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수술 환자 간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눈수술 환자의 일반적인 간호
1.1 수술전 간호
1.2 일반적인 수술 후 간호
1.3 안과 수술환자의 일반적인 합병증

2. 질환별 수술전후 간호
1.1 망막박리 수술(Retina detachment)
1.2 초자체 절제술
1.3 홍채절제술(iridectomy)과 홍채절개술(iridotomy)
1.4 녹내장(Glaucoma)
1.5 백내장(cataract)
1.6 사시(strabism)
1.7 안구적출술(enucleatine of the eye ball)
1.8 각막이식술(corneal transplant)

3.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일이 있다. 절제를 필요로 한다.
(2) 술후 관리
·붕대: 수술 당일, 소아는 원칙적으로 양안 붕대, 성인은 편안 붕대하고 한쪽은 안대로 해둔다. 2일 째 이후는 소아·대인 모두 편안 붕대로 한다. 붕대교환은 1일 1회 시행한다.
·항생물질: 술후 4∼5일간 투여한다. 그 이외에 소염제 등도 적의 투여한다.
·안정: 술 당일은 와상 안정을 시킨다. 다음날부터는 이상해도 좋다. 국소마취때는 특별한 안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6) 안구적출술(enucleatine of the eye ball)
안구적출술은 망막아세포종, 홍채맥락박 악성 흑색종, 정복불능의 탈구안구, 노안 및 교감성 안염 예방을 위한 외상안에 대해서 행해진다. 술후 외안을 장용한다.
(1) 수술전 간호
·활동을 제한한다.
활동제한의 정도는 안과검진 후 망막박리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수술 전후에 의존적 체위로 안정을 권장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심각한 망막분리를 막고 박리된 망막부위가 상피층 아래로 국한되기 때문에 재접촉되는 것을 시도하기 위함이다.
·안대로 한쪽 눈 또는 양쪽 눈을 가린다. 이것은 눈 운동을 감소하기 위함이다.
·수술전에 약물은 산동제와 수술 전 눈을 확대시키기 위한 모양근마비제가 사용된다.
·안과용 항생제는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투여된다
·진정제나 정온제는 수술 전에 처방된다.
(2) 수술 후 간호
통증완화를 위해 수술 첫 몇일 동안 4-5시간 간격으로 진통제를 투여한다. 통증과 불편감은 수술한 눈에 따라 다양하다. 눈은 규칙적인 상동제와 모양근 마비제 투여로 2-6주 동안 산대된다.
·항생제, steroid를 일시적으로 투여한다.
·눈의 드레싱은 수술 후 12-24시간동안 그대로 둔다.
·냉습포를 하루에 여러번 실시한다. 이것은 수술후 안검과 결막의 부종을 완화하고 편안함을 주기 위 함이다.
·눈수술 후 안압을 상승시키는 활동을 피하도록 한다. 의사에 따라 마취에서 회복한 후 목욕을 허락 하는 경우도 있다. 합병증이 없다면 수술 후 3-5일내에 퇴원한다. 수술후 환자교육은 백내장수술후 환자교육과 같다
(3) 수술후 합병증
·두통, 구기, 구토를 일으키는 일이 있으므로 대중적으로 처치한다.
·안와의 감염: 급성 감염증이 일어났을 때는 항생물질을 전신적으로 투여한다.
·안와내 조직의 부종: 의안대가 밀려나와 탈락한다든가 안검하수, 외안근 기능장애의 원인으로 되든 가 한다. 술후는 결막낭에 압박 거즈를 넣어 안검위에서 압박해 두면 좋다. 소 염제도 투여해 둔다.
·안검하수: 수술조작에 의하는 일도 있다. 안와내 부종이 일어나는 일도 있지만, 이것은 수일로 완쾌 된다.
7) 각막이식술(corneal transplant)
각막이식술에는 표층각막이식과 전층각막이식이 있다. 표층각막이식은 각막의 표층만 이식하는 방법으로 각막의 앞쪽 부분만 혼탁할 때 사용한다. 전층각막이식은 각막의 전체층(5층)을떼어내고 그 자라에 맑은 각막의 전층을 이식하는 어려운 수술방법을 원추각막, 각막의 위축이나 변성, 외상, 조양시에 시행한다. 각막이식의 결과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사후 5시간이내에 기증자의 안구를 적출하여 영하 4도에 보관하며 전층각막 이식시에는 24시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좋고 오랫동안 보존한 각막은 표층각막이식밖에는 사용하지 못한다.
전측각막이식은 급사한 25∼35세의 젊은 사람의 각막이 가장 이상적인데, 그 이유는 내피세포가 풍부하여 이식 성공률이 높기 때문이다. 수술은 국소마취하에 시행된다. 혼탁된 각막을 제거하고 공급자의 각막을 절개한 부위에 따라 봉합한다.
(1) 수술전 간호
①수술 후 통증은 적으며 필요시에는 정온제와 진통제가 사용된다고 알려준다.
②수술후 기침과 허리를 굽히거나 힘주는 것, 눈에 외상을 주는 일 등을 피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③환자의 얼굴은 항세균성 비누로 씻는다.
④수술전 홍채를 잡아 당기고 편평하게 하기 위해 축동제를 투여하는데 이는 수술중 수정체의 손상을 막아준다.
⑤만니톨과 같은 고장성 용액을 투여하면 안압이 감소되고 안구가 부드럽게 된다.
(2) 수술후 간호
①각막이식술을 받은 환자는 백내장 수술 때보다 활동이 훨씬 자유롭다.
②침상머리는 약 20∼30도 가량 높여준다.
③수술 받지 않은 눈은 가리지 않아도 되며 또한 그쪽 편으로 누워도 괜찮다 각막이식 후 치유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안압상승을 유발하는 활동과 봉합 부위의 긴장을 피하도록 한다. ·봉합부위의 긴장 을 피하기 위해 진토제, 기침억제제가 사용되기도 한다.
④봉합사는 1개월에서 1년까지 그대로 두며 구 후에 국소마취 후 제거한다.
⑤외상으로부터 수술한 눈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용 안경이나 금속성 눈가리개를 착용한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손세척을 잘하고 눈을 만지거나 비비지 않는다.
⑥염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테로이드를 투여하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를 사용한다.
⑦수술후 1주일 동안은 매일 항생제와 아트로핀을 점안한다.
⑧수술 후 통증이 있으면 진통제를 투여한다.
⑨이식 거부반응은 환자의 10∼15%에서 발생하며 이식후 10일∼6주 사이에 이식 각막편의 혼탁이 나 타난다. 이때 환자는 매우 실망하게 되고 용기를 잃게 되며 의료진과 수술 자체를 불신하게 되기도 한다. 따라서 간호사는 정서적 지지를 잘해주고 이식수술이 다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결론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눈수술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행해진다. 눈수술은 대상자들로 하여금 실명의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수술 후의 두려움은 많이 가지고 있다. 또한 수술로 인해서 보이지 않음으로 인해서 일상 생활에 많은 장애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간호사들은 수술 후의 교육 등을 통해서 빨리 시력을 되찾아 생활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많은 지지와 함께 노력을 해 주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 http://hansu.ktpusan.com/root3_1_10.html
☞ 개정판 성인간호학(下)/ 전시자외/ 현문사/ 1996
☞ 수술직후 환자의 처치/ 홍익대학교/ 1991
☞ 성인간호학 하/서문자 외 7인공저/ 수문사/1997
☞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1999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04.09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8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