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PC 의 CPU 종류
1) 8비트, 16비트, 32비트, 64비트로 구분
2) SX와 DX의 차이
3) CISC 프로세서와 RISC 프로세서
4) 주기억 장치
5) 보조기억장치
2. 프로그래밍 언어
3. 소프트웨어의 테스트 종류
4. 프로그래밍 기법
5. 집중 처리 시스템
6. 바이러스 퇴치 프로그램과 검사 프로그램
7. 롬 바이오스(ROM-BIOS)의 관리
1) 8비트, 16비트, 32비트, 64비트로 구분
2) SX와 DX의 차이
3) CISC 프로세서와 RISC 프로세서
4) 주기억 장치
5) 보조기억장치
2. 프로그래밍 언어
3. 소프트웨어의 테스트 종류
4. 프로그래밍 기법
5. 집중 처리 시스템
6. 바이러스 퇴치 프로그램과 검사 프로그램
7. 롬 바이오스(ROM-BIOS)의 관리
본문내용
IM등
4. 자기디스크의 접근시간 = 탐색시간 + 회전지연시간 + 전송시간
Access Time : 기억장치에서 정보를 꺼내는데 걸리는시간(Seek+Search)
Seek Time : 자료가 있는 트랙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Search Time : 트랙내의 실제 댕;타 까지 가는 시간
Transfer(전송) Time : 데이터를 기억장치로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
Rotational delay(회전지연시간) : 데이터가 있는 섹테어 헤드를 위치시키는 시간
5. 윈도우용 압축 프로그램
1) WinZip
WinZip Classic : 파일을 압축하고, 해제한다.
WinZip Wizard : 압축된 파일을 해제한다.
new(새로운 파일을 압축) Open(파일을 연다)
Fauontes(압축 파일의 목록을 표시한다.) Add(기본 파일에 추가하여 압축한다.)
Extract(압축을 해제한다.) View(파일 내용을 본다)
CheckOut(체크아웃을 실행한다.) Winzard (Winzard모드로 전환한다.)
※ PkZip, Pkunzip이 내장되어 있다.
arj, lzh, rar등의 다른 프로그램도 지원가능하다.
※ Winzard : 풀기만 가능
Classic : 압축 해제, 선택적 압축 해제도 가능
※ 압축 하기
new지정 -> 압축될 이름과 디렉토리 지정 -> ok
-> add 화면 나옴 -> 압축할 파일 선택 -> add 단추 누름
압축 풀기
압축파일 선택 -> extract 선택 -> 압축 풀 드라이브와 디렉토리 선택
-> extract를 클릭
2) WINRAR
1. 전자출판 시스템의 글꼴
1) 비트맵 글꼴 : 글자를 점의 집합으로 구성
서체와 크기별로 모든 글자를 제작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
확대나 변화를 주면 외곽이 깨지거나 거칠어지는 단점이 있다.
2) 포스트스크립트 글꼴 :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호환성이 높으며,
폰트를 마음대로 조절하는 유연성이 있고,
비트맵에 비해 데이터를 축약시켜서 보관하므로 네트워크 상에서 효율성이 높다.
단점은 비트 이미지 폰트를 바로 프린트한 것보다는 속도가 느리다.
위지윅을 지원할수 있다.
미국의 Adobe사가 개발한 페이지 기술 언어 PDL로 만든 언어이다.
계산 능력이 부족하여 화면 출력용 글꼴은 비트맵 폰트를 그대로 사용.
즉 화면용보다는 프린터용 글골로 사용함.
3) 트루타입 글꼴 : 마이크로소프트사와 애플 사에 의해 공동으로 개발
윈도우용 워드프로세서에서 사용.
포스트 스크립트를 보완해서 나옴.
화면용 글꼴과 프린터용 글꼴이 거의 차이가 없어 거의 완벽하게 위지윅을 지원하고 각종 그래픽 프로그램들에서 문자에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다.
현재 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4) 오픈타입 글꼴 : 고도의 압축을 틔해 파일의 용량을 줄인 글꼴
최근 인터넷을 통한 폰트의 전송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압축 기술에 적용된다.
트루 타입 폰트를 확장 하면서도 포스트스크립트 폰트 까지 포함.
2. 멀티미디어 의 소리(SOUND)
미디(MIDI) : 미디란 Music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의 약자로 전자음악을 위한 악기나 컴퓨터를 위하여 개발된 표준언어이댜.
벡터 그래픽과 마찬가지로 미디 파일도 다른 파일에 비해 매우 효율적인 파일 구조이다.
그러나 미디 파일에 의해 만들어진 소리는 재생하는 장치에 너무 의존적이어서 각각의
기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미디 파일은 음악 저장을 위해서는 매우 적당하다.
그러나 대화를 저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미디 파일을 잘 사용하는 사람에게도 다른 디지털 파일보다 수정하기 힘들다.
미디파일은 웨이브(WAV)파일이 필요로 하는 공간보다도 훨씬 적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같은 공간으로도 더 긴 음악을 저장할 수가 있다.
CD 오디오는 고급의 음질을 표현하고 있으나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1. 미디 음악 프로그램
시퀀서 프로그램 : MIDI신호를 입.출력하여 신디사이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작곡, 연주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2. 노테이션 프로그램
입력된 연주 정보를 악보로 만들어 주는 프로그램으로 인쇄, 출판용으로 많이 사용되
며 스코어 프로그램이라고도 한다.
3. 음색 편집 프로그램
신디사이저의 음색을 원하는 형태로 편집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으로서 악기의
패널을 통한 불편한 편집 작업을 도와주기 위한 것이다.
4. 디지털 오디오 프로그램
초근 각광 받고 있는 분야 이다.
3. 레지스트리 오류
. 레지스트리 오류를 없애려면
하드 포맷 -> 운영체제 설치 -> 디스크 조각모음
-> 프로그램 하나 설치 -> 디스크조각모음을 반복
. 서로 다른 회사의 RAM이 설치된 경우 에 레지스트리오류가 나옴.
. 설치된 핀의 개수에 따라 레지스트리 오류가 나옴.
4. 네트워크 환경 : 그룹 컴퓨터와 전체네트워크 컴퓨터의 상태 보여줌
케이블 직접 연결 : LAN 연결 없어도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의 자료 공유가 가능
Exchange : 전자우편 송수신이 가능한 「받은 편지함」 제공 -> 온라인 서비스를
팩스등 모든 유형의 정보 구성, 액세스, 공유가 가능
전화 접속 네트워킹 : 모뎀을 이용하여 원거리에 있는 시스템과 접속할 수 있는 기능 제공
하이퍼 터미널 : 국내에서 제공하는 하이텔, 천리안, 나우누리등과 같은 PC통신망에 접속 가능
전화 걸기 : 전화번호부 기능과 함께 자동적으로 전화를 걸어주는 기능,
반드시 시스템과 전화가 연결되 있어야 한다.
5. 토폴로지(통신망 구조)
: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와 이들 노드간의 연결상태에 대한 기하학적인 배치
① 스타형 : 모든 노드를 일대일로 연결하므로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② 링형 : 간단하지만 약간의 통신 지체가 발생할 수 있고 각 노드마다 특정 고유주소를 할당하여야 하며 어떤
노드를 찾아갈 때 어느 길로 가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③ 버스형 : 케이블링에 소용되는 비용이 최소이며 각 노드의 고장이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에 전혀 영향을 미치
지 않지만 베이스 밴드 방식을 사용하면 거리에 민감하여 거리상 제약을 가지는 단점이 있다.
4. 자기디스크의 접근시간 = 탐색시간 + 회전지연시간 + 전송시간
Access Time : 기억장치에서 정보를 꺼내는데 걸리는시간(Seek+Search)
Seek Time : 자료가 있는 트랙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Search Time : 트랙내의 실제 댕;타 까지 가는 시간
Transfer(전송) Time : 데이터를 기억장치로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
Rotational delay(회전지연시간) : 데이터가 있는 섹테어 헤드를 위치시키는 시간
5. 윈도우용 압축 프로그램
1) WinZip
WinZip Classic : 파일을 압축하고, 해제한다.
WinZip Wizard : 압축된 파일을 해제한다.
new(새로운 파일을 압축) Open(파일을 연다)
Fauontes(압축 파일의 목록을 표시한다.) Add(기본 파일에 추가하여 압축한다.)
Extract(압축을 해제한다.) View(파일 내용을 본다)
CheckOut(체크아웃을 실행한다.) Winzard (Winzard모드로 전환한다.)
※ PkZip, Pkunzip이 내장되어 있다.
arj, lzh, rar등의 다른 프로그램도 지원가능하다.
※ Winzard : 풀기만 가능
Classic : 압축 해제, 선택적 압축 해제도 가능
※ 압축 하기
new지정 -> 압축될 이름과 디렉토리 지정 -> ok
-> add 화면 나옴 -> 압축할 파일 선택 -> add 단추 누름
압축 풀기
압축파일 선택 -> extract 선택 -> 압축 풀 드라이브와 디렉토리 선택
-> extract를 클릭
2) WINRAR
1. 전자출판 시스템의 글꼴
1) 비트맵 글꼴 : 글자를 점의 집합으로 구성
서체와 크기별로 모든 글자를 제작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
확대나 변화를 주면 외곽이 깨지거나 거칠어지는 단점이 있다.
2) 포스트스크립트 글꼴 :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호환성이 높으며,
폰트를 마음대로 조절하는 유연성이 있고,
비트맵에 비해 데이터를 축약시켜서 보관하므로 네트워크 상에서 효율성이 높다.
단점은 비트 이미지 폰트를 바로 프린트한 것보다는 속도가 느리다.
위지윅을 지원할수 있다.
미국의 Adobe사가 개발한 페이지 기술 언어 PDL로 만든 언어이다.
계산 능력이 부족하여 화면 출력용 글꼴은 비트맵 폰트를 그대로 사용.
즉 화면용보다는 프린터용 글골로 사용함.
3) 트루타입 글꼴 : 마이크로소프트사와 애플 사에 의해 공동으로 개발
윈도우용 워드프로세서에서 사용.
포스트 스크립트를 보완해서 나옴.
화면용 글꼴과 프린터용 글꼴이 거의 차이가 없어 거의 완벽하게 위지윅을 지원하고 각종 그래픽 프로그램들에서 문자에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다.
현재 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4) 오픈타입 글꼴 : 고도의 압축을 틔해 파일의 용량을 줄인 글꼴
최근 인터넷을 통한 폰트의 전송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압축 기술에 적용된다.
트루 타입 폰트를 확장 하면서도 포스트스크립트 폰트 까지 포함.
2. 멀티미디어 의 소리(SOUND)
미디(MIDI) : 미디란 Music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의 약자로 전자음악을 위한 악기나 컴퓨터를 위하여 개발된 표준언어이댜.
벡터 그래픽과 마찬가지로 미디 파일도 다른 파일에 비해 매우 효율적인 파일 구조이다.
그러나 미디 파일에 의해 만들어진 소리는 재생하는 장치에 너무 의존적이어서 각각의
기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미디 파일은 음악 저장을 위해서는 매우 적당하다.
그러나 대화를 저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미디 파일을 잘 사용하는 사람에게도 다른 디지털 파일보다 수정하기 힘들다.
미디파일은 웨이브(WAV)파일이 필요로 하는 공간보다도 훨씬 적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같은 공간으로도 더 긴 음악을 저장할 수가 있다.
CD 오디오는 고급의 음질을 표현하고 있으나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1. 미디 음악 프로그램
시퀀서 프로그램 : MIDI신호를 입.출력하여 신디사이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작곡, 연주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2. 노테이션 프로그램
입력된 연주 정보를 악보로 만들어 주는 프로그램으로 인쇄, 출판용으로 많이 사용되
며 스코어 프로그램이라고도 한다.
3. 음색 편집 프로그램
신디사이저의 음색을 원하는 형태로 편집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으로서 악기의
패널을 통한 불편한 편집 작업을 도와주기 위한 것이다.
4. 디지털 오디오 프로그램
초근 각광 받고 있는 분야 이다.
3. 레지스트리 오류
. 레지스트리 오류를 없애려면
하드 포맷 -> 운영체제 설치 -> 디스크 조각모음
-> 프로그램 하나 설치 -> 디스크조각모음을 반복
. 서로 다른 회사의 RAM이 설치된 경우 에 레지스트리오류가 나옴.
. 설치된 핀의 개수에 따라 레지스트리 오류가 나옴.
4. 네트워크 환경 : 그룹 컴퓨터와 전체네트워크 컴퓨터의 상태 보여줌
케이블 직접 연결 : LAN 연결 없어도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의 자료 공유가 가능
Exchange : 전자우편 송수신이 가능한 「받은 편지함」 제공 -> 온라인 서비스를
팩스등 모든 유형의 정보 구성, 액세스, 공유가 가능
전화 접속 네트워킹 : 모뎀을 이용하여 원거리에 있는 시스템과 접속할 수 있는 기능 제공
하이퍼 터미널 : 국내에서 제공하는 하이텔, 천리안, 나우누리등과 같은 PC통신망에 접속 가능
전화 걸기 : 전화번호부 기능과 함께 자동적으로 전화를 걸어주는 기능,
반드시 시스템과 전화가 연결되 있어야 한다.
5. 토폴로지(통신망 구조)
: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와 이들 노드간의 연결상태에 대한 기하학적인 배치
① 스타형 : 모든 노드를 일대일로 연결하므로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② 링형 : 간단하지만 약간의 통신 지체가 발생할 수 있고 각 노드마다 특정 고유주소를 할당하여야 하며 어떤
노드를 찾아갈 때 어느 길로 가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③ 버스형 : 케이블링에 소용되는 비용이 최소이며 각 노드의 고장이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에 전혀 영향을 미치
지 않지만 베이스 밴드 방식을 사용하면 거리에 민감하여 거리상 제약을 가지는 단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