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K21, 무엇이 문제인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BK 21의 취지와 사업계획

2. BK21을 둘러싼 논란들....

3. BK21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가질 수 있는 입장들.

본문내용

선정방식에 있어서 좀더 덧붙이자면, 과별 지원이라는 점이다. 물론 BK21은 사업취지에서 교육이라는 측면을 강조하여, 연구과제별 지원이 아님을 명확히 하였고, 투자액의 대부분은 연구원들의 연구비, 해외 연수비로 쓰임을 밝혔지만, 대학에서의 연구는 각학교의 각과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각 과내의 더 작은 단위인 연구실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과학기술을 통해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고, 인력양성에 투자하고자 한다면, 지정된 학교의 과별 지원이 아닌, 연구실 별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본다. 단적으로 얘기하자면, name value가 떨어지는 대학에서도 얼마든지 우수한 연구실을 찾아볼 수 있고, 세칭 명문대라고 하는 곳에서도 뒤떨어지는 연구실이 있다.
연구실 또는 Center 단위로 이루어지는 연구 지원사업은 이전에도 과기부, 과학재단등의 주도로 이루어져 왔고, BK21에서는 이러한 이전까지의 연구지원사업에서 나타난 소위 '나눠먹기' 관행에 대한 비판을 서두에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각학교의 각 과별 지원이 이러한 지원방식에 대안이 될 수는 없다. 오히려 선정기준과 가치 평가를 명확히 하는 행정적인 과정에의 개선이 따라야 할 것이라고 본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05.08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1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