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증주의와 귀납주의에 대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귀납의 문제와 해석

2. 귀납주의
Ⅰ.귀납주의
Ⅱ.귀납주의의 오류
Ⅲ.귀납주의의 한계성 비판
Ⅳ.결 론

3. 반증주의

본문내용

중력이론을 근거로 대담하고 거의 확률이 없어 보이는 예측을 함
질량이 큰 곳에서는 중력에 의해 공간이 휜며 따라서 빛의 진로도 휠 것이다.
1919년 개기 일식 때 이 예측을 확인
마르크스주의자들과 정신분석가들
자신들의 이론을 지지하는 증거만을 강조
반대 사례들은 무시하거나 잘 둘러대서 무마
진정한 과학자는 반증사례를 찾으려고 노력하는데 반해, 사이비과학자는 반례를 무시하고 확증 사례만을 찾으려고 한다
치료 성공 사례 만을 떠들고 다니는 돌팔이 의사들, 한의사들.....
모든 것을 다 설명하려고 하는 이론은 결국 아무 것도 설명 못한다.
모든 것을 다 낫게 한다는 만병통치약은 아무 것도 낫게 하는 것이 없다
과학 법칙/이론의 좋고 나쁨의 기준
좋은 과학 법칙/이론
더 잘 반증될 수 있는 있는 이론이 더 좋은 이론
이론이 세계에 대해 주장하는 바가 많으면 많을 수록 그만큼 틀릴 가능성도 많아진다.
그러므로 반증가능성이 높으면 높을 수록 세계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주는 좋은 이론
물론 좋은 이론이 되려면 가능성은 높지만, 엄격한 테스트를 견디어 내야 함,
즉 실재로 반증되지는 않아야 함
반증가능성의 정도?
1. 화성은 타원형 궤도로 태양 주위를 돈다
2. 모든 행성은 타원형 궤도로 태양 주위를 돈다
1보다는 2가 더 우월한 과학적 지식
2는 1을 포함해 더 이상의 것을 알려준다
2는 1보다 반증가능성이 높다
1이 반증되면 2도 반증
2가 반증된다고 반드시 1이 반증되는 것은 아님
잠재적 반증 가능자
법칙/이론을 반증할 수 있는 관찰 진술
1의 잠재적 반증가능자의 집합은 2의 집합의 부분집합
잠재적 반증가능자의 집합이 클 수록 반증가능성도 크고 더 좋은 이론
케플러의 이론과 뉴튼의 이론
뉴튼에게는 케플러보다 운동과 만유인력에 관한 법칙이 더 있음
그만큼 잠재적 반증 가능자도 많다
특정 시간에 혹성의 위치
낙하하는 물체와 진자의 운동
달의 위치와 밀물 썰물
좋은 이론은 반증가능성이 높으면서 동시에 실제로 반증되지는 않아야 한다
반증사례가 나타나면 가차없이 폐기
과학은 반증가능성이 높은 가설을 제시하고 그 가설을 반증하려는 신중하고 집요한 노력
과학은 오류와 시행착오를 통해 진리에 다가가는 작업
평범한 진리보다 대담한 추측이 비록 거짓으로 밝혀지더라도 권장
과학은 오류를 통해 진보
이것이 오류를 통해 배울 수 있는 유일한 방법
자연의 비밀은 독창적이고 통찰력 있는 이론에 의해 밝혀진다
귀납주의자들의 신중함과 조심스러움은 반증주의자의 죽기 아니면 살기의 태도와 대조
과학은 도박?
반증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과학 이론의 조건
과학 이론은 명확히(애매함 없이) 기술되어야 한다
애매하게 기술되어 주장하는 바가 명확치 않으면 이론을 다르게 해석해서 반증을 피할 여지가 많아짐
정치가나 점쟁이의 전략이 바로 애매하게 표현하는 것
과학 이론은 정확히(모호함 없이) 기술되어야 한다
정확할수록 반증 가능성이 커진다.
닫혀진 곡선 궤도보다는 타원형 궤도가 더 정확
대략 30만 킬로/초 보다는 299.8 X 106m가 더 정확
반증주의와 과학의 진보
과학의 진보과정
어떤 문제에 직면
대담한 반증가능한 가설을 제시
테스트 과정에서 일부는 제거, 일부는 살아 남음
더욱 더 엄중한 비판과 테스트에 성공적으로 살아남은 가설도 반증됨
원래의 문제와는 다른 새로운 문제 출현
새로운 가설의 고안 필요 -> 제시 ..>>>>>
--> 과학의 이론은 결코 참이 될 수 없다. 다만 전의 이론을 반증했던 테스트를 통과했다는 점에서 이전 보다 우수한 이론이 있을 뿐. 이것이 과학의 진보.
과학은 문제에서 출발한다
문제의 예
박쥐는 밤 하늘을 어떻게 그렇게 잘 나는가?
뢴트겐, 사진의 감광판이 왜 검게 되었는가?
위의 의문이 제기되는 것은 어떤 이론적 배경이 있기 때문
모든 생물체는 눈을 통해 본다는 이론적 전제에서만 문제
감광판을 검게할만한 방사성 물질은 없다고 당시 사람들은 생각했기 때문에 의문 제기
반증주의자들이 보는 과학의 진보
박쥐의 경우
박쥐는 시력이 매우 약함에도 불구하고 밤에 매우 잘 날며, 벌레도 잘 잡는다
(문제 제기)눈이 나쁜데도 이것이 어떻게 가능한가?
(가설 1) 박쥐의 눈에는 우리 눈과는 다른 특별한 시력이 있다.
눈을 가리면 제대로 보지도 날지도 못할 것이다
(반증 사례)눈을 가렸는데도 잘 날아다님
(가설 2) 박쥐는 청력을 이용해서 장애물을 피한다
귀를 막으면 잘 날지 못할 것이다
실제로 잘 날지 못하는 것이 관찰됨
(가설 3) 박쥐는 자신이 발사한 소리가 벽에 부딪쳐 반사되는 소리를 듣는다
가설 2를 반증가능성이 크도록 보다 정확하게 가설을 설정한 것
박쥐가 소리를 못내도록 하면 박쥐는 날지 못할 것
실제로 벽에 부딪치는 것을 관찰
(잠정적인 결론)
이로서 박쥐가 장애물을 어떻게 피하는지를 증명하지는 못했지만
그 문제에 대한 잠정적인 해결에는 도달
아리스토텔레스 -> 뉴튼 -> 아인슈타인에 이르는 물리학의 발전
아리스토텔레스 물리학
왜 물체가 땅으로 떨어지는지 설명(중심을 찾는 습성 때문에)
(반증 사례)
움직이는 배의 꼭대기에서 떨어뜨린 돌이 왜 바로 아래로 떨어지는가?
목성의 위성들은 왜 목성을 중심으로 도는가?
뉴튼 물리학
아리스토텔레스 이론이 설명하는 것을 모두 설명(낙하는 중력 때문)
움직이는 배에서 떨어지는 돌 - 관성 때문
새로운 현상도 설명
밀물 썰물과 달의 관계
해왕성 발견
(반증 사례)
수성 궤도에 대한 세부 사항을 설명 못함
방전관에서 고속으로 움직이는 전자의 질량 변화 설명 못함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뉴튼이 설명한 것을 모두 설명
뉴튼이 설명하지 못한 것까지 설명
질량과 에너지는 같은 것이고 따라서 서로 바뀔 수 있다고 예측
E=mc2
광선은 강한 중력장에서 휘어짐을 예측
(반증 사례 ?)
지금도 이 이론을 반증하는 사례를 찾는데 과학자들이 몰두
상대성 이론은 아직도 반증이 안된 성공적인 가설도 남아 있는 것
그것의 참이 증명된 것은 아님
이런 식으로 과학이 진보하는 것
  • 가격3,3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02.04.25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32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