적, 신체적 안정은 환자에게 심장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고 이차적으 로는 이뇨작용과 호흡의 증진, 정맥환류의 감소, 심박수 감소 등으로 이완 기를 연장하여 심근의 수축력ㅇ르 증강시킬 수 있다. 그러나 너무 오랜 침상의 안정은 혈전성 정맥염이나 폐색전증, 침하성 폐렴, 신결석, 우울증 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임상간호 매뉴얼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3.12.11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76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