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 노르웨이
1. 자연
2. 주민
3. 역사
4. 정치
5. 경제
6. 사회
7. 문화
8. 과학기술
9. 대한관계
1. 자연
2. 주민
3. 역사
4. 정치
5. 경제
6. 사회
7. 문화
8. 과학기술
9. 대한관계
본문내용
을 고수하고 있어서 결혼식이나 다른 축제행사에서 섬세한 민속의상을 자주 볼 수 있다.
1) 미술
노르웨이는 그리스도교 전래 이전은 그로테스크한 괴수(怪獸)의 무늬, 추상적인 무늬 등으로 장식된 생활용구·제기(祭器) 등으로 대표되는 바이킹 미술이 있었고, 13세기 이후 유럽 그리스도교 문화권의 로마네스크·고딕·앵글로노르만·르네상스·바로크·로코코 양식 등의 모방이 시작되었다.
19세기 전반에는 회화(繪畵) 분야에서 풍경화가 J.달이 나와 노르웨이 근대미술의 아버지라 불리고, 인상파시대에는 세기의 화가 E.뭉크 및 E.베렌숄 등이 나왔다. 20세기에 들어서자 P.크로그 등이 신풍(新風)을 일으켰다. 조각에서는 G.비겔란의 활약이 현저하여 오슬로의 프로그네르 공원(公園)에는 그의 작품 150점 이상이 장식되어 있으며, 건축가로서는 원시적 소재와 근대공예를 결합하여 바이킹 양식을 낳은 H.문테가 있다.
8. 과학기술
노르웨이의 통신사업은 1998년 1월부터 완전히 개방되었다. 1899년 노르웨이 전기통신부(NTA)가 설립되었고, 노르웨이 전기통신 통제국(NTRA)이 1987년 설립되었다. 통신사업자로는 정부 소유의 텔로노르가 있으며, 텔로노르는 공중 통신사업자이다. 또, 오슬로 및 주변지역에 집중된 통신망을 보유하고 있는 엘텔레가 있다. 1997년 말 현재 엘텔레는 7만 8000km의 동선과 1,200km의 광섬유 케이블을 구축하였다. 교환망의 디지털화는 1997년 말 100%를 달성하였고, 회선 보급률은 약 53%로 회선수는 232만 5010회선이다. 이동통신 가입자수는 167만 6763명이며, 셀룰러 사업자는 텔레노르 모빌과 넷콤 GSM이 있다.
1993년 1월부터 데이터 통신시장은 텔레노르의 독점이 해제되고 여러 사업자가 생겨났다. 1996년 인터넷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약 100만 명의 인터넷 사용자를 확보하였고, 1999년 현재 21개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자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방송산업부문은 문화부가 담당하고 있으며, 노르웨이 미디어 규제국이 방송사업자면허를 발급하고 있다. 1997년 현재 전국방송을 실시하는 방송사는 공영방송사인 NRK와 민영방송인 TV2 있다. 지역 방송사로는 오슬로 지역에서 방송을 하고 있는 TV-오슬로가 있다. 1998년 현재 약 70만 가구가 CATV를 시청하고 있으며, 4%의 보급률을 보이고, 텔레비전 보유가구수는 전체 203만 가구이다.
9. 대한관계
노르웨이는 1959년 3월 한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북한과도 수교하고 있다. 6·25전쟁 중에는 한국에 병원선(病院船)을 파견하여 의료지원을 하였으며, 수교 이전인 1956년 3월 양국간 협정에 의해 노르웨이는 서울에 메디컬센터(현재 중앙의료원)를 건립·운영하다가 한국에 시설 전체를 이양하였고, 1969년 10월 사증면제협정(査證免除協定) 등 4개의 주요협정을 체결하였다. 1976년 6월에는 한국경제사절단이 노르웨이를 방문하여 조선(造船) 부문의 양국간 합작투자에 합의하였고, 1978년 10월에는 노르웨이 공업성(工業省) 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50명의 산업사절단의 방한(訪韓)을 계기로 한국·노르웨이 간 경제협력위원회를 발족시켰다.
1993년 11월 한국과 노르웨이는 섬유협정을 1995년까지 연장하기로 합의하였다. 1999년에는 경제·기술·산업협력협정 개정의정서에 서명하였다. 2000년 현재 대한수입 5억 2000만 달러, 대한수출 4억 2000만 달러이다. 주요 수입품은 선박, 자동차, 철강제품, 컴퓨터 및 주변기기, 섬유류 등이고, 수출품은 선박기자재, 원유, 어류 등이다. 2000년 3월 현재 교민 239명, 체류자 46명이 살고 있다.
1) 미술
노르웨이는 그리스도교 전래 이전은 그로테스크한 괴수(怪獸)의 무늬, 추상적인 무늬 등으로 장식된 생활용구·제기(祭器) 등으로 대표되는 바이킹 미술이 있었고, 13세기 이후 유럽 그리스도교 문화권의 로마네스크·고딕·앵글로노르만·르네상스·바로크·로코코 양식 등의 모방이 시작되었다.
19세기 전반에는 회화(繪畵) 분야에서 풍경화가 J.달이 나와 노르웨이 근대미술의 아버지라 불리고, 인상파시대에는 세기의 화가 E.뭉크 및 E.베렌숄 등이 나왔다. 20세기에 들어서자 P.크로그 등이 신풍(新風)을 일으켰다. 조각에서는 G.비겔란의 활약이 현저하여 오슬로의 프로그네르 공원(公園)에는 그의 작품 150점 이상이 장식되어 있으며, 건축가로서는 원시적 소재와 근대공예를 결합하여 바이킹 양식을 낳은 H.문테가 있다.
8. 과학기술
노르웨이의 통신사업은 1998년 1월부터 완전히 개방되었다. 1899년 노르웨이 전기통신부(NTA)가 설립되었고, 노르웨이 전기통신 통제국(NTRA)이 1987년 설립되었다. 통신사업자로는 정부 소유의 텔로노르가 있으며, 텔로노르는 공중 통신사업자이다. 또, 오슬로 및 주변지역에 집중된 통신망을 보유하고 있는 엘텔레가 있다. 1997년 말 현재 엘텔레는 7만 8000km의 동선과 1,200km의 광섬유 케이블을 구축하였다. 교환망의 디지털화는 1997년 말 100%를 달성하였고, 회선 보급률은 약 53%로 회선수는 232만 5010회선이다. 이동통신 가입자수는 167만 6763명이며, 셀룰러 사업자는 텔레노르 모빌과 넷콤 GSM이 있다.
1993년 1월부터 데이터 통신시장은 텔레노르의 독점이 해제되고 여러 사업자가 생겨났다. 1996년 인터넷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약 100만 명의 인터넷 사용자를 확보하였고, 1999년 현재 21개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자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방송산업부문은 문화부가 담당하고 있으며, 노르웨이 미디어 규제국이 방송사업자면허를 발급하고 있다. 1997년 현재 전국방송을 실시하는 방송사는 공영방송사인 NRK와 민영방송인 TV2 있다. 지역 방송사로는 오슬로 지역에서 방송을 하고 있는 TV-오슬로가 있다. 1998년 현재 약 70만 가구가 CATV를 시청하고 있으며, 4%의 보급률을 보이고, 텔레비전 보유가구수는 전체 203만 가구이다.
9. 대한관계
노르웨이는 1959년 3월 한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북한과도 수교하고 있다. 6·25전쟁 중에는 한국에 병원선(病院船)을 파견하여 의료지원을 하였으며, 수교 이전인 1956년 3월 양국간 협정에 의해 노르웨이는 서울에 메디컬센터(현재 중앙의료원)를 건립·운영하다가 한국에 시설 전체를 이양하였고, 1969년 10월 사증면제협정(査證免除協定) 등 4개의 주요협정을 체결하였다. 1976년 6월에는 한국경제사절단이 노르웨이를 방문하여 조선(造船) 부문의 양국간 합작투자에 합의하였고, 1978년 10월에는 노르웨이 공업성(工業省) 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50명의 산업사절단의 방한(訪韓)을 계기로 한국·노르웨이 간 경제협력위원회를 발족시켰다.
1993년 11월 한국과 노르웨이는 섬유협정을 1995년까지 연장하기로 합의하였다. 1999년에는 경제·기술·산업협력협정 개정의정서에 서명하였다. 2000년 현재 대한수입 5억 2000만 달러, 대한수출 4억 2000만 달러이다. 주요 수입품은 선박, 자동차, 철강제품, 컴퓨터 및 주변기기, 섬유류 등이고, 수출품은 선박기자재, 원유, 어류 등이다. 2000년 3월 현재 교민 239명, 체류자 46명이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