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송매체에 네트워크형태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꼬임선(Twisted-pair)
2. 동축케이블(Coaxial cable)
3. 광섬유(Optical Fiber)케이블
4. 지상 마이크로파(terrestrial microwave)
5. 위성 마이크로파(satellite microwave)
Ⅰ 네트워크 형태
※ 토폴로지
1. 버스 토폴로지
2. 스타 토폴로지
3. 링 토폴로지
4. 메쉬 토폴로지
Ⅱ. 교환망 종류별 특징 <요약>
1. 회선교환방식(Circuit Switched Network)
2. 메시지 교환방식(Message Switched Network)
3. 패킷교환망(Packet Switched Network)

본문내용

hed Network)
▶ 데이터 전송전 교환기를 통해 전송경로간 물리적 연결후에 전송하는 방식
▶ 음성통신(전화)용이나 동영상 등의 연속적이고 실시간 전송에 적합
▶ 실시간 전송보다는 에러 없는 정보전달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부적합함
⇒ 연결후 데이터를 물리적 회선으로 그대로 투과함으로 에러제어 기능을 제공하지 않음
▶ 장점
①고품질의 고속전송에 매우 효율적(대량전송이 용이)
② 항상 일정한 경로를 유지하면서 데이터가 전송됨
③ 접속후(교환기회선 연결후) 전송지연(Propagation Delay)는 발생하지 않음
▶ 단점
① 접속후 데이터 전송이 없어도 회선을 독점하고 사용함
⇒ 통신회선의 낭비
⇒ 대화형의 작업인 경우 사용율은 5~10%에 지나지 않지만 회선은 100% 점유
② 전송속도, 포맷, 프로토콜 변환이 불가능
⇒ 마치 물리적 연결과 같은 형태이기 때문에 반드시 같은 전송속도를 유지하여 야함. 그러므로 다양한 전송속도를 갖는 통신인 경우에는 많은 제약이 있음
③ 접속을 위한 접속 지연시간이 소요(전송지연은 없음)
2. 메시지 교환방식(Message Switched Network)
▶ 회선교환이 갖는 비효율적인 회선사용을 개선시킨 방법
▶ 메시지 교환이란 하나의 가변적인 메시지 단위로 축적-전달 (Store-and-forward)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
즉, 수신지 주소, 제어정보, 데이터 등을 가진 가변길이의 메시지 단위로 전달
▶ 메시지는 전자우편, 컴퓨터 파일, 트랜잭션 등을 의미하며 따라서 전자우편이나 파일전송에 많이 사용
▶ 메시지 교환방식의 데이터 전달 방법
1. 전달할 메시지가 발생하면 헤드에 목적지 주소를 부가하여 바로 망에 전송
2. 교환기에 도착한 메시지는 일단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장치에 저장
3. 메시지가 완전히 에러 없이 망에 수신되면 경로를 결정하여 다음 교환기로 전송
▶ 장단점(특징)
메시지 저장후 전송함으로 통신회선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
전송량이 많은 경우 회선교환방식보다는 비효율적이 됨
메시지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아 기억장치의 효율 ↓,
통신회선 이용율↓, 전송지연↑
3. 패킷교환망(Packet Switched Network)
▶ 메시지교환방식이 갖는 장점을 그대로 취하면서 대화형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개발
▶ 메시지 교환망 차이
메시지교환망 : 가변적인 메시지 전체에 목적지 주소 부가하여 전송
(메세지 전체 전송)
패킷 교환망 : 일정한 크기의 패킷으로 메시지를 나누어 목적지 주소를 부가하여 전송 이를 수신 측에서는 패킷의 순서에 맞게 재조립
▶ 신뢰성↑, 속도, 코드변환이 가능하여 통신망 구축이 용이
▶ 대부분의 컴퓨터 통신에 사용
▶ X.25 프로토콜 사용하여 제어 (표준화, 호환성이 높음)
▶ 장단점
목적지 스테이션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를 선택하여야함 (경로배정(Routing)
통신회선의 효율적 사용
짧은 메시지, 소량 전송에 경제적(대량인 경우 전송지연이 발생)
이기종간의 프로토콜의 변환. 전송속도 변환이 용이
음성통신에는 적합하지 못함
▶ 연결설정에 따라
1. 데이터그램(Datagram) : 비연결지향형
연결설정없이 독립적으로 각 패킷이 순서에 관계없이 다른 경로로 전송이 가능
LAN 등의 짧은 메시지인 경우에 고속
망의 교통량에 따라 적응적으로 경로설정이 가능
한 노드의 고장시 우회경로 설정이 가능
2. 가상호출(Virtual Call) : 연결지향형
논리적인 가상회선을 연결한 후 지정된 경로만을 따라 패킷의 순서에 맞게
전송 즉, 모든 패킷은 정해진 동일한 경로로 전송
경로가 미리 설정되어 있어 고속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12.19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3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