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CT의 교육적 효과 검증
2. 학교장 리더십이 유사한 학교 간의 ICT의 효과 검증
3. 교과별 ICT 활용 효과 검증
4. 학업 성취 수준에 영향을 주는 다른 ICT 요인 검증
2. 학교장 리더십이 유사한 학교 간의 ICT의 효과 검증
3. 교과별 ICT 활용 효과 검증
4. 학업 성취 수준에 영향을 주는 다른 ICT 요인 검증
본문내용
료를 갖춘 학교 중 단지 16개의 학교가 영어 교과에 대한 ICT의 지원이 자세히 언급되지 않았고, 그 결과를 비교하기에는 사례수가 너무 적다는 판단을 내렸다.
□ 결론
ICT 시설 및 자료가 매우 우수하며, 이를 교과목 지도에 활용한 학교가 일반적으로, ICT를 활용하지 않는 학교보다 그 과목에서 더 높은 성취 수준을 보였다.
[ 그림 8 ] 교과 지원을 위한 ICT 활용 :
교과별 ICT 지원에 대한 언급 비율
[ 그림 9 ] ICT가 활용된 교과목의 성취 수준 :
초등학교 3-6학년생 수학 과목 국가 성취 기준 이상 달성자 비율 (%)
[ 그림 10 ] ICT가 활용된 교과목의 성취 수준 :
초등학교 3-6학년생 수학 과목 국가 성취 기준 이상 달성자 비율 (%)
[ 그림 11 ] ICT가 활용된 교과목의 성취 수준 :
초등학교 3-6학년생 과학 과목 국가 성취 기준 이상 달성자 비율 (%)
4. 학업 성취 수준에 영향을 주는 다른 ICT 요인 검증
□ 연구 가설
우수한 ICT 시설 및 자료가 효과적인 ICT 활용 수업이 결합하면, ICT와 학업 성취 수준 간의 상관이 더욱 높아진다는 것은 밝혀졌다. 좀 더 핵심적인 특성을 밝히기 위해서, 학업 성취 수준과 일련의 ICT 요인들 사이의 상관 관계가 있음을 가정하였다.
□ 연구 방법
1999년 영국장학국의 장학지도를 받은 모든 학교를 표집하였고, 이들 학교에 대해 모든 ICT 관련 측정치들을 산출하였다. 그 중 특정 항목은 초등학교 3-6학년급을 대상으로 하였고, 그 외는 학교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어 각각의 ICT 측정치와 성취 수준 간의 상관을 구하였다. 각 등급들은 연속 변인이 아니라 서열 변인이기 때문에 Spearman의 등위상관을 활용하였다.
□ 연구 결과
ICT 시설 및 자료와 학생 성취도간의 상관은 .05였다. [ 그림 12 ]와 같이 그 외 상관이 높게 나타난 요인은 ICT에 대한 운영 및 리더십, 학습 자원 지원 직원 고용, ICT 개발 계획, 교육과정 지원 인력 투입, ICT 활용 공간의 적절성이었다. 특히 ICT 공간(예를 들면, ICT 장비가 있는 교실의 크기와 조건)은 영어 성적 사이의 상관은 0이었다. 즉, 성취에 영향을 주는 것은 바로 학습을 지원하는 ICT 시설 및 자료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주요 요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학생들의 ICT에 관한 흥미와 학생의 ICT 활용 능력
. 교내 ICT에 대한 열정과 높은 지원 수준
. 다양한 ICT 교육과정과 ICT에 대한 교사의 높은 기대
. ICT에 대한 교사 활용 능력 및 훈련 정도와 ICT에 대한 확신
□ 결론
보다 높은 학업 성취 수준을 기대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요인에는 ICT에 대한 운영 및 리더십, 학습 자원 지원 직원 고용, ICT 개발 계획, 교육과정 지원 인력 투입, ICT 활용 공간의 적절성임을 확인하였다.
[ 그림 12 ] ICT 활용 관련 요인과 영어 학업 성취 수준간의 상관
영국교육정보원 연구 결과
ICT 시설 및 자료가 우수한 학교가 ICT 시설 및 자료가 부족한 학교보다 성취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또한 향상된 성과는 1년 이상 지속되었다.
학교 경영 수준이 유사한 학교 중 ICT 시설 및 자료가 우수한 학교가 ICT 시설 및 자료가 부족한 학교보다 성취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특정 교과에 ICT를 활용한 학교가 ICT를 활용하지 않은 학교보다 그 교과 성취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ICT 시설 및 자료가 우수한 학교 중에서도 이를 잘 활용하는 학교가 잘 활용하지 못하는 학교보다 성취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성취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ICT를 잘 활용하는 학교가 수준 높은 교수법과 ICT에 관한 긍정적인 정서를 가졌고, 아울러 학생들의 ICT 기술 수준 역시 높았고, ICT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졌다.
미래 학교로 지정된 학교는 평균적으로 1999년에 이미 2002년도 성취도 목표 수준에 도달하였다. (영어 교과, 81% (목표 80%) / 수학 교과, 79% (목표 75%))
☆ 미래 학교란,
① 우수한 ICT 시설 및 자료를 갖춘 학교
② ICT를 활용한 학습에 긍정적인 정서가 형성되어 있는 학교
③ ICT 활용 교수법이 우수한 학교
④ ICT에 대한 학생들의 마인드가 긍정적인 학교
⑤ 학생들의 성취 수준이 ICT 교육과정에서 높은 학교
ICT 활용이 빈번한 학교의 대부분 교장(86%)이 ICT가 최근 2년간의 성취 수준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응답하였다.
ICT 시설 및 자료가 우수한 학교의 교장은 이들이 매우 활발히 활용되고 있으며, 성취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응답하였다.
ICT 활용이 빈번한 학교의 ICT 용도는 국어, 수학, 과학과 같은 핵심 교과 지원으로 나타났다. 교과 성취 수준에 대한 ICT의 영향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ICT가 가장 많이 활용된 교과 성취 수준 향상에 더욱 큰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하였다.
ICT 활용이 빈번한 학교의 교장은 ICT가 ICT 영역 외의 연구에서 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응답하였다. 구체적으로, 동기유발 98%, 교과 지식 96%, 교수법 93%, 학생 능력 90%, 학교 효과성 89%, 가정과 학교 연계 77%의 학교장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ICT 활용이 빈번한 학교의 교장 대다수(83%)가 ICT가 초등학교 1-2학년 학생의 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개인적으로 ICT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학습에 직접적인 영향력 있는 요인에 ICT가 영향을 준다고 응답하였다. 구체적으로, 동기유발 99%, 교과 지식 91%, 교수법 92%, 학생 능력 79%, 가정과 학교 연계 52%의 교사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ICT 활용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은 영어, 수학, 과학 등과 같은 핵심교과를 지원하기 위해 ICT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교과 성취 수준에 대한 ICT의 효과에 대하여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ICT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고 응답된 교과에서 더 큰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응답되었다.
□ 결론
ICT 시설 및 자료가 매우 우수하며, 이를 교과목 지도에 활용한 학교가 일반적으로, ICT를 활용하지 않는 학교보다 그 과목에서 더 높은 성취 수준을 보였다.
[ 그림 8 ] 교과 지원을 위한 ICT 활용 :
교과별 ICT 지원에 대한 언급 비율
[ 그림 9 ] ICT가 활용된 교과목의 성취 수준 :
초등학교 3-6학년생 수학 과목 국가 성취 기준 이상 달성자 비율 (%)
[ 그림 10 ] ICT가 활용된 교과목의 성취 수준 :
초등학교 3-6학년생 수학 과목 국가 성취 기준 이상 달성자 비율 (%)
[ 그림 11 ] ICT가 활용된 교과목의 성취 수준 :
초등학교 3-6학년생 과학 과목 국가 성취 기준 이상 달성자 비율 (%)
4. 학업 성취 수준에 영향을 주는 다른 ICT 요인 검증
□ 연구 가설
우수한 ICT 시설 및 자료가 효과적인 ICT 활용 수업이 결합하면, ICT와 학업 성취 수준 간의 상관이 더욱 높아진다는 것은 밝혀졌다. 좀 더 핵심적인 특성을 밝히기 위해서, 학업 성취 수준과 일련의 ICT 요인들 사이의 상관 관계가 있음을 가정하였다.
□ 연구 방법
1999년 영국장학국의 장학지도를 받은 모든 학교를 표집하였고, 이들 학교에 대해 모든 ICT 관련 측정치들을 산출하였다. 그 중 특정 항목은 초등학교 3-6학년급을 대상으로 하였고, 그 외는 학교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어 각각의 ICT 측정치와 성취 수준 간의 상관을 구하였다. 각 등급들은 연속 변인이 아니라 서열 변인이기 때문에 Spearman의 등위상관을 활용하였다.
□ 연구 결과
ICT 시설 및 자료와 학생 성취도간의 상관은 .05였다. [ 그림 12 ]와 같이 그 외 상관이 높게 나타난 요인은 ICT에 대한 운영 및 리더십, 학습 자원 지원 직원 고용, ICT 개발 계획, 교육과정 지원 인력 투입, ICT 활용 공간의 적절성이었다. 특히 ICT 공간(예를 들면, ICT 장비가 있는 교실의 크기와 조건)은 영어 성적 사이의 상관은 0이었다. 즉, 성취에 영향을 주는 것은 바로 학습을 지원하는 ICT 시설 및 자료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주요 요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학생들의 ICT에 관한 흥미와 학생의 ICT 활용 능력
. 교내 ICT에 대한 열정과 높은 지원 수준
. 다양한 ICT 교육과정과 ICT에 대한 교사의 높은 기대
. ICT에 대한 교사 활용 능력 및 훈련 정도와 ICT에 대한 확신
□ 결론
보다 높은 학업 성취 수준을 기대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요인에는 ICT에 대한 운영 및 리더십, 학습 자원 지원 직원 고용, ICT 개발 계획, 교육과정 지원 인력 투입, ICT 활용 공간의 적절성임을 확인하였다.
[ 그림 12 ] ICT 활용 관련 요인과 영어 학업 성취 수준간의 상관
영국교육정보원 연구 결과
ICT 시설 및 자료가 우수한 학교가 ICT 시설 및 자료가 부족한 학교보다 성취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또한 향상된 성과는 1년 이상 지속되었다.
학교 경영 수준이 유사한 학교 중 ICT 시설 및 자료가 우수한 학교가 ICT 시설 및 자료가 부족한 학교보다 성취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특정 교과에 ICT를 활용한 학교가 ICT를 활용하지 않은 학교보다 그 교과 성취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ICT 시설 및 자료가 우수한 학교 중에서도 이를 잘 활용하는 학교가 잘 활용하지 못하는 학교보다 성취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성취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ICT를 잘 활용하는 학교가 수준 높은 교수법과 ICT에 관한 긍정적인 정서를 가졌고, 아울러 학생들의 ICT 기술 수준 역시 높았고, ICT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졌다.
미래 학교로 지정된 학교는 평균적으로 1999년에 이미 2002년도 성취도 목표 수준에 도달하였다. (영어 교과, 81% (목표 80%) / 수학 교과, 79% (목표 75%))
☆ 미래 학교란,
① 우수한 ICT 시설 및 자료를 갖춘 학교
② ICT를 활용한 학습에 긍정적인 정서가 형성되어 있는 학교
③ ICT 활용 교수법이 우수한 학교
④ ICT에 대한 학생들의 마인드가 긍정적인 학교
⑤ 학생들의 성취 수준이 ICT 교육과정에서 높은 학교
ICT 활용이 빈번한 학교의 대부분 교장(86%)이 ICT가 최근 2년간의 성취 수준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응답하였다.
ICT 시설 및 자료가 우수한 학교의 교장은 이들이 매우 활발히 활용되고 있으며, 성취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응답하였다.
ICT 활용이 빈번한 학교의 ICT 용도는 국어, 수학, 과학과 같은 핵심 교과 지원으로 나타났다. 교과 성취 수준에 대한 ICT의 영향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ICT가 가장 많이 활용된 교과 성취 수준 향상에 더욱 큰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하였다.
ICT 활용이 빈번한 학교의 교장은 ICT가 ICT 영역 외의 연구에서 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응답하였다. 구체적으로, 동기유발 98%, 교과 지식 96%, 교수법 93%, 학생 능력 90%, 학교 효과성 89%, 가정과 학교 연계 77%의 학교장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ICT 활용이 빈번한 학교의 교장 대다수(83%)가 ICT가 초등학교 1-2학년 학생의 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개인적으로 ICT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학습에 직접적인 영향력 있는 요인에 ICT가 영향을 준다고 응답하였다. 구체적으로, 동기유발 99%, 교과 지식 91%, 교수법 92%, 학생 능력 79%, 가정과 학교 연계 52%의 교사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ICT 활용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은 영어, 수학, 과학 등과 같은 핵심교과를 지원하기 위해 ICT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교과 성취 수준에 대한 ICT의 효과에 대하여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ICT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고 응답된 교과에서 더 큰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응답되었다.
추천자료
디지털정보통신기술과 정보지배사회에 대한 고찰
정보화사회(정보사회)의 도입,전파, 정보화사회(정보사회)의 특징, 정보통신기술의 중요성, ...
[정보화사회][정보사회][정보화 모형][정보통신기술]정보화사회(정보사회)의 개념, 정보화사...
[바이오기술][나노기술][정보통신기술][그린기술][자동차기술]바이오테크놀러지(바이오기술),...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정보화, 특수교육(장애인교육)과 정보화교육, 특수교육(장애인교육)...
[과학과교육]과학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특징과 필요성, 과학과 ICT(정보통신기술)...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개념과 목적,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유형과 필요성, ICT활용...
[협동학습][협동학습모형][협동학습적용][ICT][정보통신기술]협동학습의 필요성, 협동학습의 ...
[과학기술][국제협력][정보통신기술][낭만주의]과학기술의 목적, 과학기술의 기본계획, 과학...
[원격교육][정보통신기술][정보사회]원격교육의 개념, 원격교육의 성격, 원격교육의 역사, 원...
기술가정과(기술가정과교육)의 목표와 개정배경, 기술가정과(기술가정과교육)의 내용과 ICT(...
[인터넷 정보검색활용]인터넷 정보검색활용과 검색엔진, 인터넷 정보검색활용과 ICT(정보통신...
음악표현교육의 정의, 특성, 음악표현교육의 목적, 필요성, 음악표현교육의 과정, 마인드맵활...
[인재교육][인재][교육][ICT][창의성][정보소양]인재교육의 ICT(정보통신기술), 인재교육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