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설에 대한 레포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생각을 해본다. 직업에 귀천이 없다는 말이 말로만 그치치 말기를 바라며 이런 의미에서 이 욕은 우리 민족에게 있어서 당연히 도태되어야 한다고 본다.
11. 맺음말.
욕이란 무엇일까? 이제까지 조사되고 분석된 여러 가지의 욕으로 미루어 보아 욕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해서 정의를 내릴 수 있겠다. 한 가지로 정의를 내리지 못하는 이유는 현대를 살아 가면서 그 만큼 욕의 쓰임새가 다양하는데 있다.
욕하는 사람의 입이 더러워 진다는 점과 저급한 수준이 표출된다는 점이 잘 인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에서 욕의 기능은 더욱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흉폭화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욕이 사회상을 가장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그만큼 현재 우리가 속해 있는 사회가 부조리와 불합리를 안고 있다는 결론을 유추해 낼 수 있다. 즉, 사회 구성원들이 욕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바꾸어 말 할 수 있겠다.
공무원의 비리와 삼풍 백화점의 붕괴를 통해 드러난 인명 경시 풍조를 제쳐 놓고라도 정치, 경제 등 사회 전반적인 분야에서 저절로 욕이 나오게끔 하는 일들이 속출하고 있는 이런 분위기 속에서 욕이 흉폭화 한다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르겠다. 이런 점에서 소위 말하는 엘리트 계층의 부패는 중 하위권에 속해 있는 사람들의 감정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고 보아지며 이와 연관해서 감정 표현의 수단인 언어가 거칠어 지고 있는 것이다. 세상이 각박해 졌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이러한 문제는 어느 한 계층의 사람이 나선다고 개선될 사항이 아니다. 사회 구성원 모두가 노력해서 풀어야할 문제이므로 누구이던 간에 조금씩 양보하는 마음, 순리에 역행하지 않는 자세로 살아 간다면 분명 살기 좋은 사회, 욕 할 필요 없는 사회가 될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4장에 언급되었던 "씹알"은 다분히 종교적인 차원에서 포교의 뜻을 담고 발생한 욕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본다.
이제 처음에 거론 되었던 욕의 정의를 내리면서 이 글을 끝마칠까 한다. 이제껏 진행되어 왔던 이상의 욕을 통해서 우리 민족의 정서와 인간의 심리를 파악해 보려고 노력 했지만 수박 겉 핥기식이 되지 않았나 하는 마음에 새삼 부끄럼이 앞선다.
① 挑戰的(도전적) 의미로서의 욕.
욕의 기능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도전적 의미로서의 욕은 그 강도가 지나치게 되면 자칫 폭력으로 발전될 소지를 가지고 있다. 이런 경우는 자주 있어 왔으며, 어떻게 보면 싸움의 전초전은 심한 욕설에서 부터 시작 된다고 보아진다.
이런 의미의 욕은 과격한 말로서 상대방의 기세를 제압하려는 의도가 담겨져 있는데 이런 의도가 먹혀들지 않으면 물리적인 힘이 행사 되는 과정을 겪게된다. 물론 심한 욕설을 해대는 모든 사람이 그런 과정을 겪는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심한 욕설을 하는 사람 가운데 폭력 성향이 짙은 사람은 정해져 있다는 것일까? 이 문제에 대한 답으로 최근 논의되고 있는 유전적 소인으로서의 범죄행동에 대한 사법제도 적용 여부를 대신하고 싶다.
범죄행동의 환경적 요인을 주장하는 기존의 환경론자나 심리학자의 견해와는 다르게 이 문제에 대해 유전적인 소인으로 보고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 이들은 모든 사람이 일정한 시기에 징병검사를 하듯 유전인자(DNA)에 대한 검사를 실시 할 수도 있음을 조심스레 제시하고 있다. 물론 이에 따르는 윤리, 도덕적인 입장은 보호 받아야할 인간의 권리를 내세워 강력한 부정의 의사를 표시하고 있지만, 이 학설이 정설로 세상에 인식이 된다면 윤리나 도덕은 당연히 궤도 수정을 할것이라 보아진다. 천동설이 지동설로 바뀌었듯이. . . .
② 카타르시스 효과로서의 욕.
욕의 기능 가운데는 다분히 쌓였던 스트레스를 정화 한다는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
현대병의 모든 시초는 복잡해져 가는 사회 속을 헤쳐 나가면서 받는 스트레스라고 할 만큼 인간에게 있어서 이 스트레스는 풀어 버리지 않으면 않될것이 되어 버렸다. 이러한 스트레스의 요인은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곳곳에 산재되어 있으며 인간에게 수시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욕은 이런 스트레스에 대해 어느정도 완충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데, 물론 욕의 정도가 심해지게 되면 공격성향을 띠게된다. 그러므로 심하게 다가오는 스트레스에 대해서 욕은 거친 행동을 수반하며 그 억양 또한 거세지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③ 자기 확인으로서의 욕.
이 기능으로서의 욕은 친분의 척도에 따라서 그 강도가 달라진다. 흉허물이 없는 관계일수록 욕의 정도는 심해지며 이 때의 욕에는 그 정도가 심함에도 불구하고 공격성향이나 악의는 보여지고 있지 않다. 이 때 옆에서 보는 이로 하여금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기는 하지만 폭력으로 비화될 가능성은 없다고 보아진다.
이런 경우도 물론 모든 사람이 그런 것은 아니며 이런 사람의 심리기재는 자신의 존재 가치를 확인하려는 의도가 무의식 중에 깔려 있다고 하겠다. 보편적인 경우 이런 사람의 의식의 한쪽에는 세상에 대한 짙은 회의가 깔려 있으며 이것은 외부적으로 타인이 눈치를 못채도록 철저히 위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위장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보통은 화통한 성격으로 지극히 사교적인 모습으로 보여지고 있다. 이런 사람의 어린 시절은 대부분 정상적이지 않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아뭏튼 이러한 기능으로서 욕을 하는 것 또한 인간의 심리학적 메카니즘이라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周易>>
<<經國大典>>
<<엣센스 국어사전>> 민중서림
<<한단고기>> 임승국 정신세계사
<<金笠 放浪旅程>> 김용섭 박영사
<<精神分析 入門>> 프로이드 동서문화사
<<꿈의 해석>> 프로이드 을유문화사
<<정신분석과 문학비평>> 김열규外 고려원
<<어원별곡>>外 서정범 범조사
<<우리말 유래사전>> 박일환 우리교육
<<우리말의 뿌리>> 안옥규 학민사
<<우리말의 상상력>> 정호완 정신세계사
<<우리말 상소리사전>> 정태륭 프리미엄북스
<<현대국어의 생명 종식어에 대한 연구>> 배해수 태양출판사
<<동양 의학개론>> 강효신 고문사
<<曾脈 方藥合編>> 권기주 남산당
<<朝鮮時代 刑典>> 김기춘 삼영사
<<史記列傳>> 사마천 을유문화사
<<犯罪 心理學>> 이상현 박영사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02.02.22
  • 저작시기20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5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