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정신문명건설과 원불교 정신개벽사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중국정신문명건설의 주요내용

Ⅲ 정신개벽 사상에 대한 소태산대종사의 제시

Ⅳ. 소태산대종사의 정신개벽 사상에 관한 일부 내용

2. 교육을 중시하고 교육을 흥성시키는 사상

Ⅴ 결론

본문내용

하였다. 이것으로부터 중국교육역사의 새로운 페이지를 써 놓았다.
그러나 중국교육체계에 대한 개혁은 순풍에 돛을 단것처럼 수조로운 것도 아니다. 교육체계에 대한 개혁은 여러면에서 저애를 받고 있는데 주로 경제와 사상 이 두 방면에서 많은 문제점들에 봉착하고 있다. 경제면에서 볼 때 주로는 교유경비가 너무나 결핍한 탓으로 학교운영에서나 교사에 대한 대우에서나 근본적인 개선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사상방면에서 보면 교육을 경시하고, 인재를 홀시하는 사상이 장기적으로 존재하는 데서 오늘까지도 이 문제점들에대하여 완전한 해결을 보지 못하고 있다. 교육에서의 이러한 현상황을 해결하자면 우선 경제적인 담보가 있어야 하며 小太山大宗師가 지적한 바와 같이 교육을 중시하고 교육을 격려하며 「교육자」대우를 제고하고 생활조건을 개선하며 「지자본위」의 사상울 수립하여야 한다.
3. 法制建設을 重要視하고 社會의 安定을 促進시키는 思想
小太山大宗師는 『正典』에서 法制建設을 중요시하는 것은 사회 안정을 촉진하는데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사상을 내놓았다. 그는 「법률은」 절에서 지적하기를 법률이란 인도, 정의 공정을 주장하는 준칙이라고 하였다. 그는 또 법률이 있어야만 세상도 질서가 정연하고 사농공상이 더욱 발달하게 될 것이며 만약 개인에 있어서 수신하는 법률과, 가정에 있어서 제가하는 법률과, 사회에 있어서 사회 다스리는 법률과, 세계에 있어서 세계 다스리는 법률이 없고는 안녕 질서를 유지할 수 없다고 인정하면서 개인, 가정, 국가 심지에 세계범위내에서 법률을 배워 행하라고 하였다.
필자가 볼 때 小太山大宗師의 이러한 사상도 아주 중요한 것으로써 그 중요성은 무엇보다 먼저 「法治」사상에 있다고 본다.
과거 중국의 봉건사회는 종래의 법을 무시하여 왔다. 중국은 고대사회로부터 일찍 法家에 의하여 「法治」가 제기되었지만 그 뒤에 또 德治가 「법치」를 대체하는데서 중국은 역사적으로 볼 때 법률은 종래로 정치에서 독립되어 나오지 못하였다고 할 수 있다. 중국사람은 아직은 서방사람들과의 「法律至上」의 관념이 부족하다. 개혁해방이후 정부에서는 法制건설에 아주 큰 중시를 돌리게 되었다. 그 목적은 小太山大宗師가 일찍 지적한 바와 같이 법제건설로서 사농공상의 전면발전을 보장하고 촉진시키는 데 있다. 그 심각성은 둘째로 변증법적 사상에 있다고 본다.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① 法律과 자유의 통일성이요, ② 법치와 안정의 통일성이요 ③ 法制가 경제건설에 대한 반작용이다. 다만 법률과 자유의 통일성만 보더라도 심각한 변증법적 사상을 내포하고 있다. 중국에서 일부분 사람들은 자유는 어떠한 국한과 구속을 받지않고 제멋대로 도리에 어긋나는 행위라고 보고 있다. 이러한 견해는 극단적인 그릇된 견해이다. 자유란 개인과 사회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에 상관되기에 이러저러한 제한을 받지않을수 없는 만큼 모든 사람은 사회생활가운데서 꼭 일정한 제한을 받게 된다 법률을 떠난 절대적인 자유와 자유를 떠난 절대적 법률은 이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법률로서 자유를 보장하여야만 사람들의 자유도 담보되게 된다. 때문에 Montesguieu(1969 - 1755)도 「자유란 법률의 허용밑에서 진행될 수 있는 권한이다」라고 말하였다. Rousseau(1712 - 1778)는 법률을 떠난 자유란 있을수 없다. 그 어떠한 사람이든지 법률의 구속을 받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하였다. 小太山大宗師의 前人 사상의 기초하에 법률과 자유의 통일성에 관한 문제는 아주 선명한 계몽의식을 띄고 있으며, 근대 조선사회역사의 발전에 있어서 진보적인 작용을 하였다.
Ⅴ 결론
小太山大宗師의 「精神開闢」 사상은 제 3부분에서 저술한 내용외에도 아직도 과학을 중시하는 사상, 정신수양을 중시하는 사상, 사람들의 행위준칙을 변혁하는 사상등 중요한 내용들이 있다. 이러한 사상들은 「一圓相」을 본원으로 하는 세계관과 풍부한 변증법적 사상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므로 小太山大宗師의 철학사상에 대한 연구는 아주 흥미있고 뜻깊은 일이라고 본다. 그러므로 小太山大宗師의 철학사상에 대한 여구는 아주 흥미있고 뜻깊은 일이라고 본다. 그러나 편폭의 제한으로 이 논문에서는 언급하지 않겠다. 필자는 여기에서 다만 아래와 같은 小太山大宗師의 「정신개벽」사상에 관한 몇가지 기본특징을 개괄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으려고 한다.
첫째로는 廣法性과 動態性을 가지고 있다. 「精神開闢」은 내용이 풍부한 데서 아주 광범한 범주로 되고 있다. 「精神開闢」은 사람들의 정신생산과 정신생활분야와도 관련되며 사람들의 심리, 정치, 법률, 철학, 종교, 도덕, 과학, 위생등 정신생활과도 관련되며 또 사상과 문화등 많은 방면과도 관련된다. 때문에 우리는 「精神開闢」의 함의를 파악함에 있어서 편면적이거나 협소한 이해를 가져서는 안된다. 「精神開闢」은 또 動態性을 가진 범주이다. 이 범주는 부단히 발전 변화하는 것으로 그 발전과정중에는 이러저러한 곡절이 있겠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낮은데로부터 높은데로, 간단한데로부터 복잡한데로, 양적변화로부터 질적변화로 발전하는 막을 수 없는 추세로 되고 있다. 그러므로 그것을 절대로 고정불변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안된다.
둘째로는, 혁명성과 시대성이다. 「精神開闢」은 획기적인 주장으로 되고 있다. 이 주장은 정신분야에서 한차례의 혁명을 의미하고 낡은 정신세계에 대한 도전을 징표한다. 「精神開闢」에서 주장한 인권론, 평화론, 법치론, 교육론, 수양론, 도덕론, 절약론등은 시대의 요구를 그대로 반영하였기 때문에 혁명성과 시대성을 가지고 있다.
셋째로는 민중성과 생활성을 가지고 있다. 「精神開闢」은 하나의 위대한 사회공정이며, 천백만 민중의 동등한 사업이다. 때문에 다만 광범한 민중을 동원하여야만 큰 성과를 얻을 수 있다. 또 「精神開闢」은 결국에는 매개 사회성원들의 정신지질과 정신경지를 제고하는데 낙실도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精神開闢」은 매 개인의 정신생활과 떼어 놓을 수 없다.
총체적으로 볼 때 그 어떤 민족이든지 「物質개벽」에 중시를 돌릴뿐만 아니라 동시에 「정신개벽」에는 중시를 돌려야 한다. 민족정신을 발양광대하는 「精神開闢」이 없으면 사회는 전면적이고도 신속한 진보가 있을수 없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2.05.22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8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