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망의 종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제 목 : 통신망의 종류
□ 총 페이지수 : 12쪽
□ 목 차:

1 전화망
2 패킷망
3 CATV망
4 방송망
5 근거리 통신망(LAN)
6 종합정보통신망(ISDN)
7 기업통신망
8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ISDN)
9 위성통신망
10 무선통신망

본문내용

및 음향신호를 최신의 영상압축기술인 MPEG-2기술을 이용해 압 축, 무궁화위성으로 쏘아 올리고 이를 각 지역의 방속국들이 받아 볼수 있게 한다는 것입니다. 또 무궁화위성으로 CATV프로그램을 공급할 경우 국내 CATV방송국은 물론 남.북한 도서 전지역은 외에 일본, 중국 등의 주변국가까지도 CATV프로그램을 전송, 어디에서나 간편한 수신시설만 갖추면 CATV방송을 시청할 수 있으며, 지진 등의 자연 재해가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집니다..
무궁화위성을 통해 제공하는 통신서비스로는 위성전용망서비스 및 위성전용전화망서비스 등도 있습니다. 이와 함께 한국통신이 무궁화위성을 이용해 제공하려는 통신서비스로는 위성이동중계(SNG:Satellite News Gathering)로 무궁화위성과 지상을 이동가능 한 방송안테나로 연결하는 이 서비스는 미국CNN이 걸프전쟁 당시 전쟁상황을 현지에서 보도, 전세계에 생방송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이동중계시스템을 가지고 인공위성 을 통해 음성과 영상을 8~16Mbps의 속도록 전송할 수 있습니다.
무궁화위성을 이용한 서비스로는 또 고속도로나 산간오지의 지방도로, 해양을 운행 하는 차량 및 선박의 위치를 자동으로 확인해 운행관리 등에 이용할 수 있는 위성 이 동통신서비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국통신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지구 위치확인시스템)위성의 위성위치정보시스템을 도입, 무궁화위성의 위성데이터통신시스 템과 연계하는 통신망을 구축하고, 이동차량의 운행위치는 물론 정보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는 위성데이터통신서비스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차량 또는 선박에서 발생하는 무선주파수를 지국상공 2만km에서 1일 2회 선회하는 24개의 GSP위성 중 가장 가까운 3개 위성에서 받아 전파의 도달시간차이로 현재 위치를 계산, 이를 무궁화위성을 통해 지구국으로 전송하는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데이터통신기술과 접목 시켜 사무실에서 차량 운전자에게 각종 사항을 지시할 수도 있습니다. 화물운송을 비 롯 고속버스와 정유 및 LPG운반 등의 운송회사와 수위, 우량, 풍속관측, 환경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무궁화위성을 통해 저렴한 가격에 고품질의 원격강의를 할 수 있어 교육환경변화에 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기상청 등에서 활용할 수있 는 무인원격관측망서비스도 무궁화위성을 이용해 제공할 계획인데 이 서비스는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무인관측소의 기상정보를 위성을 연결 중앙에서 수집, 분석할 수있도록 하자는 것입니다.
무선통신망
무선 통신망은 전선의 연결 없이 라디오 주파수를 사용하고 공기를 매개체로 하여 사 용자에게 통신을 제공하는 망입니다.
유선 통신망에 비해 설치가 쉬운 장점이 있으나 외부의 전파적 충격에 약하고 통신 용량(대역폭)이 유선 통신망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읍니다.
부족한 대역폭의 활용을 위해 한정된 주파수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파수분할다중접속(FDMA), 시간분할다중접속(TDMA),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등이 사용되고 있읍니다.
무선 통신망의 응용으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페이징(무선 호출), 휴대 전화를 비롯하여 전자 우편, 데이타 베이스 이용 및 화일 전송, 물류 운 반 시스템, 지리 정보 시스템, 통신 정보 시스템, 스마트 카드 등이 있읍니다.
무선 통신망의 구조로는 공간적으로 주파수 재사용을 하기 위한 셀룰라 망, 넓은 장 소를 서비스할 수 있는 위성통신망, 건물 내에서 기존의 근거리망(LAN)을 무선으로 연 결하는 무선 LAN 등이 가장 대표적입니다.
무선 호출 서비스
삐삐로 널리 알려진 무선호출 서비스는 행정단위의 경제권을 서비스 영역으로 하여 161.42MHz의 전송주파수를 사용하여 전국을 8개의 지역권으로 분할하여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습니다. 호출음만 보낼 수 있었던 초기에 비해 현재는 간단한 메시지까지도 송 신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곧 멀티미디어 정보까지 송수신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일반적인 무선호출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1. 전화기로부터 무선호출기의 호출번호를 다이얼하면 시내교환기를 경유하여 무선호 출 중앙기지국에 연결된다.
2. 메시지가 있는 경우 버튼을 눌러 숫자와 기호등을 보낸다.
3. 중앙기지국에서는 호출번호와 등록한 서비스 종류를 점검한 뒤, 호출음과 메시지를 전송코드로 변환하여 호출번호와 함께 전파를 발사한다.
4. 전파가 감소되는 빌딩 내부에서도 수신할 수 있게 각 서비스 구역마다 복수의 무선 기지국이 있어, 중앙기지국에서 호출번호를 각 주변기지국으로 보내면, 이 기지국에서 도 일제히 전파를 발사한다.
5. 해당 무선호출기는 수신된 코드를 재변환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식별코드와 일치 하면 송신측에는 정상적으로 수신이 되었음을 확인해주고, 가입자에게는 호출이 있음 을 알리는 경보음이나 수신된 정보를 보여준다.
무선데이타망
무선데이타망은 간단히 생각하면 기존의 유선데이타망을 무선으로 대치한 r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기존의 유선망의 모뎀, LAN 카드, 리피터(repeater), 브릿지(bridge), 라우터 (router), 케이트웨이(gateway) 등의 부분을 라디오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대 체한 통신망이라고 할 수 있읍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무선 LAN으로서 설치 및 이동 및 재배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 지며, 적외선, 마이크로파, 분산스펙트럼(spread spectrum) 방식의 전송방식이 사용하 고 있읍니다.
상용 제품으로는 WaveLAN, Altair Plus II, PortLAN, Netwave, RangeLAN 등이 있으며 전송 속도는 수Mbps, 지원거리는 옥내 100m, 옥외 수백m 정도입니다. 이외에도 무선 메세지 서비스(무선호출이나 전자메일 등), 국간 전송로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경우, 그리고 기존의 셀룰라 전화망 기반위에서 데이타 서비스를 제공하는 CDPD(Cellular Di gital Packet Data) 등의 서비스가 있읍니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2.06.08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8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