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삼가해의 어휘적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금강경삼가해의 어휘적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어 일람
2. 사어 특성
3. 난해사어 고찰

Ⅲ. 결론

본문내용

년)라는 실용서적 사이의 80년간 국어의 변화 모습을 고찰할 수 있는 국어학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더구나 본서는 319장이라는 방대한 분량으로 佛經諺解類의 대표적인 작품의 하나로 연구의 의미가 있다.
金剛經三家解의 語彙的 分析 가운데 주로 死語를 정리하고, 그 특성을 고찰하며, 특히 代替語가 업는 C型 死語를 중심으로 難解死語를 살펴 보았는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金剛經三家解에 나오는 순우리말 死語는 모두 128단어였다. 本稿에서는 같은 死語가 2回이상 나오는 경우나, 漢字語로 된 死語는 論外로 하였다.
2. 死語를 品詞別로 보면, 명사 27, 동사 56, 형용사 36, 부사 9단어 순이다. 사어의 품사별 분포는 명사가 상대적으로 많은 우리말 분포로 볼 때, 동사, 형용사 등 주로 용언에서 많음을 볼 수 있다. 이것은 月印千江之曲이나 訓蒙字會와도 비슷한 통계였다.
다만 명사 중심으로 된 漢字語인 佛敎語彙가 제외되었음이 한 원인이 될 것이라고 본다.
3. 代替語를 유형화하였는데, 전체 128개 死語 중에 고유어로 대체된 것(A형)이 76단어, 漢字語로 대체된 것(B형)이 29단어, 대체어도 없이 사멸된 사어(C형)가 23단어였다.
B형은 漢字語라는 語源意識의 소멸에서 온 것이라고 보며, C형은 전체 사어의 약 18%(23단어)에 해당하는데, 이것은 언어의 역사성에 따른 사회, 언어, 문화적인 요인이 있었을 것으로 본다.
특히 C형 사어는 대체어가 없기 때문에 의미나 형태 및 소멸시기 등이 불분명한 難解語가 많았다.
4. \'걸\' (2:37a)은 개울, 시내라는 뜻으로, 까락(指), 갈다(分), 까힝다(擇), 거리다(岐), 거리(街)등과 [K]+V+[l,r]형태로 同根이다.
문헌으로 보면, 楞嚴經諺解(1462년)부터 본서까지 약 20년간 쓰였던 사어였다.
5. \'까외\'(2:61a)는 중세국어에서 남녀를 포함하여 아래에 입는 옷을 나타낸 단어였다. 이 말은 鷄林類事의 柯背(가힝)의 전승으로 보는데, 중세국어에서 15세기 초엽에 \'치마\'가, 16세기 초엽에 \'바지\'가 新造語로 등장하기까지 쓰였던 死語였다.
6. \'귓것\' (2:76)은 귀신이나 도깨비 등 民俗的으로 궂은 대상물을 통칭하는 단어였을 것이다. 한자어의 영향때문에 \'굿것\'이 \'귓(鬼)것\'으로 誤綴되었다고 본다.
\'굿(궂)\'은 [K]+V+[t1]의 형태로 \'궂다, 구석\'등의 同根이 있다.
7. \'다압다\' (3:55a)는 \'천하다, 속되다, 낮다\'라는 뜻으로 15세기까지 쓰였다. 형태는 \'다(卑)+압다(형용사화 접미사)로 보며, 낮다(低, 卑, 賤)와 同根을 이룬다.
8. \'마초힝다\' (2:57a)는 증명하다, 상고하다 등 맞추어 알아보다 라는 뜻으로, 마초다(適, 合, 照, 證, 參, 對)+힝다(作, 織)의 복합형태로 볼 수 있다.
맞다(迎, 適), 마지힝다(逢, 迎), 마조(相), 마침(適), 맞갑다(適當), 맛디다(任)등과 同根이었다고 본다.
9. \'멀텁다\' (4:2b)는 더럽다, 거칠다, 혼미하다 라는 의미로, 멀[m l]의 형태인 멀더건(멀떠구니), 멀우다(눈을 멀게하다), 멀터이(대강), 멀험(마구)등과 同根關係라고 본다.
10. \'바지링다\' (涵:13a)는 본서에만 유일하게 나타나는 稀貴語로서 공교롭다, 솜씨있다 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형태는 바지(工, 匠)+링(롭)다(형용사화 접미사)로 추측되며, 현대국어의 바지런하다, 부지런하다 등이 그 의미의 일부를 전승하고 있다고 본다.
11. \'싶밑뎡\' (4:24b)는 팔짱이라는 뜻으로 사용된 사어다. 빛(臂)이 하로 변하며 하더(하뎡)이 나타나던 15세기 후반까지 주로 佛家에서 사용하던 것으로 본다.
싶밑(袖)+ㅅ+뎡(명사화접미사)로 분석된다.
12. \'어히다\' (4:28a)는 베다, 사기다 등 넓은 뜻으로 쓰이다가 대체어도 없이 사어가 되고, 의미는 유사한 다른 단어들로 분산되었다고 본다.
현대국어에서 에이다(살을 에이는 듯한 추위) 등이 형태적 전승이 아닌가 생각한다.
13. \'이대\'(涵:10a)는 \'잘, 좋게, 평안히\' 등의 의미로, 형태는 인(善)+애(부사화접미사)로 본다.
중세국어에서 \'이대\'는 逢別의 인사말로도 쓰이는 등 祝願意味의 단어로 17세기까지 쓰이다가 死語化되었다.
14. \'저힝다\' (1:34b)는 절하옵다 등 神이나 윗사람에게 극존의 예의를 표하는 모든 행위의 통칭으로 쓰였던 사어로 본다.
제(畏, 恐)+싶다 의 형태로 저프다(怯), 좃다(稽), 절(拜) 등과 同根으로 본다.
참 고 문 헌
姜憲圭(1988), ≪韓國語 語源硏究史≫, 集文堂.
金完鎭(1971), ≪國語音韻體系의 硏究≫, 一潮閣.
김순자(1984), ≪마경초집 언해≫의 국어학적 연구,
―음운과 형태를 중심으로― 부산대 석사 논문.
金英培(1975), 「金剛經三家解 第一에 대하여」 ―그 稀貴語를 中心으로―
≪垂蓮語文論集≫ 제3집 부산여대 국어교육과.
金鎭奎(1981), 「死語의 類型的 硏究」,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訓蒙字解語彙硏究≫, 螢雪出版社.
김필규(1968), 「金剛經三家解」의 국어학적 고찰, 동아대 석사학위 논문.
南廣祐(1960), ≪國語學論文集≫, 一潮閣.
박태권(1976), ≪국어학사논고≫, 샘문화사.
徐在克(1980), ≪中世國語單語族硏究≫, 啓明大出版部.
孫聖芝(1991), ≪飜譯老乞大≫와 ≪老乞大諺解≫의 語尾體系硏究, 啓明大 석사학위 논문.
심재기(1982), ≪國語語彙論≫, 集文堂.
沈在完(1981), ≪金剛經三家解≫(全).
劉昌惇(1980), ≪語彙史硏究≫, 이우출판.
全在昊(1987), ≪國語語彙史硏究≫, 경북대 출판부.
鄭宇永(1990), 「成宗朝正音文獻의 表記에 대한 몇가지 考察」, ―金三과 南明을 중심으로―
≪靑坡徐楠春敎授停年退任紀念論文集≫.
千時權·金宗澤(1993), ≪國語意味論≫, 螢雪出版社.
洪喆基(1988), 「佛敎語彙硏究」, ―借用上 類型을 中心으로― 중앙대 석사학위 논문.
黃弘周(1989), 「佛說大報父母恩重經諺解」의 國語學的 硏究, ―異本比較를 中心으로―
단국대 석사학위 논문.
≪古語辭典≫, 1979, 일조각.
≪李朝語辭典≫, 1987, 연세대 출판부.
≪우리말 큰사전≫, 1992, 한글학회.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2.03.13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8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