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화용론연구-전제(Presupposition)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7.0 서론

7.1 역사적 배경

7.2 현상 : 기본 관찰

7.3 문제가 되는 속성

7.4 설명 방법

7.5 결론

본문내용

적 전제를 정의함. 그러나 이 이론에는 문제가 많다
(179) If Nixon knows the war is over, the war is over
(Nixon이 전쟁이 끝난 것을 안다면, 그 전쟁은 끝났다)
(180) The war is over(전쟁은 끝났다)
후속절이 선행절의 전제 (180)을 함의하지만 (179)에서의 여과를 설명할 수 없다. 즉 전제 는 화맥에 의존
2 Gazdar의 이론 : 전제는 실제로 삭제된다. 문장의 모든 잠정적 전제는 완전한 집합으로 생성된다. 복문의 전제는 각 구성문의 전제로 구성된다. 그리고 삭제장치(화맥은 대화참여자가 서로 알고 있거나 적어도 논쟁 없이 받아들여지는 명제의 집합으로 구성)는 전체의 잠정적 전제 중에 특정 화맥에서 발화된 문장의 실제적 전제가 되는 것들은 가려내는 역할을 한다(문장 : 잠정적 전제, 발화 : 실제적 전제). 그러므로 대화참여자는 대화 또는 담화에 허용된 명제를 추가하여 화맥을 늘려가는데 추가적 명제들은 이미 화맥에 있는 모든 명제와 일치할 때만 더해진다
* 발화문의 추론이 더해지는 순서
1 발화문 S의 함의 2 S의 절 대화함축 3 S의 척도 대화함축 4 S의 전제
-- 대화함축과 전제의 삭제 작용의 예
(193) If there is a King of France, the King of France doesn't any longer live in Versailles
(만일 불란서 왕이 있다면, 그 불란서 왕은 더 이상 Versailles 궁전에 살지 않는다)
(194) The speaker knows that there exists a King of France
(화자는 불란서 왕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195) It is consistent with all the speaker knows that there is not a King of France
(그것은 불란서 왕이 없다는 것을 모든 화자가 알고 있다는 것과 일치한다)
(193)은 후속절에 있는 한정적 기술에 의해 생긴 (194)를 잠정적으로 전제한다. 그러나 이 것은 조건문의 절함축 (195)에 의해 취소된다. 왜냐하면 (195)가 잠정적 전제 (194)보다 먼저 화맥에 더해지기 때문에 (195)와 상충되는 전제 (194)는 차단
* Gazdar 이론의 장점
화맥적 취소가능성의 경우를 다루면서 임의적으로 복잡한 문장의 투사문제에 대한 해결책 을 정확하게 예측한다
∴ 12의 이론은 투사문제를 다루는 전제에 대한 가장 발전된 이론. 그러나 두 이론은 각 각의 전제 유발장치가 어휘목록이나 다른 곳에 기록된 자신의 전제를 가질 것이라고 가 정. 전제를 어휘별로 다루지 않고 화용론적 원리에 의해 전제를 예측할 전제유발장치 필요
* 전제 유발장치의 장점
1 전제 유발장치의 의미적 내용과 그에 상응하는 전제 사이에는 항상 직관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는 듯하다
2 어휘별로 전제를 다루는 것은 전제가 임의적인 약정에 의해서만 전제유발장치에 딸려 있다고 하는 것을 암시. 그런 경우 다른 언어에서도 전제유발장치가 다소 비슷하리라는 것을 기대할 수 없다
* 일반적 원리를 바탕으로 한 전제적 현상의 접근법
1) Wilson & Sperber 이론 : 의미론적 표현은 그들과 상호작용하고 있는 간단한 화용론적 원리가 전제를 예측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풍요로워야 한다. 적절한 의미론적 표현은 함의(배경(background)함의와 전경(fore ground)함의)의 순서적 집합으로 구성되며 함의 순서는 논리적이다
(212) John is married to Sarah(John은 Sarah와 결혼했다)
(213) a. John is married to Sarah (전경)
(John은 Sarah와 결혼했다)
b. John is married to someone (첫 번째 배경함의)
(John은 누군가와 결혼했다)
c. John has some property(John은 어떤 속성을 기지고 있다)
d. Something is the case(무언가가 사실이다)
(212)는 초점이 되는 구성요소 즉 Sarah 대신 한정된 변항(someone)으로 대치함으로써 얻어진다. 초점 대신 변항으로 대치해서 얻어진 첫 번째 함의 (b)는 첫 번째 배경함의. 이 것에 함의된 c, d도 배경의 일부. 배경에 앞선 모든 함의 (a)는 전경의 일부다. 배경함의 는 화맥과 무관하며 문장을 말하는 요점은 전경 (a)을 얻기 위해 배경에 더해져야 하는 정보이다. 그러므로 전제는 배경함의
2) Atlas & Levinson 이론 : 화용론적 추론을 생성해내는데 논리형태의 역할을 중시
-논리형태 ① 그것은 직관적으로 중요한 문장의 의미론적 구조를 포착해야 한다
② 그것은 그것이 화맥에서 만들어낼 화용론적 추론을 정확하게 예측해야 한다
(215) It was John that Mary kissed(Mary가 키스한 것은 John이었다)
(216) x(x=John) ( x Kiss(Mary, x))
·람다추출 : 복잡한 속성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
·감마연산 : 집합적인 어휘구성 예) x(A)x : A의 속성을 지니는 개체 x의 집합
(216)은 'Mary가 키스한 집단은 John과 동일하다는 속성을 갖는다'로 해석.
논리주어는 'Mary가 키스한 집단'이며 이 문장은 이것에 관한 것이다
3) 장점
① 복합적인 논리형태에 의해 중요한 의미론적 구조의 양상을 포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들의 설정 동기가 부여된다
② 이 강화된 의미론적 표현이 Grice의 화용론적 해석원리뿐 아니라 정보를 문장의 의미 론적 내용에 더해주는 화용론적 해석원리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점검한다. 그리고 이 상호작용이 전제라는 불규칙한 추론을 일으킨다
7.5 결론
1) 전제가 예측할 수 없는 방법으로 언어적 요소와 연관된 추론으로서 올바르게 다뤄지지 않는다면 현재로서는 적절한 이론이 없다 → 언어적 표현에 대한 의미론적 기술로부터 전제를 예측하는 이론 필요
2) 전제는 특이한 것이 아니라 의미론과 화용론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난 결과 다. 그러므로 의미론과 화용론의 연구를 위해 전제는 중요한 기반이 된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2.03.20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1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