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만주족과 만주어
만주
만주족
만주어
2. 만주문자
3. 만주어의 음성과 음운
음성
음절
만주어 음운
문장자료
만주
만주족
만주어
2. 만주문자
3. 만주어의 음성과 음운
음성
음절
만주어 음운
문장자료
본문내용
→ biye-hon
ⅴ) CVCi → CViCi
cabi (짐승의 뱃가죽) → cai-bi efimbi (놀다) → ei-fiye-mi
efiku (노리개) → ei-fiye-ku hahi cahi (급히) → hai-hi cai-hi
ebihe (배가 부른) → ei-bi-he dehi (사십) → dei-hi
ⅵ) -Vi → -V- (i 탈락)
ainci (아마) → anci aibide (어디에) → a-bi-de
ainu (어찌) → a-nu saiy n (좋은가?) → san-yo
seibeni (일찍이) → se-be-ni
ⅶ) n 첨가
gaju (가져오라) → gan-ju yalingga (살 있는) → yan-ling-a
gajimbi (가져오다) → gan-jimbi yalihangga (살 있었는) → yan-li-hang-a
yali (살) → yan-li ebi habi (멍청하다) → enbi hai-bi
ⅷ) 경구개자음 + V → 경구개자음 + I
ek embi (당황하다) → ek- i-mi ojorak (안되다) → oji-ra-ku
nimecuke (상심하다) → ni-me-cu-ke cecike (새) → ci-ci-ke
embi (쏘다) → e- i-mi
ⅸ) si → u, ci → cu, ji → ju
cimari (내일) → cu -ma-ri cibin (제비) → cu-bin
simhun (손가락) → u-m-hun jijumbi (자획긋다) → ju-ju-mi
ecimari (오늘 아침) → e-cu-ma-ri juciba (반딧불) → ju-cu-b
ⅹ) si → i
umesi (가장, 매우) → ume- i ci → c'isisingga (식량 많이) → i- eng-a
hancikan (조금 가까운) → han-c'i-kan tucika (나왔다) → tu-c'i-ke
gocike (물주다) → go-c'i-ka ecike (숙부) → e-c'i-ke
) o → e
oihori (겉으로) → ei-ho-ri oilo (겉) → ei-lo
onco (넓다) → en-co onggolo (-하기 전에) → eng-o-lo
onggo on (붕어) → eng-o- on ongombi (덤벙대다) → en-do-mi
) ki- → kiui-, gi- →giui, ni- → niui
kiru (깃발) → kiui-ru gisurembi (말하다) → giui-su-le-mi
girumbi (부끄러워하다) → giui-ru-mi nicuhe (진주) → niui-cu-he
gicuke (부끄럽다) → giui-cu-ke
ⅹⅲ) fi- → fiye
fileku (화로) → fiye-le-ku efimbi (놀다) → ei-fiye-mi
filembi (불쬐다) → fiye-le-mi efiku (노리게) → ei-fiye-ku
ⅹⅳ) goi- → g wai
goimbi (맞다) → g wai-mi goiman (교태) → g wai-man
goiha (맞히다) → g wai-ha goimarambi (교태부리다) → g wai-ra-mi
goibumbi (맞히게 하다) → g wai-bu-mi
ⅹⅴ) niong → niwang
nionggalambi (살벗기다) →niwang-a-la-mi
nionggajambi (살벗겨지다) → niwang-a-ja-mi
nionggarah (살벗겨지지 않을까?) → niwang-a-ra-h
ⅹⅵ) -n → -ng
ak n (아니냐?) → a-kung
yargiy n (진실이냐?) → yar-gi-yung
saiy n (좋으냐?) → sa-yung
4. 문장 자료
daicing gurun i enduringge han i gung erdemui bei
大淸 國 의 聖 皇帝의 功 德의 碑
daicing gurun i wesihun erdemunggei sucungga aniya tuweri jorhon biya de
大淸 國 의 宗(高貴하고) 德(有德한 분)의 元 年 겨울 十二 월 에
gosin onco huwaliyasun enduringge han· acaha be efulehengge menci deribuhe
어진 너그러운 穩和한 聖 皇帝, 和平 을 깬 것 우리로부터 始作되었다
seme· ambula jili banjifi coohai horon enggelenjifi dergi baru cing seme
고 크게 성 내고 軍士의 威力 來臨하여 동녘 向하여 불붙듯이 확 하고
jici yaya geleme alihaku
와도 모두 두려워 대항하지 못하였다.
tere fonde meni sitahun ejen nan han de tomofi geleme olhome
그 때에 우리의 寡 君 南 漢 에 자리를 정하고 두려워하며 저어하며(畏懼)
niyengniyeri juhe de fehufi gerendere be aliyara gese susai ci inenggi
봄 여름 에 밟고 날 밝기 를 기다리는 것 같은 五十 째 날,
dergi julergi geren jugun i cooha siran siran i gidabuha
東 南 諸 道(路) 의 군사
wargi amargi jiyangjiyun se alin holo de jailafi bederecere go[roki] [ama]si emgeri
西 北 軍 들 산 골짝 에 피해서 後退하기 멀리한 뒤 한번(한걸음)
大淸國 聖皇帝의 功德碑
大淸國 祛宗 元年 (仁祖 十四年 丙子, 1636年) 冬 十二月에
어질고 너그럽고 그리고 온화한 聖皇帝는 和平을 깬 것이 우리로부터 始作되었다고 크게 성을 내어 威儼있는 軍士를 이끌고 來臨하여 동녘을 向하여 불 붙듯이 와도 아무도 두러워서 대항하지 못하였다. 그 때에 우리의 寡君은 南漢에 자리를 定하고 두렵고 겁이 나서 春永을 밟고 날 밝기를 기다리는 것처럼 지내기 五十日째에 東南 諸道의 우리 軍士들은 되었다. 西北方의 軍들은 산골짝에 避해서 멀리 後退한 뒤에 한 걸음도
# 참고문헌
1. 김방한, <몽골어와 퉁구스어>, 민음사, 1986
2. 성백인, <만주어와 알타이어학 연구>, 태학사, 1999
ⅴ) CVCi → CViCi
cabi (짐승의 뱃가죽) → cai-bi efimbi (놀다) → ei-fiye-mi
efiku (노리개) → ei-fiye-ku hahi cahi (급히) → hai-hi cai-hi
ebihe (배가 부른) → ei-bi-he dehi (사십) → dei-hi
ⅵ) -Vi → -V- (i 탈락)
ainci (아마) → anci aibide (어디에) → a-bi-de
ainu (어찌) → a-nu saiy n (좋은가?) → san-yo
seibeni (일찍이) → se-be-ni
ⅶ) n 첨가
gaju (가져오라) → gan-ju yalingga (살 있는) → yan-ling-a
gajimbi (가져오다) → gan-jimbi yalihangga (살 있었는) → yan-li-hang-a
yali (살) → yan-li ebi habi (멍청하다) → enbi hai-bi
ⅷ) 경구개자음 + V → 경구개자음 + I
ek embi (당황하다) → ek- i-mi ojorak (안되다) → oji-ra-ku
nimecuke (상심하다) → ni-me-cu-ke cecike (새) → ci-ci-ke
embi (쏘다) → e- i-mi
ⅸ) si → u, ci → cu, ji → ju
cimari (내일) → cu -ma-ri cibin (제비) → cu-bin
simhun (손가락) → u-m-hun jijumbi (자획긋다) → ju-ju-mi
ecimari (오늘 아침) → e-cu-ma-ri juciba (반딧불) → ju-cu-b
ⅹ) si → i
umesi (가장, 매우) → ume- i ci → c'isisingga (식량 많이) → i- eng-a
hancikan (조금 가까운) → han-c'i-kan tucika (나왔다) → tu-c'i-ke
gocike (물주다) → go-c'i-ka ecike (숙부) → e-c'i-ke
) o → e
oihori (겉으로) → ei-ho-ri oilo (겉) → ei-lo
onco (넓다) → en-co onggolo (-하기 전에) → eng-o-lo
onggo on (붕어) → eng-o- on ongombi (덤벙대다) → en-do-mi
) ki- → kiui-, gi- →giui, ni- → niui
kiru (깃발) → kiui-ru gisurembi (말하다) → giui-su-le-mi
girumbi (부끄러워하다) → giui-ru-mi nicuhe (진주) → niui-cu-he
gicuke (부끄럽다) → giui-cu-ke
ⅹⅲ) fi- → fiye
fileku (화로) → fiye-le-ku efimbi (놀다) → ei-fiye-mi
filembi (불쬐다) → fiye-le-mi efiku (노리게) → ei-fiye-ku
ⅹⅳ) goi- → g wai
goimbi (맞다) → g wai-mi goiman (교태) → g wai-man
goiha (맞히다) → g wai-ha goimarambi (교태부리다) → g wai-ra-mi
goibumbi (맞히게 하다) → g wai-bu-mi
ⅹⅴ) niong → niwang
nionggalambi (살벗기다) →niwang-a-la-mi
nionggajambi (살벗겨지다) → niwang-a-ja-mi
nionggarah (살벗겨지지 않을까?) → niwang-a-ra-h
ⅹⅵ) -n → -ng
ak n (아니냐?) → a-kung
yargiy n (진실이냐?) → yar-gi-yung
saiy n (좋으냐?) → sa-yung
4. 문장 자료
daicing gurun i enduringge han i gung erdemui bei
大淸 國 의 聖 皇帝의 功 德의 碑
daicing gurun i wesihun erdemunggei sucungga aniya tuweri jorhon biya de
大淸 國 의 宗(高貴하고) 德(有德한 분)의 元 年 겨울 十二 월 에
gosin onco huwaliyasun enduringge han· acaha be efulehengge menci deribuhe
어진 너그러운 穩和한 聖 皇帝, 和平 을 깬 것 우리로부터 始作되었다
seme· ambula jili banjifi coohai horon enggelenjifi dergi baru cing seme
고 크게 성 내고 軍士의 威力 來臨하여 동녘 向하여 불붙듯이 확 하고
jici yaya geleme alihaku
와도 모두 두려워 대항하지 못하였다.
tere fonde meni sitahun ejen nan han de tomofi geleme olhome
그 때에 우리의 寡 君 南 漢 에 자리를 정하고 두려워하며 저어하며(畏懼)
niyengniyeri juhe de fehufi gerendere be aliyara gese susai ci inenggi
봄 여름 에 밟고 날 밝기 를 기다리는 것 같은 五十 째 날,
dergi julergi geren jugun i cooha siran siran i gidabuha
東 南 諸 道(路) 의 군사
wargi amargi jiyangjiyun se alin holo de jailafi bederecere go[roki] [ama]si emgeri
西 北 軍 들 산 골짝 에 피해서 後退하기 멀리한 뒤 한번(한걸음)
大淸國 聖皇帝의 功德碑
大淸國 祛宗 元年 (仁祖 十四年 丙子, 1636年) 冬 十二月에
어질고 너그럽고 그리고 온화한 聖皇帝는 和平을 깬 것이 우리로부터 始作되었다고 크게 성을 내어 威儼있는 軍士를 이끌고 來臨하여 동녘을 向하여 불 붙듯이 와도 아무도 두러워서 대항하지 못하였다. 그 때에 우리의 寡君은 南漢에 자리를 定하고 두렵고 겁이 나서 春永을 밟고 날 밝기를 기다리는 것처럼 지내기 五十日째에 東南 諸道의 우리 軍士들은 되었다. 西北方의 軍들은 산골짝에 避해서 멀리 後退한 뒤에 한 걸음도
# 참고문헌
1. 김방한, <몽골어와 퉁구스어>, 민음사, 1986
2. 성백인, <만주어와 알타이어학 연구>, 태학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