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장애인의 직업재활지원전략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직업재활

Ⅱ. 직업재활지원의 방안

Ⅲ. 내부장애인의 발생원인과 특성

Ⅳ. 내부장애인의 직업재활 전략

Ⅴ. 내부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전문가의 역할

본문내용

이 심장 사건에 대처하는 환자와 가족들을 원조하는데 효과적이다.
심근경색이나 심장 수술 후 육체적 손상은 심리적 상태, 좌심실 기능과 운동 능력, 심근 빈혈이나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의 존재, 그리고 사건 후의 회복기간 등의 요인과 관련이 있다.
심근경색 후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1주에서 12주 동안 직장에 복귀할 수 없는데, 이는 경색의 크기와 업무의 부담 정도에 따라 다르다. 심장 바이패스(bypass) 수술에는 직장으로 복귀하는데 일반적으로 6~12 주가 걸린다. 스스로 노력을 거의 하지 않거나 혹은 충혈성의 심부전으로 좌심실의 기능이 현저하게 감소한 일부 환자들은 위험이 높아서 육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부담이 많은 직업이나 취미를 다시 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대부분의 심근경색 환자들은 직장으로 복귀하지만 일부는 복귀하지 못한다. 육체적 손상은 운동시험과 환자의 직업의 평균 에너지 수요와 함께 연령과 성별 기준으로 운동능력의 비교로 계산할 수 있다. 운동능력이 부족한 환자들은 운동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운동조절 기간을 거쳐야 한다.
심장사고 후에 원래의 직무로 복귀할 가능성을 낮게 하는 요인에는 60세 이상의 연령, 심각한 좌심실 기능저하, 이전의 심장 사건 기록, 주치의와 가족의 과보호적 태도,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능력에 있어서 환자의 자신감 부족, 업무 내용/요건을 변경할 의도가 없는 고용주, 장애 급여와 같은 재정적 요인, 환자의 낮은 업무만족도 등이 있다.
일부 환자들은 업무로 복귀하기 전에 육체적 요건, 심장혈관에 대한 부담, 심리적 스트레스, 기온, 습도, 공기의 질, 근무시간 변화 등 공식적인 직업 평가를 할 필요가 있다. 직업 상담과 직업 재훈련도 포괄적인 재활의 중요한 요소이다.
Ⅴ. 내부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전문가의 역할
직업재활전문가는 내부장애인들의 신체적·심리적 상태를 고려하여 직업재활계획을 세워야 한다. 현재 우리 나라의 현실에서 직업재활은 경력상담과 경력개발의 단계를 거칠 수 있는데, 우선 무엇보다도 경력상담을 통해 내부장애인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할 것이다. 경력개발에서는 내부장애인의 능력을 높이기 위해 각자에 맞는 직업훈련과 교육을 시켜야 한다. 또한, 내부장애인이 일할 수 있는 직장을 발견하고 개발해 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만약 내부장애인의 신체적·심리적 상태가 원래의 직업으로 복귀할 수 있다면 그렇게 직업재활계획을 세우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내부장애인은 신체적으로 능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아서 원래의 직업으로 복귀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새로운 상태에 맞는 직업을 찾고, 그에 맞는 훈련과 교육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다.
직업재활전문가는 내부장애인과 그 가족들과 함께 일하는 것 뿐 아니라 사회변화를 위해서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예를 들어, 신장장애인이 일할 수 있도록 우리 사회에서 시간제 일자리를 마련하는 일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고용주들이 내부장애인에 대해서 갖고 있는 부정적인 인상도 없앨 수 있도록 교육과 홍보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내부장애인의 직업재활은 직업재활전문가, 장애인, 가족, 고용주 등이 함께 협력하여 변화할 때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참고 문헌 >
오 혜경 (1999). 장애인과 사회복지실천. 서울: 아시아미디어리서치.
Danek, M. M., Conyers, L. M., Enright, M. S., Munson, M., Brodwin, M., Hanley-Maxwell, C., & Gugerty, J. (1996). "Legislation Concerning Career Counseling and Job Place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E. M. Szymanski & R. M. Parker (Eds.), Work and Disability: Issues and Strategies in Career Development and Job Placement. Austin, TX: PRO-ED.
Hershenson, David B. (1995). "Career Counseling." In A. E. Dell Orto & R. P. Marinelli (Eds.), Encyclopedia of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New York: Simon & Schuster Macmillan.
Jenkins, W. M., Patterson, J. B., & Szymanski, E. M. (1992). "Philosophical, historic, and legislative aspects of the rehabilitation counseling profession." In R. M. Parker & E. M. Szymanski (Eds.), Rehabilitation counseling: Basics and beyond (2nd ed., pp. 1-41). Austin, TX: PRO-ED.
Kutner, Nancy G.; Brogan, Donna; and Fielding, Brooke. "Employment Status and Ability to Work Among Working-Age Chronic Dialysis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Nephrology 11 (1991): 334-340.
Squires, Ray W. (1995). "Coronary Artery Disease." In A. E. Dell Orto & R. P. Marinelli (Eds.), Encyclopedia of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New York: Simon & Schuster Macmillan.
Witten, Beth & King, Karren (1995). "Kidney Disorders." In A. E. Dell Orto & R. P. Marinelli (Eds.), Encyclopedia of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New York: Simon & Schuster Macmillan.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05.21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8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