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본문내용
위의 주체-학생,청년에서 일반시민들로 바뀌기 시작함
.공수부대,계엄군은 전대,조대,도청 등 좁은 지역에 고립됨
.도청 진격을 위해 시민들 많은 희생
.오후 6시-택시.버스 등 차량시위대 도청 진입하다 희생
. 밤 7시 이후 왜곡,축소 보도만 하는 MBC 방송국 시정요구
무시되자 방화 (미스 코리아 선발대회 방송)
.5.21 새벽 세무서, KBS광주방송국 방화
.공수부대 이날(20일) 실탄, 시민살상
1980. 5. 21.: 집단 발포와 시민군의 무장항쟁
① 오후 1시 도청 앞-시민에게 무차별 집단발포
② 총없이 계엄군을 쫑아낼 수 없음을 알고, 광주 인근의 지서,광산 등 에서 갖추어온 총기,화약 등으로 무장 시민군이 됨
③ 마침내 계엄군 광주 외곽으로 철수- 과정에서 주남마을 등 주변
마을 사람들에게 무참한 학살 자행
1980. 5. 21.-5. 27: 해방 광주( 대동·자치·민주의 소중한 체험 기간)
①자치적인 치안 유지
②시장,상가 정상활동, 관공서·은행 공공기관 원상보존, 강력범죄 없음
③부상자 치료,헌혈, 도청앞-시민궐기대회
④계엄군| 광주 외곽 봉쇄-차량,인명 살상
⑤미국: 22일 20사단 광주 투입 승인-신군부의 정권찬탈 지원함
(반미운동 계기)
1980. 5. 27: 피의 종결
5.27 새벽| 이길 수 없는 싸움인 줄 알면서도 해방광주의 소중한 경험과 긍지를 지키려다 희생
4. 5·18의 인적,물적 피해 결과
(1)인적 피해
민간인 사망 235명
군인, 경찰 ( 22 )명
민간인 부상 722명
군인 경찰 ( 250 )명
구속 투옥자 421명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부록 인용-
민간인 부상자(1,468명) ---1988년 민주화합추진위원회 접수된 신고내용 기준
(2)물적 피해
260억 (보안사 발표자료 기준)
5. 5월 항쟁의 역사적 의의와 과제
(가) 5월 항쟁의 역사적 의의
①민중의 정당한 저항정신의 계승 (대몽항쟁,만적의 난,임란의병,동학,기미 3.1만세,
광주학생의거, 4.19혁명)
②시민 공동체의 실현(모범적인 자치와 민주정신 입증)
치안 공백에도 강력범죄 없이 부족한 물품과 음식 나눠쓰고 먹는 공동체 정신
③민주주의 역사 발전 확신과 국민의 저력 확인시킴
.80년 이후 17년 간의 국민저항으로 독재정권은 반드시 파멸한다는 역사적 교훈 을 얻는 계기를 만듬(80년대 수많은 대학생 층의 시위,분신,투신 등의 처절한
저항의 원인)
.그 결과 87년 6월 항쟁(전두환의 4.13 호헌조치 반대-직선제 요구)을 통해 5공화국을 끝맺게 하고 6공비리까지 법의 심판대에 올리는 근본적인 힘이 됨
(나)5월 항쟁의 과제
①자주화의 실현
.민족적, 자주적인 국가권력 및 국민 각성의 필요성 인식 계기
☞ 미국의 본질 확인이 됨
②통일의 염원
.정권찬탈과 국민학살의 핑계를 남북 분단(빨갱이,간첩들의 조종과 침략 제거) 의 상황이라 위협하며 학살만행을 저지름
☞ 과도한 안보 논리의 위험성 증명의 계기가 됨
6. 함께 하는 노래
오월의 노래
< 지은이 모름>
1.꽃잎처럼 금남로에 뿌려진 너의 붉은 피
두부처럼 잘리워진 어여쁜 너의 젖가슴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우리 가슴에
붉은 피 솟네(2번 반복)
2.왜 찔렀지 왜 쏘았지 트럭에 실려 어딜 갔지
망월동에 부릅뜬 눈 수천의 핏발 서려있네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우리 가슴에
붉은 피 솟네(2번 반복)
3.대머리야 쪽발이야 양키놈 솟은 콧대야
물러가라 우리역사 우리가 보듬고 나간다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우리 가슴에
붉은 피 솟네(2번 반복)
4.산자들아 산자들아 모여서 함께 나가자
욕된 역사 고통없이 어찌 깨치고 나가랴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우리 가슴에
붉은 피 솟네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우리 가슴에 붉은 피-피-피
** 광주항쟁 직후 불려진 가요 가운데 대표적인 노래.
'오월의 노래2'라고 하는데 지은이를 알 수 없음.
오월의 노래1
<문승현 노랫말, 곡>
봄볕 내리는 날
뜨거운 바람 부는 날
붉은 꽃잎 져 흩어지고
꽃향기 머무는 날
묘비없는 죽음에
커다란 이름 드리오
여기 죽지 않은 목숨에
이 노래 드리오
사랑이여 내 사랑이여
이렇듯 봄이 가고
꽃 피고 지도록
멀리 오월의 하늘 끝에
꽃바람 다 하도록
해 기우는 분숫가에
스몄던 넋이 살아
앙천의 눈매 되뜨는
이 짙은 오월이여
사랑이여 내 사랑이여
전진하는 오월
<고규태 시, 박태홍 곡>
여기 오네 젊은 넋들
들판 가로 질러
밝은 노래 해방노래 높이 부르며
투쟁의 깃발 들고 힘차게 달려오네
눈부신 무진주 들판 가로질러
동트는 꽃새벽 무쇠나팔 소리따라
진달래 붉은 가슴
여기 달려오네
물러 서지 않으리
사슬끊고 전진하는 오월
오늘은 물러서지 않으리
앞서 가네 오월 형제
사선 끝내 뚫고
불을 뿜는 짐승 총칼 맞서 싸우며
민주의 횃불 들고 물밀 듯 달려오네
피맺힌 금남로 사선 끝내 뚫고
캄캄한 한밤중
진군하는 함성 따라
시민군 넋과 함께
여기 달려오네
물러서지 않으리
사슬 끊고 전진하는 오월
오늘은 물러 서지 않으리
7. 더 생각해 보기 (토의하기)
(1) 5.18 관련 비디오 보고 토의하기
(2) 5.18 관련 사진자료집 및 책 읽고 토의하기
토의주제1: 5·18 민중항쟁 정신을 오늘의 우리들이 이어나갈 방법은?
토의주제2: 5.18관련 비디오 , 사진집 보고 느낌 말하기
8. 관련 참고 자료집
1. 역사 관련 도서
. 광주민중항쟁기록 사진집 [오월 광주], 천주교광주대교구 정의평화위원회
.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황석영, 풀빛
. 광주민중항쟁 다큐멘터리 1980, 정상용 외, 돌베개
.광주민중항쟁연구(논문집), 정해구 외, 사계절
☞ 광주민중항쟁 관련연구 자료 목록이 잘 정리된 책임
2. 문학 관련 도서
(1) 시집
.마침내 오고야 말 우리들 세상, 김남주·김준태 엮음, 한마당
.5월광주항쟁시선집 [누가 그대 큰 이름 지우랴], 문병란·이영진 편, 인동
(2) 소설
.봄날1-5권, 임철우,
3. 비디오자료
·5월광주민중항쟁, 5월광주민중항쟁부상자동지회 편,
☞ 광주 5.18묘역, 광주종합터미널, 등에서 판매함
4.통신 참고방
나우누리 호남 focus 518
.공수부대,계엄군은 전대,조대,도청 등 좁은 지역에 고립됨
.도청 진격을 위해 시민들 많은 희생
.오후 6시-택시.버스 등 차량시위대 도청 진입하다 희생
. 밤 7시 이후 왜곡,축소 보도만 하는 MBC 방송국 시정요구
무시되자 방화 (미스 코리아 선발대회 방송)
.5.21 새벽 세무서, KBS광주방송국 방화
.공수부대 이날(20일) 실탄, 시민살상
1980. 5. 21.: 집단 발포와 시민군의 무장항쟁
① 오후 1시 도청 앞-시민에게 무차별 집단발포
② 총없이 계엄군을 쫑아낼 수 없음을 알고, 광주 인근의 지서,광산 등 에서 갖추어온 총기,화약 등으로 무장 시민군이 됨
③ 마침내 계엄군 광주 외곽으로 철수- 과정에서 주남마을 등 주변
마을 사람들에게 무참한 학살 자행
1980. 5. 21.-5. 27: 해방 광주( 대동·자치·민주의 소중한 체험 기간)
①자치적인 치안 유지
②시장,상가 정상활동, 관공서·은행 공공기관 원상보존, 강력범죄 없음
③부상자 치료,헌혈, 도청앞-시민궐기대회
④계엄군| 광주 외곽 봉쇄-차량,인명 살상
⑤미국: 22일 20사단 광주 투입 승인-신군부의 정권찬탈 지원함
(반미운동 계기)
1980. 5. 27: 피의 종결
5.27 새벽| 이길 수 없는 싸움인 줄 알면서도 해방광주의 소중한 경험과 긍지를 지키려다 희생
4. 5·18의 인적,물적 피해 결과
(1)인적 피해
민간인 사망 235명
군인, 경찰 ( 22 )명
민간인 부상 722명
군인 경찰 ( 250 )명
구속 투옥자 421명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부록 인용-
민간인 부상자(1,468명) ---1988년 민주화합추진위원회 접수된 신고내용 기준
(2)물적 피해
260억 (보안사 발표자료 기준)
5. 5월 항쟁의 역사적 의의와 과제
(가) 5월 항쟁의 역사적 의의
①민중의 정당한 저항정신의 계승 (대몽항쟁,만적의 난,임란의병,동학,기미 3.1만세,
광주학생의거, 4.19혁명)
②시민 공동체의 실현(모범적인 자치와 민주정신 입증)
치안 공백에도 강력범죄 없이 부족한 물품과 음식 나눠쓰고 먹는 공동체 정신
③민주주의 역사 발전 확신과 국민의 저력 확인시킴
.80년 이후 17년 간의 국민저항으로 독재정권은 반드시 파멸한다는 역사적 교훈 을 얻는 계기를 만듬(80년대 수많은 대학생 층의 시위,분신,투신 등의 처절한
저항의 원인)
.그 결과 87년 6월 항쟁(전두환의 4.13 호헌조치 반대-직선제 요구)을 통해 5공화국을 끝맺게 하고 6공비리까지 법의 심판대에 올리는 근본적인 힘이 됨
(나)5월 항쟁의 과제
①자주화의 실현
.민족적, 자주적인 국가권력 및 국민 각성의 필요성 인식 계기
☞ 미국의 본질 확인이 됨
②통일의 염원
.정권찬탈과 국민학살의 핑계를 남북 분단(빨갱이,간첩들의 조종과 침략 제거) 의 상황이라 위협하며 학살만행을 저지름
☞ 과도한 안보 논리의 위험성 증명의 계기가 됨
6. 함께 하는 노래
오월의 노래
< 지은이 모름>
1.꽃잎처럼 금남로에 뿌려진 너의 붉은 피
두부처럼 잘리워진 어여쁜 너의 젖가슴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우리 가슴에
붉은 피 솟네(2번 반복)
2.왜 찔렀지 왜 쏘았지 트럭에 실려 어딜 갔지
망월동에 부릅뜬 눈 수천의 핏발 서려있네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우리 가슴에
붉은 피 솟네(2번 반복)
3.대머리야 쪽발이야 양키놈 솟은 콧대야
물러가라 우리역사 우리가 보듬고 나간다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우리 가슴에
붉은 피 솟네(2번 반복)
4.산자들아 산자들아 모여서 함께 나가자
욕된 역사 고통없이 어찌 깨치고 나가랴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우리 가슴에
붉은 피 솟네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우리 가슴에 붉은 피-피-피
** 광주항쟁 직후 불려진 가요 가운데 대표적인 노래.
'오월의 노래2'라고 하는데 지은이를 알 수 없음.
오월의 노래1
<문승현 노랫말, 곡>
봄볕 내리는 날
뜨거운 바람 부는 날
붉은 꽃잎 져 흩어지고
꽃향기 머무는 날
묘비없는 죽음에
커다란 이름 드리오
여기 죽지 않은 목숨에
이 노래 드리오
사랑이여 내 사랑이여
이렇듯 봄이 가고
꽃 피고 지도록
멀리 오월의 하늘 끝에
꽃바람 다 하도록
해 기우는 분숫가에
스몄던 넋이 살아
앙천의 눈매 되뜨는
이 짙은 오월이여
사랑이여 내 사랑이여
전진하는 오월
<고규태 시, 박태홍 곡>
여기 오네 젊은 넋들
들판 가로 질러
밝은 노래 해방노래 높이 부르며
투쟁의 깃발 들고 힘차게 달려오네
눈부신 무진주 들판 가로질러
동트는 꽃새벽 무쇠나팔 소리따라
진달래 붉은 가슴
여기 달려오네
물러 서지 않으리
사슬끊고 전진하는 오월
오늘은 물러서지 않으리
앞서 가네 오월 형제
사선 끝내 뚫고
불을 뿜는 짐승 총칼 맞서 싸우며
민주의 횃불 들고 물밀 듯 달려오네
피맺힌 금남로 사선 끝내 뚫고
캄캄한 한밤중
진군하는 함성 따라
시민군 넋과 함께
여기 달려오네
물러서지 않으리
사슬 끊고 전진하는 오월
오늘은 물러 서지 않으리
7. 더 생각해 보기 (토의하기)
(1) 5.18 관련 비디오 보고 토의하기
(2) 5.18 관련 사진자료집 및 책 읽고 토의하기
토의주제1: 5·18 민중항쟁 정신을 오늘의 우리들이 이어나갈 방법은?
토의주제2: 5.18관련 비디오 , 사진집 보고 느낌 말하기
8. 관련 참고 자료집
1. 역사 관련 도서
. 광주민중항쟁기록 사진집 [오월 광주], 천주교광주대교구 정의평화위원회
.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황석영, 풀빛
. 광주민중항쟁 다큐멘터리 1980, 정상용 외, 돌베개
.광주민중항쟁연구(논문집), 정해구 외, 사계절
☞ 광주민중항쟁 관련연구 자료 목록이 잘 정리된 책임
2. 문학 관련 도서
(1) 시집
.마침내 오고야 말 우리들 세상, 김남주·김준태 엮음, 한마당
.5월광주항쟁시선집 [누가 그대 큰 이름 지우랴], 문병란·이영진 편, 인동
(2) 소설
.봄날1-5권, 임철우,
3. 비디오자료
·5월광주민중항쟁, 5월광주민중항쟁부상자동지회 편,
☞ 광주 5.18묘역, 광주종합터미널, 등에서 판매함
4.통신 참고방
나우누리 호남 focus 518
추천자료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저항권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의의, 발생배경, 전개과정, 파급효과
광주민주화 운동과 현대 민주주의의 실현
광주민주화운동
광주학생운동
[3 1운동][광주학생독립운동][광주학생운동][광주학생항일운동][전조선학생항일독립운동][티...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되새기며
[광주학생독립운동]학생 충돌 사건 고찰과 광주학생독립운동(학생의 날)의 역사적 배경, 광주...
광주사역사
한국 근대사(근현대사) 성격, 한국 근대사(근현대사) 5 18광주민주화운동 배경, 한국 근대사(...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특징, 국면구분,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책임, 과거청...
[1920년대,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1920년대의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1920년대의 문화통치, 1...
한국현대사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그리고 그 후
[전시비평] 2004 광주비엔날레 - 먼지 한 톨 물 한 방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