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 구축 및 운영-(주)다음 커뮤니케이션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들어가며

2.다음 커뮤니케이션즈는 어떤 회사인가?

3.다른 기업의 예는 어떠한가?
● 국내 인터넷 기업 하늘사랑의 매각 사례
● hot-mail의 예

4.참고자료

본문내용

이션즈의 가치를 평가해 보겠다.
2 우리의 가치평가
현재 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가치 측정방법으로는 다음의 세가지가 있다.
첫째는 투자가치이다. 자신의 사이트를 만들고 유지하면서 소요된 비용과 이를 근거로 펼칠 수 있는 사업의 수익구조등에 대한 설명이다.
둘째로는 신규 개설자의 비용 설명이다. 자사의 비즈니스와 같은 모델의 비즈니스를 신규 사업자가 진행할 경우 소요될 비용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사 사이트에 대한 평균 방문자 수와 페이지 뷰등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세가지 요소가 인터넷 기업의 가치를 평가함에 있어서 객관성과 논리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동원하는 데 있어서도 여전히 문제점은 존재한다. 자사 사이트에 대한 페이지 뷰는 계량화된 수치로 정확하게 산출될 수 있지만, 과연 '회원에 대한 가치는 어떠한 기준으로 결정돼야 하는가' 라는 문제다.
인터넷서비스업체의 가치를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잣대 가운데 하나는 회원수다.
회원수를 바탕으로 광고나 리서치등 다양한 사업을 펼칠 수 있고 여러가지 마케팅이나 전자상거래를 기획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측이 밝히는 현재 회원수는 3백30만여명이며 이는 한국의 인터넷이용인구를 5백만명이라 할 때 복수가입자등 "허수"를 감안 하더라도 네티즌 가운데 절반 이상이 다음회원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다음은 요즘도 하루에 1만~2만명씩 신규 회원이 늘고 있어 연말까지 회원 4백만명 돌파는 무난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하루페이지뷰나 사이트광고단가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야후코리아를 내년초까지 제치겠다는 다음의 자신감은 바로 회원수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인터넷 온라인 업체의 가치는 가입자가 많을수록 올라가게 되어있다.
미국의 경우 온라인업체 합병.인수 (M&A) 때 가입자당 2천달러까지 쳐 주기도 한다. 국내는 가입자당 50만원 정도의 가치가 있다는 것이 관련업계 분석이다. 게다가 가입자가 많아야 인터넷 광고를 끌어들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음의 3백30여만명의 회원수는 아주 많은 가치가 있다. 어느 누구라도 이러한 상황에서 다음을 매각팔 생각을 안할 것이다. 우리조도 인터넷 시장의 붕괴로 가치 하락에 의한 매각은 생각할 수 없어서 다음 경영진의 부실로 인해 급히 매각을 할 경우로 상정해 보았다.
회원의 가치는 앞선 핫메일인수 (4만 2천원)나 스카이러브(1만원)의 예가 있다. 우리는 기업을 팔려고 하는 입장 이므로 사는 쪽이 우리 기업을 인수하지 않은 상태에서 똑같은 기업을 새롭게 만든다고 가정 할 때 드는 비용을 제시해서 현재 다음의 가치를 평가해 보겠다. 다시 말해 다른 기업이 다음과 같은 서어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를 새로 창업하려고 한다면, 또 300만의 회원을 모집하려고 한다면 얼마의 비용이 드는가를 예상해 보는 것이다. 약 300만명의 회원을 끌어모으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국내 시장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다음이라는 기업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똑같은 300만명이라는 회원을 모은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우후죽순격으로 생겨나는 인터넷서비스 업체 사이에서 다음과 같은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공격적인 마케팅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로서 인터넷 기업이 비록 적자를 본다 하더라도 쉽게 포기할 수 없는 이유가 미래에 대한 예상수익이므로 단기간의 대차대조표는 잊어야 할 것이다.
우리조에는 이를 위해 드는 비용을 회원 가입유치에 드는 비용과 기술구축 및 유지비 그리고 회원 정보 유지 및 갱신을 위해 드는 비용등으로 산출해 보았다.
먼저 회원의 유치를 위해 초기에 10억이상의 경품을 내걸고 회원유치를 추진한다. 다음이 300만 회원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므로, 또한 현재 인터넷 사용자가 5∼600만 인 것을 감안 한다면 회원을 유치 하는데 새로운 극약처방이 필요하다. 그래서 인터넷 업계 사상 최고 금액인 회원이 1명이 가입할 때마다 1만원상당의 현금(약 300억)을 주는 전략을 마련했다. 여기에 신문, TV, 잡지, 신문, 라디오의 4대 매체, DM, 옥외광고등을 이용하여 1년동안 약 100억원 상당의 광고 및 홍보를 하며 매월 이벤트(약 36억)를 펼쳐 네티즌의 관심을 끈다.
그리고 아무것도 없는 상황에서의 e-mail 및 포털 사이트를 구축해야 하므로 그 비용을 약 200억으로 잡았다. 이를 운영하기 위해 50억 다음의 직원수가 40명이므로 40명을 고용한다고 할 때 의 1년 급료도 연봉 2천만원 × 40명으로 8억원 정도의 비용이든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회원의 정보를 유지하고 갱신하는데 드는 비용 (각 회원이 갖는 정보가치를 높이기 위한 제 활동비용, 설문 조사 및 분석비)을 1년간 30억원을 잡았다.
▲ 회원 가입을 위한 비용
- 경품 : 10억
- 가입자 1인당 가입 축하금 : 1만원 × 300만 〓 300억
- 각종 매체 광고비 : 100억원
- 이벤트비 : 36억
▲ e-mail 및 포털 사이트 구축을 위한 기술 구축 및 유지를 위한 비용
- 기술수입 비용 : 200억
- 유지 및 운영 비용 : 50억
- 직원 급료 : 8억
▲ 회원정보 유지 및 갱신을 위한 비용
- 회원 1명당 1000원 × 300만 〓30억원
위의 자료를 종합해보면 다음이 아닌 다음과 같은 서어비스를 운영하면서 회원 300만을 유치 하려면 총비용만 717억이 든다는 결론이 나온다. 회원 1인당의 가치는 23,900원이다. 좀 더 정확도를 기하기 위해서 첫 번째 방법과 두 번째 방법의 평균을 내면 다음의 가치는 약 776억이며 회원 1인당의 가치는 약 25,000이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우리 6조는 기업을 매각하는 입장에서 다음의 가치를 776억 회원 1인당 가치는 25,000원으로 평가한다.
참고자료
벤처채널 (http://www.vch.co.kr)
다음 커뮤니케이션 (http://www.daum.net)
월간 pcline 8월호
월간 web bussiness 6월호
월간 web bussiness 8월호
1997년 1월1일부터 현재까지의 일간지 기사 참고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래 신문
경향신문
조선일보
한국경제
매일경제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2.03.25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3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