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어의 음운 구조와 음운 현상, 『국어학』
강창석 1984
1. 머리말
2. 언어 현상과 음절
3. 국어의 음절 구조
4. 국어의 음절 구조 제약
5. 음절 구조의 제약과 음운 현상
6. 맺음말
강창석 1984
1. 머리말
2. 언어 현상과 음절
3. 국어의 음절 구조
4. 국어의 음절 구조 제약
5. 음절 구조의 제약과 음운 현상
6. 맺음말
본문내용
어간말 자음이 모두 내파음으로 변화한 것이 아니고 'ㄴ,ㄹ,ㅁ,ㅅ' 등으로 시작되는 일부 어미 앞에서는 외파음을 유지함으로서 결국 '으'로 인식되었을 가능성을 추정해 볼 수 있다.
) 국어 화자가 자음이 외파되기도 하고 내파되기도 하는 외국어를 듣는 경우 외파음은 모음이 있는 것처럼 들리며 외래어를 차용하는 과정에서 흔히 '으' 모음을 부여한다. 예) bus 버스, bat 배트.
현대국어에서 같은 음운론적 조건에서 연결모음을 가지는 어미와 가지지 않는 어미를 비교해 보면 이런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41) ① -(으)며, -(으)시, -(으)로, -(으)ㄴ, -(으)ㄹ
② -니, -냐, -는, -습니다
(41)의 ① 즉 연결모음을 가지는 대부분의 어미들은 중세국어 혹은 신라시대의 향가 등에서 그 존재가 확인되는 오랜 역사를 가지는 것들임에 비해 연결모음을 가지지 않는 ②의 어미들은 중세국어 이후 심한 형태 변화를 거쳐 등장한 것들이다. 연결모음 '으'가 중세국어 이전의 외파음 유지의 산물이라면 ②의 어미들이 동일한 변화를 보이지 않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인 것이다.
) 이기문(1983)에서는 중세국어의 '아자비'와 '아짜미'를 '앝+아비' '앝+어미'로 분석하고 현대국어의 '젖+어미→저더미'에서 'ㅈ'의 음가가 유지되지 못하는 점과 비교하여 '아자비'의 경우는 음절말의 'ㅈ'이 외파되던 시기에 이루어졌음을 추정하고 있다.
Ⅵ. 맺음말
본 논의에서는 그동안 음운론의 연구 대상으로, 혹은 음운현상의 기술 단위로서도 별로 주목되지 않았던 음절에 관심을 모아 보았다. 음절을 자연스러운 단위로 생각하고 자연스러운 단위의 도입은 음운론을 좀더 자연스럽게 만들어줄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1)국어의 음절은 모음[+syllabic]에 비모음[-syllabic]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데 음절 형성 과정에서의 일정한 원칙과 제약을 음절이 가지는 계층적 구조로 이해하여 보았다.
2) 음절이 연결될 때에도 일정한 제약이 있다고 생각하고 자음의 분포 제약 현상을 개별적인 음소 연결 제약이 아닌 음절구조가 가지는 제약의 일종으로 보고자 하였다.
3) 음운현상에 대한 이해에서는 음운규칙 이전에 제약을 전제함으로써 음운현상이나 음운규칙에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본 논의의 입장은 중화 규칙이 존재함으로써 음절말 자음 제약 현상이 결과되는 것이 아니고, 음절말 제약이 있어서 중화 규칙이 필요해진다는 순서를 가진다. 왜냐하면 공시적 제약은 언어 현상에서 쉽게 관찰될 수 있는 구체적인 것이지만 공시적인 규칙이란 어느 정도 이론이 전제되는 추상적인 성격을 띠기 때문이다.
4) 음절구조의 관점에서 국어의 몇 가지 현상을 조명해 보았다. 음절구조의 문제는 음운현상의 가장 깊숙한 동기가 되는 것으로써 이제까지 우연한 현상으로 생각했던 예들에 대해 일관된 흐름을 발견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으~0'를 비롯한 형태음소론적 교체에는 깊이 접근하지 못하였다. 용언의 경우 어간, 어미 모두 의존 형태소인 관계로 대부분의 형태음소 변화들은 공시적인 음운규칙의 결과라기보다는 통시적 변화의 유산이라는 성격이 짙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현대국어의 형태음소 규칙들은 두 가지로 구별,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 현대 정서법(맞춤법)에서는 어느 정도 구별이 되어 있다. 즉 공시적인 제약에 해당하는 자동적 교체의 경우는 표기에 반영되지 않고, 나머지 비자동적 교체들은 표기에 직접 반영되고 있다. 형태소 경계에서의 구개음화(맏이, 붙이다 등)는 표기에 반영되지 않으나, 이 경우, 모두 종성(받침)으로 적게 되어 구개음화를 일으키지 않는 예(어디, 잔디, 느티나무)와 사실상 구별되는 셈이다.
첫째는 통시적인 변화가 공시적인 제약으로 굳어진 경우이다. 중화, 비음화, 유음화, 자음군 간소화 등이 해당되는데 이런 현상은 필수적인 것이며 비음운론적인 제약이나 규칙 순위 등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둘째는 공시적으로 전혀 힘을 가지지 못하는 순수한 통시적 변화의 유산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모음조화, 구개음화, 움라우트 등 실로 다양한데 이런 예들을 공시적인 규칙으로 기술하고자 한다면 추상적 음소의 설정이나 규칙 순위, 비음운론적인 제약, 통시적 정보 등 복잡한 절차와 이론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예들을 대상으로 하는 논리들은 공시적인 제약에 근거한 중화, 비음화 등의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다. 공시적인 제약에 대한 관찰, 기술의 수단으로서 음절은 매우 적절한 단위로 생각되며 통시적인 변화가 공시적인 교체로 계속 유지되는 까닭도 대부분 음절구조의 관점에서 찾아질 수 있다.
참 고 문 헌
姜昶錫(1982), 현대국어의 형태소 분석과 음운현상, 국어연구 50.
金完鎭(1972), 形態論的 懸案의 音韻論的 克服을 위하여, 東亞文化 11.
金次均(1972), 음운론의 원리, 창학사.
宋喆儀(1982), 국어의 음절 문제와 자음의 분포 제약에 대하여, 관악어문연구 7집.
李基文(1962), 중세국어의 특수어간교체에 대하여, 진단학보 23.
______(1977), 국어음운사 연구, 탑출판사.
______(1978), 十六世紀 國語의 연구, 탑출판사.
______(1983), '아자비'와 '아짜미', 국어학 12.
李秉根(1979), 음운현상에 있어서의 제약, 탑출판사.
______(1981), 유음탈락의 음운론과 형태론, 한글 173ㆍ174 어우름.
李丞宰(1980), 구례지역어의 음운체계, 국어연구 45.
李基文, 金鎭宇, 李相億(1984), 국어음운론, 학연사.
허 웅(1970), 국어 음운학, 정음사.
Clements, George N. & Samuel J. Keyser(1983), CV Phonology, Cambridge, The MIT Press.
Hooper, Joan B.(1976), An Introduction to Natural Phon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Kahn, Daniel(1976), Syllable-Based Generalization in English Phonology, University of
Massachusettes.
) 국어 화자가 자음이 외파되기도 하고 내파되기도 하는 외국어를 듣는 경우 외파음은 모음이 있는 것처럼 들리며 외래어를 차용하는 과정에서 흔히 '으' 모음을 부여한다. 예) bus 버스, bat 배트.
현대국어에서 같은 음운론적 조건에서 연결모음을 가지는 어미와 가지지 않는 어미를 비교해 보면 이런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41) ① -(으)며, -(으)시, -(으)로, -(으)ㄴ, -(으)ㄹ
② -니, -냐, -는, -습니다
(41)의 ① 즉 연결모음을 가지는 대부분의 어미들은 중세국어 혹은 신라시대의 향가 등에서 그 존재가 확인되는 오랜 역사를 가지는 것들임에 비해 연결모음을 가지지 않는 ②의 어미들은 중세국어 이후 심한 형태 변화를 거쳐 등장한 것들이다. 연결모음 '으'가 중세국어 이전의 외파음 유지의 산물이라면 ②의 어미들이 동일한 변화를 보이지 않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인 것이다.
) 이기문(1983)에서는 중세국어의 '아자비'와 '아짜미'를 '앝+아비' '앝+어미'로 분석하고 현대국어의 '젖+어미→저더미'에서 'ㅈ'의 음가가 유지되지 못하는 점과 비교하여 '아자비'의 경우는 음절말의 'ㅈ'이 외파되던 시기에 이루어졌음을 추정하고 있다.
Ⅵ. 맺음말
본 논의에서는 그동안 음운론의 연구 대상으로, 혹은 음운현상의 기술 단위로서도 별로 주목되지 않았던 음절에 관심을 모아 보았다. 음절을 자연스러운 단위로 생각하고 자연스러운 단위의 도입은 음운론을 좀더 자연스럽게 만들어줄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1)국어의 음절은 모음[+syllabic]에 비모음[-syllabic]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데 음절 형성 과정에서의 일정한 원칙과 제약을 음절이 가지는 계층적 구조로 이해하여 보았다.
2) 음절이 연결될 때에도 일정한 제약이 있다고 생각하고 자음의 분포 제약 현상을 개별적인 음소 연결 제약이 아닌 음절구조가 가지는 제약의 일종으로 보고자 하였다.
3) 음운현상에 대한 이해에서는 음운규칙 이전에 제약을 전제함으로써 음운현상이나 음운규칙에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본 논의의 입장은 중화 규칙이 존재함으로써 음절말 자음 제약 현상이 결과되는 것이 아니고, 음절말 제약이 있어서 중화 규칙이 필요해진다는 순서를 가진다. 왜냐하면 공시적 제약은 언어 현상에서 쉽게 관찰될 수 있는 구체적인 것이지만 공시적인 규칙이란 어느 정도 이론이 전제되는 추상적인 성격을 띠기 때문이다.
4) 음절구조의 관점에서 국어의 몇 가지 현상을 조명해 보았다. 음절구조의 문제는 음운현상의 가장 깊숙한 동기가 되는 것으로써 이제까지 우연한 현상으로 생각했던 예들에 대해 일관된 흐름을 발견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으~0'를 비롯한 형태음소론적 교체에는 깊이 접근하지 못하였다. 용언의 경우 어간, 어미 모두 의존 형태소인 관계로 대부분의 형태음소 변화들은 공시적인 음운규칙의 결과라기보다는 통시적 변화의 유산이라는 성격이 짙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현대국어의 형태음소 규칙들은 두 가지로 구별,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 현대 정서법(맞춤법)에서는 어느 정도 구별이 되어 있다. 즉 공시적인 제약에 해당하는 자동적 교체의 경우는 표기에 반영되지 않고, 나머지 비자동적 교체들은 표기에 직접 반영되고 있다. 형태소 경계에서의 구개음화(맏이, 붙이다 등)는 표기에 반영되지 않으나, 이 경우, 모두 종성(받침)으로 적게 되어 구개음화를 일으키지 않는 예(어디, 잔디, 느티나무)와 사실상 구별되는 셈이다.
첫째는 통시적인 변화가 공시적인 제약으로 굳어진 경우이다. 중화, 비음화, 유음화, 자음군 간소화 등이 해당되는데 이런 현상은 필수적인 것이며 비음운론적인 제약이나 규칙 순위 등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둘째는 공시적으로 전혀 힘을 가지지 못하는 순수한 통시적 변화의 유산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모음조화, 구개음화, 움라우트 등 실로 다양한데 이런 예들을 공시적인 규칙으로 기술하고자 한다면 추상적 음소의 설정이나 규칙 순위, 비음운론적인 제약, 통시적 정보 등 복잡한 절차와 이론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예들을 대상으로 하는 논리들은 공시적인 제약에 근거한 중화, 비음화 등의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다. 공시적인 제약에 대한 관찰, 기술의 수단으로서 음절은 매우 적절한 단위로 생각되며 통시적인 변화가 공시적인 교체로 계속 유지되는 까닭도 대부분 음절구조의 관점에서 찾아질 수 있다.
참 고 문 헌
姜昶錫(1982), 현대국어의 형태소 분석과 음운현상, 국어연구 50.
金完鎭(1972), 形態論的 懸案의 音韻論的 克服을 위하여, 東亞文化 11.
金次均(1972), 음운론의 원리, 창학사.
宋喆儀(1982), 국어의 음절 문제와 자음의 분포 제약에 대하여, 관악어문연구 7집.
李基文(1962), 중세국어의 특수어간교체에 대하여, 진단학보 23.
______(1977), 국어음운사 연구, 탑출판사.
______(1978), 十六世紀 國語의 연구, 탑출판사.
______(1983), '아자비'와 '아짜미', 국어학 12.
李秉根(1979), 음운현상에 있어서의 제약, 탑출판사.
______(1981), 유음탈락의 음운론과 형태론, 한글 173ㆍ174 어우름.
李丞宰(1980), 구례지역어의 음운체계, 국어연구 45.
李基文, 金鎭宇, 李相億(1984), 국어음운론, 학연사.
허 웅(1970), 국어 음운학, 정음사.
Clements, George N. & Samuel J. Keyser(1983), CV Phonology, Cambridge, The MIT Press.
Hooper, Joan B.(1976), An Introduction to Natural Phon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Kahn, Daniel(1976), Syllable-Based Generalization in English Phonology, University of
Massachusettes.
추천자료
국어 정보 처리를 위한 품사 태그의 몇 문제
현대 국어 제한소(制限素)의 의미 체계
제7차 국어과 문학 영역 교육과정과 소설 교육의 방향
[학습지도안/수업지도안]국어의 특질
80,90년대 현대 국어 연구의 개황
국어의 특질
[언어학][언어학 기원][구조언어학][심리언어학][사회언어학][인류언어학]언어학의 기원과 구...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
[국어학개론]방언과 방언학
벽돌구조에_대해서
초등학교 국어과 본 차시에 적합한 수업 모형은 무엇인가
[우리말의 역사 4공통]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
[우리말의 역사 공통] 국어사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설명하시오.
교육평가(국어 과목 20문항 문제 만들기) 과제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