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없음..
본문내용
6
Ro의 값은 두가지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일정한 전압원을 부하에 연결할 때 도체의 저항을 무시할 수 있다면 Ro는 전압원의 내부 저항만일나타나게 되고, 최 대 전력 전송의 규칙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전압원이 일정하고 부하에 대한 최대 전력 전송은 전압원의 내부 저항이 부하의 저항과 같을 때 이루어진 다.
반면에 부하에 전력을 전송하는 회로가 더욱 복잡해지면 Ro는 그 회로의 입력단 으로부터 본 회로의 저항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RL은 단순히 부하에 연결된 망의 출력단에 옴미터만을 설치해서는 측정할 수 없다. 왜냐 하면 이 회로망은 능동 전압원이 있기 때문이다.
3.실험 후 검토
이번에는 노턴의 정리와 최대전력전송을 다 준비했었는데 최대전력전송에 대해서만 실험을 하게 되었다. 이번 실험은 비교적 복잡한지 않았고 쉽게 끝날 수 있었다. 먼저 직류회로상에서 전력을 측정하였는데 각 저항소자에서 걸리는 전력과 전원에서 발생되는 전력을 비교하게 되었다. 전력을 구하는 공식, P=VI을 기초로하여 P=V2/R과 P=I2R을 이용해서 비교 하게되었다. 각각의 저항에서 소모되는 전력은 전원에서 발생되는 전력과 같았다.
두 번째 실험은 전원의 내부저항은 고정시켜놓고 부하 저항을 변화시키면서 어느 저항값일때가 최대 전력을 발생시키는가 하는 실험이었다. 전원의 내부저하은 1000Ω으로 고정시켰고 포텐쇼미터에 의해서 부하 저항을 변화시켰는데 이 부하저항값을 100, 200, 400, …,800, 1000,…10000까지 변화시키는데 그 값이 정확하게 산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한 번 정해 놓은값인데도 조금 있으면 값을 변하곤 했다. 우리 조에서는 최대한 측정값에 근사하기 위해서 조금씩 조금씩 변화시켜나갔지만 정확하게 나온 값을 하나도 없고 거의 근사치에 접근해가며 실험했다. 벌써 이런 실험기기에 의해서 오차가 나버렸다. 원래 계산치에 의해서 산출된 값을 최적의 상태, 아무런 외부요인의 영향을 받으면 안 되는데, 이런 실험 기기에서부터의 실험의 정확성을 떨어뜨려서 안타까웠다. 이렇게 실험 결과 전원의 저항과 부하저항이 같았을 때 전력이 최고치에 다달했다. 정말로 이론에 의한 계산치에 의한 결과와 같은 실험 결과치가 나왔다. 이것을 우리 실생활에서 어느곳에 적용되는지 한 번 생각해 보았다. 전력에 대한 실험이므로 우리 생활에서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곳이 없으므로 모든 전자기기에 다 적용이 되는데, 이 실험에 의하면 전원의 저항이 크면 클수록 더 높은전력을 발생시킬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작은 전원을 가지고 있더라도 내부 저항만 조절하면 쉬게 더 큰 전력을 얻을수 있다. 아직까지 정확하게 어느 곳에 사용되어지는지는 모르겠지만 엄청 유용하게 사용될것같다.
▶실험후 의문점
그런데 한가지 의문점이 있다. 전력을 송신하는곳에서 볼 때 전송경로가 길어지기 때문에 그에 따른 송신 저항이 아주 큰값으로 측정이 되거나 아주 많은 요인으로 자주 변하게 될텐데 만약 최대 전력의 전송을 위해 미지의 같은 내부저항을 조절한다면 과연 어떠한 방법을 이용하는지 알고 싶다. 여러 가지 요인을 측정하는 방법이나 최대 전력의 전송을 위해 자주 가변 되어져야할 내부 저항을 어떤 시스템으로 가변하고 제어 할지 무척 궁금하다.
또 전원공급기에서 접지가 서로의 단자끼리 되어있는 것을 확인한 적이 있었습니다. 실험시 과부하 전류가 흘러 접지를 개방시켜야 한다고 교수님께서 지적해 주셨는데 그 말이 이해가 안됩니다. 어째서 접지가 입력과 출력단자에 서로 연결이 되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정확하게 다시한번 설명해 주십시오.
실험내용과 실제 적용되는 예를 많이 들어 주시면 이해가 잘될 것 같습니다.
Ro의 값은 두가지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일정한 전압원을 부하에 연결할 때 도체의 저항을 무시할 수 있다면 Ro는 전압원의 내부 저항만일나타나게 되고, 최 대 전력 전송의 규칙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전압원이 일정하고 부하에 대한 최대 전력 전송은 전압원의 내부 저항이 부하의 저항과 같을 때 이루어진 다.
반면에 부하에 전력을 전송하는 회로가 더욱 복잡해지면 Ro는 그 회로의 입력단 으로부터 본 회로의 저항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RL은 단순히 부하에 연결된 망의 출력단에 옴미터만을 설치해서는 측정할 수 없다. 왜냐 하면 이 회로망은 능동 전압원이 있기 때문이다.
3.실험 후 검토
이번에는 노턴의 정리와 최대전력전송을 다 준비했었는데 최대전력전송에 대해서만 실험을 하게 되었다. 이번 실험은 비교적 복잡한지 않았고 쉽게 끝날 수 있었다. 먼저 직류회로상에서 전력을 측정하였는데 각 저항소자에서 걸리는 전력과 전원에서 발생되는 전력을 비교하게 되었다. 전력을 구하는 공식, P=VI을 기초로하여 P=V2/R과 P=I2R을 이용해서 비교 하게되었다. 각각의 저항에서 소모되는 전력은 전원에서 발생되는 전력과 같았다.
두 번째 실험은 전원의 내부저항은 고정시켜놓고 부하 저항을 변화시키면서 어느 저항값일때가 최대 전력을 발생시키는가 하는 실험이었다. 전원의 내부저하은 1000Ω으로 고정시켰고 포텐쇼미터에 의해서 부하 저항을 변화시켰는데 이 부하저항값을 100, 200, 400, …,800, 1000,…10000까지 변화시키는데 그 값이 정확하게 산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한 번 정해 놓은값인데도 조금 있으면 값을 변하곤 했다. 우리 조에서는 최대한 측정값에 근사하기 위해서 조금씩 조금씩 변화시켜나갔지만 정확하게 나온 값을 하나도 없고 거의 근사치에 접근해가며 실험했다. 벌써 이런 실험기기에 의해서 오차가 나버렸다. 원래 계산치에 의해서 산출된 값을 최적의 상태, 아무런 외부요인의 영향을 받으면 안 되는데, 이런 실험 기기에서부터의 실험의 정확성을 떨어뜨려서 안타까웠다. 이렇게 실험 결과 전원의 저항과 부하저항이 같았을 때 전력이 최고치에 다달했다. 정말로 이론에 의한 계산치에 의한 결과와 같은 실험 결과치가 나왔다. 이것을 우리 실생활에서 어느곳에 적용되는지 한 번 생각해 보았다. 전력에 대한 실험이므로 우리 생활에서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곳이 없으므로 모든 전자기기에 다 적용이 되는데, 이 실험에 의하면 전원의 저항이 크면 클수록 더 높은전력을 발생시킬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작은 전원을 가지고 있더라도 내부 저항만 조절하면 쉬게 더 큰 전력을 얻을수 있다. 아직까지 정확하게 어느 곳에 사용되어지는지는 모르겠지만 엄청 유용하게 사용될것같다.
▶실험후 의문점
그런데 한가지 의문점이 있다. 전력을 송신하는곳에서 볼 때 전송경로가 길어지기 때문에 그에 따른 송신 저항이 아주 큰값으로 측정이 되거나 아주 많은 요인으로 자주 변하게 될텐데 만약 최대 전력의 전송을 위해 미지의 같은 내부저항을 조절한다면 과연 어떠한 방법을 이용하는지 알고 싶다. 여러 가지 요인을 측정하는 방법이나 최대 전력의 전송을 위해 자주 가변 되어져야할 내부 저항을 어떤 시스템으로 가변하고 제어 할지 무척 궁금하다.
또 전원공급기에서 접지가 서로의 단자끼리 되어있는 것을 확인한 적이 있었습니다. 실험시 과부하 전류가 흘러 접지를 개방시켜야 한다고 교수님께서 지적해 주셨는데 그 말이 이해가 안됩니다. 어째서 접지가 입력과 출력단자에 서로 연결이 되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정확하게 다시한번 설명해 주십시오.
실험내용과 실제 적용되는 예를 많이 들어 주시면 이해가 잘될 것 같습니다.
추천자료
휴대용 MP3_Player 데이터 전송시 브랜드/용량별 전송속도의 차이측정
가입자망의 전송형태(ADSL의 원리와 전송방식)
휴대용 MP3_Player 데이터 전송시 브랜드/용량별 전송속도의 차이측정
전송매체에 네트워크형태에 관하여
[TCP/IP프로토콜]TCP/IP프로토콜의 개념, TCP/IP프로토콜의 물리적 네트워크 구현, TCP/IP프...
정보전송장치
[TCP/IP][TCP/IP 응용계층][TCP/IP 데이터전송][TCP/IP와 네트워크 기술]TCP/IP의 의의, TCP/...
[스트리밍][전송기술][제어방법][컨텐츠사업자][스트리밍의 문제점]스트리밍의 정의, 스트리...
[일반 물리학 실험] (결과) 1장 힘과 평형 - 최대 정지마찰력
(A+) 한중 FTA - 한중 FTA 기대효과, 한중 FTA 최대관건 등
자료구조 - 순환과 반복 {팩토리얼계산,예제프로그램 함수p(),최대 공약수,Horner's Rule,거...
브라질 한경희 스팀청소기 (한경희생활과학, 브라질 시장조사, 브라질 경제, 브라질의 내수시...
[통계학 조사] 표준편차, 표준오차, 표본오차 비교, 막대그래프와 히스토그램 비교, 모집단 ...
호흡기 치료 및 간호에 사용하는 기구(1. 분무기 2. 최대호기유속기(PEFM) 3. 정량식 흡입기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