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윤성 경부 편평 세포 암종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3-1. 미소침윤성 암종

13-2. 침윤성 편평 세포 암종
13-2-1. 분화가 양호한, 침윤성 각화형 세포 암종
13-2-2. 분화가 불량한, 침윤성, 소세포형 편평 세포 암종
13-2-3. 비각화성, 침윤성, 대세포형 편평 세포 암종

13-3. 침윤 편평 세포 암종의 임상 병기

13-4. 경부 암종 치료

본문내용

on fibers) 내에 진단적 가치가 있는 세포들을 대부분 보유하게 되어 도말에 나타나지 않는 수가 있다.
4. 찰과하기 전에 병변이 닦여 있거나 또는 환자가 질내 좌약(suppository)을 이용 하여 질 관주욕(vaginal douche)을 했거나 또는 도말 바로 직전에 성교를 했을 경우 ;
5. 도말이 고정 전에 이미 공기 건조되었을 경우 ;
@ 이 경우는 종양세포들의 동정을 어렵게 하는 여러 가지 Artifacts가 생긴다.
6. 도말이 불량하게 고정되었을 경우 ;
@ 염색 과정에서 종양세포들의 박편(flake) 덩어리가 Slide로부터 고정액이나 염색액 중으로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는 수가 있다.
7. Cytologist가 피로하거나, 게으르거나, 부주의하면 도말에 나타난 Atypical cell들 을 간과하여 오진(misinterpretation)을 하게 된다
(; 진성 위음성 True false negative)
13-3. 침윤 편평 세포 암종의 임상 병기
Clinical Stages of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1> 침윤성 편평상피암종의 임상단계 ?
Stage 0 : Bethesda 명명법의 고등급 편평상피 상피내병소(상피내암)
Stage I : 병소가 자궁경부나 자궁에 국한된 경우
Ia : 현미경상으로만 진단을 내릴 수 있고 임상적으로는 암의 진단을 내릴 수 없는 경우
Ia1 : 최소의 현미경적 기질의 침윤이 일어난 경우
Ia2 : 암종이 발생한 상피나 선의 기저부 에서부터 수직으로는 5mm, 수평으로는 7mm를 넘지 않는 현미경적 기질의 침윤 이 일어난 경우(미소 침윤성 암)
Ib : 임상적으로 암이 뚜렸하든, 뚜렸하지 못하든간에 Ia2에서 보다 병소가 더 큰 경우(침윤성암)
Stage II : 병소가 자궁경부를 넘어 퍼져나간 경우로 골반벽과 질하방 1/3은 아직 미치지 못했다.
IIa : 질로 퍼져나갔으나 질상방 2/3를 넘지 못한 경우로 자궁방 결합조직 으로의 침윤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IIb : 자궁방 결합조직까지 퍼져나갔으나 골반벽까지는 퍼지지 않았다.
Stage III : 골반벽과 질하방 1/3에 까지 퍼져나간 암종
IIIa : 골반벽까지는 퍼져나가지 않은 경우
IIIb : 골반벽까지 퍼진 경우
Stage IV : 골반을 넘어 퍼져나간 암종으로 방광이나 직장에 까지 퍼진 암종
IVa : 인접한 기관들에 퍼진 경우
IVb : 멀리 떨어진 기관에도 퍼진 경우
13-4. 경부 암종 치료
Treatment of Cervical carcinoma
<1> 자궁경부 침윤성 편평상피암종의 임상단계에 따른 치료법 ?
* 자궁경부암의 치료는 임상단계에 따라 수술적 방법이나 방사선 치료의 방법들이 여러 가지로 달라질 수 있다.
1. 자궁경부암 Stage 0인 상피내 암 ;
근막외 자궁적출술(extrafascial hysterectomy)이 표준 치료법으로 인정되 고 있다.
만일 환자가 아이를 더 갖고 싶은 경우에는 Cone biopsy를 행한 후 Pap. smear 및 Colposcopy를 정기적으로 실시하면서 임신을 지속시키고 출산후 자궁적출을 한다.
상피내 암(carcinoma in situ)에서는 치료 후 5년까지 살아 남을 수 있는 확률(five-year survival rate : 5-YSR)이 100%이다.
2. Stage Ia ;
근막외 자궁적출술과 질의 상반부를 절제한다.
만일 침윤정도가 1mm 이하이면 원추절제술이나 근막외 자궁적출술만 하 기도 한다.
Stage Ia에서는 치료 후 5-YSR가 90-95%이다.
3. Stage Ib ;
이 단계 부터는 자궁경암근치술(radical hysterectomy) 이상의 치료가 필요 하며 골반내 림프선절제술(pelvic lymphadenectomy)도 한다.
만약 수술을 할 수 없거나 수술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Radiation therapy로 치료가 가능하며 원발병소에는 근접치료(brachytherapy : RALS의 이용)를 하고 골반내 림프선 부위에 대한 치료는 외부방사선치료로서 Υ-선을 방 출하는 코발트 원격치료기(telecobalt therapy unit)나 X-선을 발생시키는 선형가속기(linear accelerator)를 이용한다.
때때로 자궁 경관 내에서 발생한 암이 술통모양으로 커진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방사선치료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므로 수술 전에 방사선 치료를 한 뒤 수정된 자궁경부암 근치술을 한다.
Stage Ib에서는 치료 후 5-YSR가 80-85%이다.
4. Stage IIa ;
자궁경부암 근치술을 하는데, 난소기능을 보존해야 할 경우나 방사선치료 를 효과적으로 할 수 없는 경우인 골반내 염증성질환이 있거나 자궁근종이 있어서 강내조사(intracavitary irradiation)를 할 수 없을 때는 일차적으로 수술을 한다.
5. Stage IIb ;
이 단계부터는 방사선치료가 주된 치료법이다.
방사선치료에는 외부방사선치료(external irradiation)와 강내조사가 있고 일반적으로 외부조사를 먼저한 후 강내조사를 한다.
@ 이유 ?
- 빠르게 성장해 나가는 종양을 억제시켜 출혈을 줄여주고 질내의 미생물의 감염 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 강내조사에는 과거에는 라듐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요즈음은 세슘, 이리듐, 코발트선원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코발트는 고선량율 방사선원으로 짧은 시간 내에 치료를 할 수 있 다.
Stage II에서는 치료후 5-YSR가 60-65%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Stage IIIa와 IIIb 그리고 IVa에서도 IIb와 같이 외부방사선 치료와 강내조사를 병합하여 치료하며 Stage IVb에서는 항암제 치료(chemotherapy)와 경감 방사선 치료(palliative radiotherapy)를 하게 된다.
Stage III의 치료 후 5-YSR는 30-35%이며 IVa는 0-15%, 그리고 IVb의 결과는 너무나 보잘 것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자궁경부암의 치료법 ?
- 위에서 소개한 수술이나 방사선치료, 그리고 항암제치료 외에도 고온 온열치료가 있으며 선택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04.08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7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