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은윤리의 현대적 의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Ⅰ.새 시대 인간이해의 특징
Ⅱ.은(恩)의 윤리
Ⅲ.은의 윤리와 현대윤리사조
Ⅳ.은의 윤리와 실천운동

본문내용

리적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 사회 즉 정신적 힘에 의해서 사회정의가 실현되는 사회를 건설하기 위하여 요청되는 것이다. 현실적으로는 물리적 힘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가 허다하나, 물리적 힘을 정신적 힘으로 대치해 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인간윤리의 기본방향이며 현대에 있어서 종교의 존재 의의는 이 인간윤리의 기본방향을 추진하는 정신의 원동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원동력으로 제시되어온 것이 사랑이요, 자비요, 인이며, 이를 현대적 상황에 맞도록 제시한 것이 「은(恩)」이다. 그러나 현대와 같은 대집단 사회에서는 개개인의 사랑, 자비, 인, 은(恩)만으로는 정신의 힘이 물리적 힘을 대치하도록 역할 할 수 없다. 개개인의 힘을 한데 모우는 힘의 결집운동이 절실히 요청된다. 이를 소태산은 정신세력 형성운동
) 원불교 정화사, 전게서, p.19, 개교의동기 참조.
으로 제창하였고, 정산은 삼동윤리운동
) 상게서, p.1408 참조
으로 풀이 하였으며, 대산은 종교연합운동
) 세계종교연합운동: 교조 소태산의 일원주의, 이대 종법사 정산의 삼동윤리 정신을 보다 구체화하여 현 대산종법사는 종교연합운동을 제창하였으며, 종교연합기구(United Religions) 설립 을 위한 구체적인 작업을 타종교 지도자들과 추진하고 있다.
으로 더욱 구체화 하였다. 정신세력 형성운동이란 은의 힘을 뭉치는 운동이다. 우리 인간은 누구나 은을 발할 수 있는 힘과 害를 발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주어진 여건을 따라 때로는 은을 발하고 때로는 해를 발한다. 해보다는 은을 더 발할 수 있는 인물일수록 훌륭한 인격이다. 그러나 아무리 훌륭한 인격이라 하더라도 사회적 여건이 허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은의 힘을 발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어떠한 사회적인 악조건도 능히 극복할 수 있는 결집된 정신의 힘이 요청된다. 미미한 은의 힘을 가진 사람이라 하더라도 사회여건 또는 사회분위기가 성숙되면 더욱 큰 은의 힘을 발할 수 있게 된다. 정신세력 형성운동이란 개개인이 가진 은의 힘을 결집하는 운동이다. 은의 힘이 결집되면 사회에 대한 봉공의 세력으로 나타난다.
봉공의 세력이 커지면 커질수록 각 개인이 지닌 해의 힘은 움추려 들고 은의 힘이 더욱 발현되며 그것들이 다시 결집될수록 봉공의 세력은 다시 확대된다. 봉공의 세력이 그 국가사회를 주도하게 될 때 그 국가는 발전할 것이요, 새로운 역사가 창조될 것이다. 은의 힘을 결집하는 정신세력 형성운동이야 말로 원불교가 이 나라 이 민족을 위해서 실현해야 할 제일 과제이다.
은의 윤리는 부정, 불의와 야합하는 윤리가 결코 아니다. 사회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정신세력 형성의 윤리요, 그 정신세력을 사랑과 자비와 인 즉 은(恩)으로서 형성하자는 것이다. 종교가 사랑과 자비와 인 즉 은의 원리를 포기할 때 이미 종교일 수 없는 것이다. 폭력을 은의 힘으로 극복하게 될 때 인류는 인간다운 윤리사회를 건설하게 될 것이다.
<출전 : 『원불교사상』6, 원불교사상연구원, 1982. ; 『원불교사상의
전개』하, 교문사, 1990>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5.22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8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