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자치와 정치적인 것의 변화-일본 사회의 실험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 시민자치에 대한 이론적 검토
2) 지방자치와 시민자치
3) 공론장(公論場)으로서의 시민사회와 시민자치
4) 근대적 시스템의 실패론과 시민자치
5) 시민자치의 실험의 세 가지 범주

2. 결론: 시스템으로서의 시민자치

본문내용

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오늘날 문제시되는 공적인 것의 성격은 특정 정파의 이해관계, 혹은 임금, 분배의 문제와 같은 「고전적 빈곤」의 문제에만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산업화, 도시화의 진전과 더불어 나타나는 생활기반의 빈곤, 사회 서비스의 빈곤, 공해와 환경문제, 아메니티(amenity)의 빈곤 등, 생활 전반에 걸친 「현대적 빈곤」의 문제라는 점에서(宮本憲一 1989, 140-141) 그 피해자인 시민의 개입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시민사회에 관한 규범적 이론이나 근대 시스템의 실패론이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시민자치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에 시민이 통제권을 행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시민자치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정당, 노동운동 등 기존의 조직과의 연계도 필요하지만, 정당의 엘리트주의적 지도성이라든가 노동운동의 우위성 등의 주장에 종속되지 않는, 독자적인 영역을 갖고 있다는 점이 중시되고 있다. 또한 시민자치는 단일이슈에 국한된 운동이라기 보다는 자치체 행정에 대한 주민의 개입이라는 점, 그러한 개입이 궁극적으로는 자치체 행정의 정책과정에 주민이 참가하고 결정권을 행사하게 되는 시스템화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통상적인 의미의 시민운동과도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시민자치는 특정한 직업.직능 집단의 입장도 아니고 직업적인 정치가나 활동가의 입장도 아닌, 생활자(生活者)의 입장에서 이루어지는 공공성에 대한 담론실천을 통해 사회를 바꾸어 나가는 대안적인 정치라고 할 수 있다. 공적인 문제에 관심을 갖는 주민, 그러한 주민들의 학습과 토론, 이러한 주민들의 에너지를 정책에 반영시키기 위해 행정적 전문지식을 제공하고 제도적 궁리를 게을리하지 않는 지방공무원, 이러한 실험을 지원하는 연구자, 전문가의 네트워크 등이 시민자치를 기획하고 연출해 간다. 이러한 규범적 지향성을 갖고 주민 상호간, 주민과 행정간에 부단한 의사소통과 자기 혁신이 있을 때 운동으로서의 정치와 제도로서의 정치를 매개하는 시스템으로서 시민자치의 위상이 확립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분권과 자치의 사회를 지향하는 자치체와 시민의 새로운 정체성이다.
<참 고 문 헌>
김병완 외. 1996. 『지방자치와 지역정책』. 서울: 한울.
이신행. 1997. 『한국의 사회운동과 정치변동』. 서울: 민음사.
크리스챤 아카데미 편. 1995. 『주민자치, 삶의 정치』. 서울: 대화출판사.
한태선. 1993. 『소통하는 시민사회의 탄생』. 서울: 경문사.
『第26回地域.自治體問題全國硏究大會豫稿集』. 1997. 10. 18. - 10. 19.
奧津茂樹. 1997. "情報公開制度の活用は自治體.市民を變える." 自治體學會 編. 『自立する市民と自治體─新しい關係構築のために─』. 年報自治體學 第十號. 良書普及會.
橫山芳春. 1997. "市民主體のまちづくりをめざして─那覇市の總合計畵づくり." 自治體學會 編. 『自立する市民と自治體─新しい關係構築のために─』. 年報自治體學 第十號. 良書普及會.
橫倉節夫. 1998. 『共同と自治の地域社會論』. 自治體硏究社.
加茂利男. 1988. 『都市の政治學』. 自治體硏究社.
久住剛. 1997. "市民活動.NPOと自治體." 自治體學會 編. 『自立する市民と自治體─新しい關係構築のために─』. 年報自治體學 第十號. 良書普及會.
宮本憲一. 1988. 『地方自治の歷史と展望』. 自治體硏究社. 주민자치 연구모임 옮김. 1991. 『지방자치의 역사와 전망』. 서울: 주민자치.
________. 1989. 『環境經濟學』. 岩波書店.
________. 1997. 『社會資本論』(復刊). 有斐閣.
________. 1998. 『公共政策のすすめ─現代的公共性とは何か─』. 有斐閣.
兼子仁 . 野彌生. 1989. 『地方自治法』. 學陽書房.
高寄昇三. 1996. 『市民自治と直接民主制』. 公人の友社.
今井一 編著. 1997. 『住民投票』. 日本經濟新聞社.
阪神復興支援NPO 編. 1995. 『眞野まちづくりと震災からの復興』. 自治體硏究社.
千葉眞. 1998. 『ラデイカル.デモクラシの地平: 自由.差異.共通善』. 新評論.
全國革新市長會·地方自治センタ編. 1990. 『資料·革新自治體』. 日本評論社.
朝日新聞名古屋社會部. 1997. 『ドキュメント住民投票:「産廢ノ!」御嵩町の決斷』. 風媒社.
潮見憲三郞. 1996. 『オンブズマンとは何か』. 講談社.
東京都政策報道室調査部. 1996. 『住民參加制度硏究會報告書』. 東京都.
日本地方自治學會編. 1997. 『機關委任事務と地方自治』. 敬文堂.
福井英雄 . 高田昇. 1993. 『地域づくりと住民自治』. 法律文化社.
福井英雄 外. 1994. 『日本政治の視角』. 法律文化社.
本間義人. 1995. 『まちづくりの思想─土木社會から市民社會へ』. 有斐閣.
Calhoun, Craig. 1992. Habermas and the Public Sphere. Cambridge: MIT Press.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Habermas, Jurgen. 1987.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olume 2, Lifeworld and System: A Critique of Functionalist Reason. Boston: Beacon Press.
_________________. 1991.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Cambridge: The MIT Press.
Janicke, Martin. 1986. Staatsversagen. Munchen: R. Piper GmbH & Co. KG. 丸山正次 譯. 1992. 『國家の失敗-産業社會における政治の無能性-』. 三嶺書房.
Pratchett, Lawrence and David Wilson (ed.). 1996. Local Democracy and Local Government. London: Macmillan Press.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2.03.20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2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