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주의 강강술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이 시는 강강술래 놀이의 진행에 맞추어 시상이 전개 되고 있다. 이런 시상의 단계적 변화를 나타내는 표현을 찾아 말해 보자.
①제1연: 춤을 추기 위한 준비임
②제2연: 느린 , 춤의 시작을 나타냄
③제3연: 소리의 곁들임임.
④제4연: 춤에 몰두함을 나타냄을 동시에 2, 5 연의 연결 고리임
⑤제5연: 발라지는 춤 동작의 계속을 나타냄
⑥제6연: 빠른 속도의 춤 동작의 나타냄. )또는 상모 돌리는 모습임.)
⑦제7연: 춤과 놀이에 흠뻑 취해 있음(몰입)을 나타냄
⑧제8연: 춤과 놀이의 절정을 나타냄
⑨제9연: 춤 동작이 계속됨을 나타냄
(4) 이 시에서 형상화한 민속놀이와 민요를 조사해보자. 그리고 이 시와 민요의 다른점을 말해보자
민속놀이: 집단 원무인 강강술래에는 민족의 역사와 한과 흥이 모두 배어 있다. 임진 왜란 때 왜적에게 군세를 과시하려는 목적으로 시작했다던 역사적인 유래 담이 있는데 현재는 민속놀이로 존속한다. 길고도 느린 가락의 합창 소리에 유장하게 추는 춤은 한을, 그리고 선창과 제창에 의하여 빠르게 반복되는 동작은 우리 민족의 흥과 멋을 잘 보여준다.
민요: 강강술래 노래는 민요이다. 이에 비하여 이 시는 민속을 소재로 한 현대 시이다. 이 시는 민속놀이인 강강술래에서 시적 모티브를 얻어 시인 자신의 개인적 정서를 읊은 것이다. 예를 들어 , '설움이 솟는' 것은 강변 또는 무대 위에 소녀들이 아니라, 무대 뒤의 또 하나의 목소리며, 이것은 시인 자신의 목소리이기도 하다.
차이점: 강강술래는 자유시, 서정시 , 내재율 지은이(O) , 정형시
민요는 외형률 , 노래, 지은이(X)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4.27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34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