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제제기
Ⅱ. 정체성 정치의 전략들
1. 동화의 전략
2. 차이의 전략
3. 성찰적 연대의 전략
4. 해체의 전략
5. 접합의 전략
Ⅲ. 맺음말
Ⅱ. 정체성 정치의 전략들
1. 동화의 전략
2. 차이의 전략
3. 성찰적 연대의 전략
4. 해체의 전략
5. 접합의 전략
Ⅲ. 맺음말
본문내용
다른 한편 계급정치나 민족운동의 위기 이후에 대두된 이데올로기의 문제설정이나 대중문화에 대한 시선 돌리기, 신세대 하위문화에 대한 지식인들의 경탄과 환호 속에서도 정체성의 문제는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반문화, 마이너리티라는 저항적 이미지로 채색되어 있는 사이, 민주주의와 정체성의 정치와의 관계는 잊혀진 문제가 되어 버렸다. 사실 그들의 전복적 힘은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스스로 주변화하는 시선 속에 자신의 정체성을 마냥 붙들고 있는 차이의 정치의 또 다른 딜레마를 발견할 수 있을 뿐이다.
요컨대, 정체성의 문제는 그것이 위치한 '맥락성'의 문제와 떨어져서는 생각할 수 없다. 맥락으로부터 추출된 정체성에는 오직 죽은 기표만이 난무할 뿐이다. 순응과 저항의 갈림길은 주체와 맥락의 역동적 관계에서 비롯된다. 그런 의미에서 정체성의 문제는 민주주의의 문제를 새롭게 재규정하는 과제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참 고 문 헌
Alcoff, L. (1997), 「문화주의 페미니즘 대 후기 구조주의」, 이창순 편역, 『페미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만남』, 한울
Bhabha, H. (1996), "Culture's In-Between", S.Hall & P.Du Gay eds.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SAGE Publication.
Bondi, L. (1993), "Locating Identity Politics", M.Keith & S.Pile eds., Place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Routledge.
Butler, J. (1990), Gender Trouble: Gender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Routledge
Calhoun, C. (1994), "Social Theory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C.Calhoun eds. Social Theory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Blackwell.
Dean, J. (1996), Solidarity of Strangers, California Univ Press.
Fraser, N. (1995), "From Redistribution to Recognition?", New Left Review 212
_________ (1996), "Equality, Difference, and Radical Democracy", D.Trend ed. Radical Democracy, Routledge.
Grossberg, L. (1992), We Gotta Get Out of This Place, Routlede.
_____________ (1996), "Identity and Cultural Studies--Is That all There Is?", S.Hall & P.Du Gay eds.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SAGE Publication.
Habermas, J. (1994), "Struggles for Recognition in Democratic Constitutional State", A.Gutmann ed., Multiculturalism: Examining the Politics of Recognition, Prinston Univ.
Hall, S. (1987), "Minimal Selves", S.Hall eds. The Real Me, Routledge.
_______ (1995), "Not a Postmodern Nomad", ARENA Journal 5.
_______(1996a), "Introduction: Who Needs Identity?", S.Hall & P.Du Gay eds.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SAGE Publication.
_______(1996b), 「포스트모더니즘과 접합」,임영호 편역, 『스튜어트 홀의 문화이론』, 한나래
Honneth, A. (1996), 『인정투쟁』, 동녘
Laclau, E. (1995), "Subject of Politics, Politics of the Subject", Difference 7.
MaLaren, P. (1995), "White Terror and Oppositional Agency", D.T.Goldberg ed., Multiculturalism: A Critical Reader
Meehan, J. ed. (1995), Feminists Read Habermas, Routledge
Mouffe, C. (1995a), "Demacratic Politics and the Question of Identity", J.Rajchman ed. Identity in Question, Routledge.
__________ (1995b), 「페미니즘, 시민권, 그리고 급진민주주주의 정치」, 『미셀 푸코, 섹슈얼리티의 정치와 페미니즘』, 새물결
Lash, S. & J. Urry (1998), 『기호와 공간의 경제』, 현대미학사
Ratz, J. (1994), "Multiculturalism: Liberal Perspective", Dissent 1994 winter
Scott, J. (1995), "Multiculturalism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J.Rajchman ed. Identity in Question, Routledge.
Taylor, C. (1996), 「승인투쟁과 인권: 차이의 정치를 향하여」,서울대 국제학술회의 발표문
Tong, R. (1995), 『페미니즘 사상』, 한신문화사
Weedon, C. (1993), 『여성해방의 실천과 후기 구조주의 이론』, 이대 출판부
Weir, A. (1996), Sacrificial Logics, Routledge
Young, I. (1995), "Polity and Group Difference", R.Beinar ed., Theorizing Citizenship, State Univisity of New York Press.
요컨대, 정체성의 문제는 그것이 위치한 '맥락성'의 문제와 떨어져서는 생각할 수 없다. 맥락으로부터 추출된 정체성에는 오직 죽은 기표만이 난무할 뿐이다. 순응과 저항의 갈림길은 주체와 맥락의 역동적 관계에서 비롯된다. 그런 의미에서 정체성의 문제는 민주주의의 문제를 새롭게 재규정하는 과제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참 고 문 헌
Alcoff, L. (1997), 「문화주의 페미니즘 대 후기 구조주의」, 이창순 편역, 『페미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만남』, 한울
Bhabha, H. (1996), "Culture's In-Between", S.Hall & P.Du Gay eds.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SAGE Publication.
Bondi, L. (1993), "Locating Identity Politics", M.Keith & S.Pile eds., Place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Routledge.
Butler, J. (1990), Gender Trouble: Gender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Routledge
Calhoun, C. (1994), "Social Theory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C.Calhoun eds. Social Theory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Blackwell.
Dean, J. (1996), Solidarity of Strangers, California Univ Press.
Fraser, N. (1995), "From Redistribution to Recognition?", New Left Review 212
_________ (1996), "Equality, Difference, and Radical Democracy", D.Trend ed. Radical Democracy, Routledge.
Grossberg, L. (1992), We Gotta Get Out of This Place, Routlede.
_____________ (1996), "Identity and Cultural Studies--Is That all There Is?", S.Hall & P.Du Gay eds.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SAGE Publication.
Habermas, J. (1994), "Struggles for Recognition in Democratic Constitutional State", A.Gutmann ed., Multiculturalism: Examining the Politics of Recognition, Prinston Univ.
Hall, S. (1987), "Minimal Selves", S.Hall eds. The Real Me, Routledge.
_______ (1995), "Not a Postmodern Nomad", ARENA Journal 5.
_______(1996a), "Introduction: Who Needs Identity?", S.Hall & P.Du Gay eds.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SAGE Publication.
_______(1996b), 「포스트모더니즘과 접합」,임영호 편역, 『스튜어트 홀의 문화이론』, 한나래
Honneth, A. (1996), 『인정투쟁』, 동녘
Laclau, E. (1995), "Subject of Politics, Politics of the Subject", Difference 7.
MaLaren, P. (1995), "White Terror and Oppositional Agency", D.T.Goldberg ed., Multiculturalism: A Critical Reader
Meehan, J. ed. (1995), Feminists Read Habermas, Routledge
Mouffe, C. (1995a), "Demacratic Politics and the Question of Identity", J.Rajchman ed. Identity in Question, Routledge.
__________ (1995b), 「페미니즘, 시민권, 그리고 급진민주주주의 정치」, 『미셀 푸코, 섹슈얼리티의 정치와 페미니즘』, 새물결
Lash, S. & J. Urry (1998), 『기호와 공간의 경제』, 현대미학사
Ratz, J. (1994), "Multiculturalism: Liberal Perspective", Dissent 1994 winter
Scott, J. (1995), "Multiculturalism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J.Rajchman ed. Identity in Question, Routledge.
Taylor, C. (1996), 「승인투쟁과 인권: 차이의 정치를 향하여」,서울대 국제학술회의 발표문
Tong, R. (1995), 『페미니즘 사상』, 한신문화사
Weedon, C. (1993), 『여성해방의 실천과 후기 구조주의 이론』, 이대 출판부
Weir, A. (1996), Sacrificial Logics, Routledge
Young, I. (1995), "Polity and Group Difference", R.Beinar ed., Theorizing Citizenship, State Univisity of New York Press.
추천자료
[정치]인터넷정치, 사이버정치, 미디어정치, 정치광고의 변화, 현상과 인터넷정치, 사이버정...
[미디어와 정치 관계][미디어정치 의의][미디어정치 쟁점][미디어정치 평가][미디어정치 시사...
[정치광고][정치][광고][시각적 메시지][상업광고]정치광고의 기본 방향, 정치광고의 시각적 ...
[미디어정치][미디어][정치]미디어와 정치의 관계, 미디어정치의 정의, 미디어정치의 의의, ...
[정치권력][언론]정치권력에 대한 언론의 필요수단, 정치권력에 대한 언론의 현상, 정치권력...
[언론의 정치권력]언론권력(언론의 정치권력)의 유형, 언론권력(언론의 정치권력)의 감시기능...
[정치광고][정치광고 문제점][정치광고 개선방안][정치광고 평가]정치광고의 정의, 정치광고...
[정당][정당정치][민주주의][지역주의][정당 발전방향]정당(정당정치)의 의미, 정당(정당정치...
[노동자 정치세력화][노동자][근로자]노동자 정치세력화의 정의, 노동자 정치세력화의 전개, ...
[노동자 정치세력화][정치세력화]노동자 정치세력화의 의미, 노동자 정치세력화의 구성요소, ...
[정치구조, 정치구조와 자본주의체제, 정치구조와 국가, 정치구조와 제3세계, 전쟁, 고대사회...
[일본정치, 금융개혁, 국회운영, 군국주의]일본정치와 금융개혁, 일본정치와 국회운영, 일본...
[노동자 정치세력화, 노동자, 정치세력화]노동자 정치세력화의 개념, 노동자 정치세력화와 노...
[생산][정치][생산과 정치 종속][생산과 정치 생산주의][생산과 정치 조직투쟁][생산과 정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