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무당을 중심한 종교현상을 어떻게 이름지을 것인가?
2. 한국 샤머니즘의 역사는?
3. 한국의 역사와 문화속에서 샤머니즘에 대한 인식은?
4. 한국 샤머니즘의 의미와 기능
2. 한국 샤머니즘의 역사는?
3. 한국의 역사와 문화속에서 샤머니즘에 대한 인식은?
4. 한국 샤머니즘의 의미와 기능
본문내용
이나 상류계층에서도 무당은 두루 신봉되었지만, 그들의 종교생활은 때때로 유교, 불교 등의 다른 종교체계에도 의지할 때도 많았다. 그에 비하면 일반 민중들의 종교적 삶에 무당이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컸다고 보는 것이다.
"조선인은 개인적으로 공자로부터 교육을 받고, 부인을 불타에 보내어 자식을 간구하게 하며, 삶의 곤경에 처해서는 무당에게 기꺼이 복채를 지불한다"는 서양인 선교사 존스와 헐버트의 지적에서도 보듯이, 한국인은 여러 종교를 함께 지니고 있지만, 삶의 위기에 이르러서는 결구 샤머니즘에 의존하며, 이 때문에 샤머니즘은 갖은 탄압과 멸시 속에서도 존속되어 왔던 것이다. 특히 일반 민중들의 종교 심성으로는 무당의 엑스타시를 중심한 격렬하며 신명나는 굿판이 불공이나 예배나 미사보다는, 훨씬 인간의 문제를 풀어버리는 데 적합했으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개인의 문제를 떠나서도, 농업이나 어업을 위주로 하는 마을 공동체의 안녕과 번영을 빌기 위해서도 다른 종교보다는 역시 샤머니즘이 그 역할을 맡아 올 수 있었다.
여기에 한국의 종교구조가 지니는 우주종교의 성격 또는 종교 혼합성도 샤머니즘이 여러 종교와 공존할 수 있었던 하나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조선인은 개인적으로 공자로부터 교육을 받고, 부인을 불타에 보내어 자식을 간구하게 하며, 삶의 곤경에 처해서는 무당에게 기꺼이 복채를 지불한다"는 서양인 선교사 존스와 헐버트의 지적에서도 보듯이, 한국인은 여러 종교를 함께 지니고 있지만, 삶의 위기에 이르러서는 결구 샤머니즘에 의존하며, 이 때문에 샤머니즘은 갖은 탄압과 멸시 속에서도 존속되어 왔던 것이다. 특히 일반 민중들의 종교 심성으로는 무당의 엑스타시를 중심한 격렬하며 신명나는 굿판이 불공이나 예배나 미사보다는, 훨씬 인간의 문제를 풀어버리는 데 적합했으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개인의 문제를 떠나서도, 농업이나 어업을 위주로 하는 마을 공동체의 안녕과 번영을 빌기 위해서도 다른 종교보다는 역시 샤머니즘이 그 역할을 맡아 올 수 있었다.
여기에 한국의 종교구조가 지니는 우주종교의 성격 또는 종교 혼합성도 샤머니즘이 여러 종교와 공존할 수 있었던 하나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