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7회 정보통신기술사시험 문제해설3교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 전송선로 대신에 스트립 중심에 엇갈린 점을 지판의 아래측에서 도축선로에 급전한 것이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임.
스트립의 폭을 넓게 하면 주파수 대역폭을 넓히게 되며 전파도 방사하기 쉽게 됨. 그림과 같이 정방형으로 한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를 '사각형 패치 안테나' 원으로 한 것을 '원형 패치 안테나'라 함.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는 인쇄로 제작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에 적합하며 높이가 낮고 평면상으로 되어 견고하다는 등의 특징을 갖고 있음.
이 때문에 대량의 작은 안테나를 필요로 하는 어레이 안테나 소자로서 유망함.
2. 원형 편파 발생방법
원편파로 하고 싶은 경우에는 90°를 회전한 위치에 급전점을 추가하고 급전위상을 90°처지게 하면 원편파가 된다는 것은 반파장 다이폴이 원편파를 복사하는 원리와 같음.
위성방송이 수신안테나는 위성으로부터 약한 전파를 수신하기 위해 4000배(36dB)정도의 큰 이득이 요구되며 패치 안테나를 1000개 이상 배열한 어레이 안테나로 하지 않으면 안됨.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는 유전체의 기판을 사용하고 값이 비싸다는 것과 손실이 큰 것이 단점으로 되어 있음.
2.5동기식 전송망을 사용하여 회선 임대 사업을 할 때에 장치의 구성요소, 시스템 구성, 기술적 검토사항을 논하시오.
1. 개요
2.5Gbps 광전송시스템 하부 네트워크로 622Mbps급이나 155Mbps급을 수용할
수 있으며, 회선임대 사업은 초고속전송망을 구축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업으로 현재 상용화된 동기식 광 전송망은 2.5Gbps 광 전송시스템임.
더 낮은 전송속도로는 45Mbps급, 2.048Mbps급, 1.544Mbps급도 수용할 수 있음.
네트워크 구조로는 선형이나 환형이 사용되는데 전국적인 규모를 갖기 위해서는
2코아 환형구조를 지녀야 함.
2. 장치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기 능
증속신호용량
STM-16
전송시스템
(2.5Gbps)
대용량 지능형 다중화 및 전송시스템 수용
대용량 분기 결합 용량
2개 광코아를 이용한 링형구조
전송기능과 회선 분배 기능을 갖고 있어 기간망 과 트래픽이 많이 교차하는 집중국사에 적합한 장치임.
DS3/DS3E : 48
STM-1 : 16
STM-4 : 4
STM-4
전송시스템
(622Mbps)
선로중계기 기능
분기/결합 다중화기
2개 또는 4개 코아를 이용한 링형구조
중간 연결망에 적용하기 편리한 장치임
DS3/DS3E : 12
STM-1
전송시스템
(155.52Mbps)
단이FLC장치
단국 다중화 장치
분기/결합 다중화 장치
허브 능력을 갖는 단국 다중화 장치
2개 또는 4개 코아를 이용한 링형구조
가입자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편리한 장치로 다 양한 응용에 사용됨.
DS1E :63
DS3/DS3E : 3
3. 시스템 구성
기간망으로는 2.5Gbps 링형을 구성하고 하부네트워크로는 622Mbps 또는 155Mbps선형을 구성함.
4. 기술적 검토사항
표준규격의 제품을 사용함. : 국제 표준의 동기식 다중화 계위 기준 적용
상호접속 및 연동가능 여부 : 하부 네트워크인 FLC, SMOT-1, DCS와 상호접속 및 연동 가능
신뢰성 및 경제성 검토 : Fault Tolerant가 가능하면서도 가장 경제적인 통신망 구축의 가능성 검토
전국 규모로 확대의 네트워크 구조 결정 : 링형 및 선형 검토
확장성 : 수요 증가에 대비해 용량 확장 용이성 검토
전송거리 확보 : 구조별 광손실 배분계산을 통해 충분한 전송거리 확보
유지보수 및 망 관리 용이성 확보 여부 : NMS, EMS 가능 여부
IMT-2000시스템에 대한 국내의 표준화 동향과 무선 전송 기술의 표준화 범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국내외 표준화 동향
가. 유럽
UMTS란 이름으로 IMT-2000을 추진하며 분야별로 업체들이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무선접속방식 WCDMA방식이 주류
나. 미국
민간기업의 자유경쟁 개발체제를 통해 기존 시스템을 보안해 IMT-2000으로 발전시킨다는 전략이다.
CMG(퀄컴, 모토롤러, 루슨트테크놀러지)를 중심으로 방식으로 진화시켜 나가고 있다.
다. 일본
우정성이 관련분야 전문가들로 IMT-2000에 관한 조사 연구회를 구성해 운영중이다.
NTT도코모, KDD, NEC등이 독자 모델을 개발하다가 92년부터 도코모가 연구 개발을 주도해 WCDMA방식이 주류를 이루게 됨.
라. 국내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을 주관 연구기관으로 정부와 국내의 97업체가 참여 97 -99(3년간)차세대 이동 통신의 기초 기반 기술 및 표준모델 개발을 수행해 오고 있다.
미국이 제안하고 있는 동기방식과 (CDMA 2000)유럽 및 일본이 제안하고 있는 비동기 방식(WCDMA)를 모두 고려 중이다.
동기방식(CDMA 2000)을 글로벌CDMA, 비동기 방식(WCDMA)를 글로벌 CDMAⅡ로 규정하고 있다.
마. 세계적인 단일 접속 표준화
ITU-R TG 8/1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중 접속방식과 채널 부호화 및 변조기술을 포함
다중접속방식 CDMA2000과 비동기 WCDMA로 압축되고 있음.
CDMA2000은 국가적 차원의 지원을 받기 어려우며, WCDMA는 유럽 국가들이 일본의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지를 받고 있기 때문에 국제 단일 표준결정 과정에서 매우 유리한 입장이다.
2.무선전송기술 표준화 범위
ITU-R TG8/1 무선 전송 기술 표준화 범위
3. 우리나라의 대응전략
우선 세계 최고의 기술을 확보하고 표준화 작업 시 원천 기술 확보와 표준화를 통한 지적 재산권 보호가 확보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국제 표준화 회의(ITU, 3GPP, 3GPP2)회의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표준화 핵심 항목들에 대한 정보와 자료를 국내에 신속히 보급함으로써 국내의 표준 기술이 국가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임.
막대한 예산과 시간을 들여 개발하고 확보한 지적 재산권이 빛을 볼 수 있도록 고도의 타협과 전략적 협상을 통해 국제 표준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국제 표준전문가의 육성이 필요함.
표준전문가들의 활동을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04.08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7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