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문장의 보문구조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없다. 목적어를 대신하여 쓰이기도 하고, 목적어가 있는 문장에도 쓰이며, 자동사와 함께 쓰이기도 해서 어떤 특정의 문장성분과 일치시킬 수 없다. 인용절이 다른 절들과 공유하는 구조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 안긴문의 구조를 인용조사의 관점에서 보면 (ㄹ)과 같다.
10) ㄱ. 농부는 농사가 잘 되기를 바란다.
ㄴ. 그가 돌아온다는(고 하는) 소문이 있다.
ㄷ. 나는 그가 옳다고 생각한다.
ㄹ. S→X(NP-VP)-SE-P(P:는 조사)
이러한 해석은 결국 국어에는 S'→S Comp라는 구조에서의 S'가 불필요함을 보여준다. 국어의 안긴문과 안은문은 모두 S에 의해서 구조표현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영어에서의 보문자가 국어에서는 어미에 의해서 표시된다는 점에서 국어와 영어는 명백한 차이가 있다.
  • 가격7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2.03.20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1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