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영향 평가서의 문제점(동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글은 비전문가가 작성했음을 인정한다. 그러한 비전문가의 눈에도 이 정도의 문제점이 드러났다는데 더 큰 문제가 있다. 30여 년 간 영월읍 거운리의 영월댐건설에 대해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그 동안 충주호가 만들어지고 심지어 평창강과 주천강에 소규모댐을 건설할 계획을 세우는 등 거운리의 영월댐 건설은 사실상 백지화되었다 해도 과언은 아니였다. 환경 영향 평가서 대로 그토록 필요한 댐이였다면 이미 건설되어야 했던 댐이였다. 이는 곧 이 지역이 댐을 건설하기에는 상당한 문제가 있음을 간접적으로 인정하는 것이라 판단한다.
대형댐의 건설을 댐주변지역의 피해는 그리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왜냐하면 대형댐의 경우 완벽한 조건을 갖추지 않을 경우 엄청난 피해를 야기시킬 수 있는 위험을 항상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지질이 불안정한 상태에서는 더욱 문제가 심각해진다.
분명히 영월댐은 영월군의 문제만은 아니다. 공개적으로 충분히 다시 한번 안정성을 검증해야할 것이다.
Best viewed with Netscape 4.0 or higher, Resolution 800 x 600.
Copyright (c) 1999, 동강지기, All right reserved.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06.03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