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과(피복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피복구성
1. 피복구성학
2. 의복 구조의 특성
3. 피복의 구성방법
4. 피복제작
5. 피복구성

● 피복제도
1. 재단
2. 봉제

본문내용

갈고리 모양의 걸이 잠그는 기구로 스냅보다는 연결시키는 힘이 강하다. 트기 끝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많이 쓰이며 윗단에는 0.2∼0.3㎝ 정도 들여 단다. 밑단에는 0.2∼0.3㎝ 정도 내다 단다.
4) 재봉틀 다루기
재봉틀을 이용한 바느질은 손으로 하는 것보다 곱고 튼튼하다.
① 재봉틀의 손질
재봉은 먼지를 잘 닦아 내고 기름을 적당히 치면서 사용해야 바느질이 잘 되고 기계의 수명도 길어진다. 특히 북이나 헝겊을 미는 톱니 등에는 고장이 나기 쉬우므로 부드러운 솔로 떨거나 헝겊으로 기름을 묻혀 자주 닦아내도록 한다.
(가) 기름 주기 : 재봉틀에 기름을 친 후에는 반드시 헝겊으로 잘 닦아 내고, 사용하기 전 에 먼저 실험을 해 보아 옷감에 기름이 묻지 않도록 유의한다.
(나) 고장과 수리 : 재봉틀은 정밀한 기계이므로 바늘이나 실이 맞지 않거나 기계를 잘못 다루면 고장이 나기 쉬우므로 항상 조심하여 다루어야한다.
② 옷감과 바늘, 실, 땀의 관계
옷감의 성질과 조직에 알맞은 바늘과 실을 선택하여 적당한 바느질땀으로 바느질하였을 때 바느질이 아름답고 질기고, 옷의 모양과 역할을 다하게 한다. 바느질 실의 선정은 기본적으로 헝겊과 같은 재질의 실을 택한다. 실의 굵기도 옷감에 맞추어서 쓴다. 봉제상 심퍼커링이 일어나는 현상을 맞기 위하여 재봉틀의 회전수/위실과 밀실의 장력, 바느질 땀의 크기, 실의 굵기, 옷감의 두께, 밀도 등과 바느질 실의 수축성과 신장탄성 등을 잘 고려하여 알맞게 선택하여야 한다.(심퍼커링이란 바느질을 해 놓았을 때 옷감이 본래 길이보다 늘어났거나 혹은 쪼글쪼글하게 오그라드는 현상)

키워드

,   바느질,   피복,   재단,   봉제,   피복제작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3.18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1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