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치적 소비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언

키치의 개념

키치적 소비의 특성

키치적 소비의 원인

결어

본문내용

들 것이다. 우리는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된 이후에도 소비하기를 멈추지 않으며, 마케터들은 상품에 갖가지 기호와 상징을 소비물에 부여하여 끊임없이 소비를 부추긴다. 이러한 상징들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망(desire)들과 아주 가까이 접경(接境)하고 있는데, 르네 지라르가 지적한 바와 같이 욕망은 모방되는 것이고 철저히 사회적인 것임을 상기할 때, 우리의 소비는 사회적 맥락을 떠나서는 이해하기 어렵다.
키치적 소비는 그러한 사회적 맥락, 즉 현대 소비사회의 필연적 산물이다. 그것은 감상적 부르지와지의 귀족계급에 대한 동경의 한 표현이면서, 곧 이루어질 것처럼 가까이 보이면서도 신기루처럼 이루어지지 않는 계급상승의 좌절에 대한 다른 표현이다. 인간의 계급적 허영과 자본의 부추김으로 인하여, 인간을 풍요롭게 하는 수단적 행위인 소비가 삶의 유일한 목적으로 전화하면서 그 생활을 황폐화하고 있다. 소비가 소외의 근원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키치적 소비는 인간이 자신의 소비에 의하여 객체화되는 소외상황의 한 형태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볼 때 주위에서 쉽게 발견하는 키치적 소비는 하나의 외연으로서의 일회성 흐름(fad)이라기 보다는 우리 사회의 내포로서 사물속에 결정(結晶)화된 하나의 정신상태이자 태도라고 파악할 수 있다(Moles, 12). 그 한없이 유쾌하고 쾌적했던 키치적 소비의 한 양식은 결국은 우리 소비사회가 가지고 있는 소외의 한 징후였던 것이다. 결국 키치적 소비는 소비가 본질을 규정하는 시대의 아픔이자 우리 모두의 우울한 자화상이다.
참고문헌
김민수. 21세기 디자인 문화 탐사: 디자인·문화·상징의 변증법. 솔. 1997.
오창섭. 디자인과 키치: 수용의 관점에서 디자인 보기. 토마토. 1997.
월간미술(편). 세계미술용어사전. 중앙일보사. 1989.
Calinescu, Matei. Faces of Modernity. Indiana University Press. 1977.
Dorfles, Gillo. Kitsch: The World of Bad Taste. Bell Pub. Co. 1969.
Kulka, Thomas. Kitsh and Art.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6.
Moles, Abraham. Psychologie du Kitsch (엄광현 역, 키치란 무엇인가? 행복의 기술) 시각과 언어. 1994.
art.centerworld.net/onlineclass/cyber_lecture
galaxy.channeli.net/nolja/series.html
post.mvio.co.kr/tnew/pr/tnew-spr11.html
tksun.aiit.or.kr
user.chollian.net/~kimjjoo
www.adchannel.co.kr/adall/adver
www.designnet.co.kr (디자인넷 2000년 6월호)
www.hani.co.kr/h21/data (한겨레21)
www.kmec.net/cgi-bin/contents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4.09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8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