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에서는 다양한 성질을 가진 여러 가지 정보신호들을 자유롭고 효율성 있게 송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 패킷교환기는 패킷을 일단 컴퓨터의 메로리에 집어넣은 뒤,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서 주소에 맞는 전송로를 선택한다. 그런식으로 패킷을 송출하기 때문에 당연히 처리 시간이 길어진다.
□ ATM교환기는 스위치를 하드웨어로 구성되기 때문에 고속 동작이 가능한 소자를 사용하면 대단히 높은 비트레이트로 셀을 전송할 수 있다.
□ 교환은 회선교환→패킷교환→ATM교환으로 발전될 예정이다.
4. 단말
□ 멀티미디어 단말은 음성과 데이터, 화상 등 각종 정보미디어를 통합해서 다루는 것이라 정의할 수 있다.
□ 멀티미디어 단말은 컴퓨터 분야에 발전한 것과 통신 분야에서 발전한 것, 또한 가전분야에서 발전한 것 등으로 다양하게 존재하리라 본다.
□ 멀티미디어 PC
- 화면표시기능 강화
- 오디오 기능이 필요
- 대용량의 기억장치 필요
- CPU의 고속처리능력
- 멀티미디어 대응 OS가 필요
□ 멀티미디어 OS
- 애플사의 Quick Time
- MS MS-window3.1
□ 멀티미디어 DBMS
- 객체지향 DMBS
□ 휴대용 정보단말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 차세대 휴먼인터페이스
- 에이전트 인터페이스 (agent interface)
□ 멀티미디어 응용 틀
- 오쏘링툴 (authoring tool)
【4교시 6번 문제】IMT-2000에 관한 정부의 사업자 선정에 관하 여 정부의 정책담당자 입장에서 표준화방식, 주파수배정, 사업자 관련 이슈(ISSUE)을 정리, 중요사업을 결정하고 그 근거를 기술하시오.
1. 개요
궁극적인 통신 이용자들의 욕구는 시간과 장소에 전혀 구애받지 않는 완전한 개인 통신비스의 구현이다. 그러므로 개인 통신 서비스는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보편적 이동성을 실현할 수 있다.
2. 소요기술
가. IMT-2000
1) 개요
□ 이동전화, 코드리스 폰, 이동데이터, 위성 등 다양한 시스템을 통합하여 제한된 무선 접속을 통해 일체화된 이동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가입자들로 하여금 어느 나라에서나 통화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국제 로밍을 제공하고 인구가 희박한 지역에서도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능망과 위성망을 연동한다.
□ ITU-R TG8에서 1986년부터 서비스 내용과 시스템 구성방법 등 기술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검토, 지상계 시스템은 2000년에 표준화가 완성되므로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이라고 부른다. 한편 투자비용 때문에 우리 나라에서 제시한 표준화가 채택되기 위하여 제주회의를 개최한 바가 있다.
2) 특징
① 1.8∼2.2GHz주파수대의 시스템
② 광범위 지역에서의 다양한 무선환경(셀룰라, 코드리스, 위성 및 고정망) 수용
③ 로밍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 이동성 제공
④ 광범위한 통신서비스 제공
⑤ 보다 우수한 통합성 보장
⑥ 국제적 로밍 기능 제공 및 핸드오프 지원
⑦ 이동 관리 및 서비스 제어를 위한 지능망 기능 활용
⑧ 유연하고 개방된 망 구조
⑨ 높은 보안성 및 프라이버시 제공
⑩ 음성 영상 및 고속 데이터(2[Mbps])
1992년 WARC(World Adminstrative Radio Conference)에서는 필요한 주파수 소요대역을 230[MHz]로 정하고 대역을 1.885∼2.025 및 2.110∼2.2[GHz]로 설정하였다.
3) 향후 서비스 요구 사항
①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 진화된 비화 제공
② 고정 ISDN망의 장비의 대체사용 가능토록 단말 인터페이스
③ 무선 중계기 및 PABX사용 가능
나. UPT(Universal Personal Telecommunication)
개인 및 서비스 이동성을 가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지능망, ISDN에 도입되고 있는 서비스의 개념이다. UPT서비스 환경에서 가입자에게는 고유한 UPT번호가 부여된다. UPT번호는 가입자에게 호를 접속할 때 서비스 요구시 가입자의 신원을 확인할 때 사용된다.
1) 특징
① 고유한 개인번호(UPT Number)를 이용한 개인 이동성 제공
② 가입자가 서비스 프로파일 액세스하도록 하여 서비스 이동성 및 제어기능 제공
③ 단말을 대신한 UPT번호에 근거한 과금
④ 다양한 망(PSTN, ISDN, PLMN), 단말 형태(fixed, portable, mobile)와 무관한 서비스 용이성 / 액세스 제공
⑤ UPT가입자가 메뉴 방식으로 선정하는 형식의 서비스 제공
⑥ 가입자 인증과 확인에 의한 액세스 보안성 및 위치 보안 유지
2) 진화방향
UPT서비스 발전은 다음의 3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 Phase 1 : 제한적 UPT시나리오
□ Phase 2 : 기본적 UPT시나리오
□ Phase 3 : 개선된 UPT시나리오
Phase1은 제한적인 망구조, 서비스특징, 보안 및 사용자에 대한 친숙성을 갖는다. 현재의 망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구현할 수 있는 서비스 기능들의 집합으로 규정된다. 즉 Phase1은 ISDN, PSTN, PLMN정도로 제한되며 음성서비스에 한정된다. Phase2는 보다 포괄적인 서비스로의 접근성, 풍부한 서비스 기능 제공, 서로 다른 망 사이에서의 단말 독립성과 운용성을 위한 것으로 지능망이 이용되며 데이터 서비스도 포함된다. Phase3은 제 2세대 UPT서비스의 향상된 형태로서 UPT서비스의 궁극적인 목표이며 이 단계에서는 음성인식이나 음성 인증, 멀티미디어 단말 도입 등에 따라 보다 사람에게 친근하고 편리한 서비스형태로 발전될 것이다.
다. 결론
단말 이동성인 IMT-2000은 hand-off와 roaming으로 말미암아 이동이 자유로우나 반드시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어야 하며 사용자 이동성인 UPT는 고정성과 이동성의 자유로운 선택이 필요하다. 그러나, 단말기는 반드시 망내에 고정되어 있어야 하므로 완전히 이동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IMT-2000과 UPT가 서로 합칠 때 가능하다.
□ 패킷교환기는 패킷을 일단 컴퓨터의 메로리에 집어넣은 뒤,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서 주소에 맞는 전송로를 선택한다. 그런식으로 패킷을 송출하기 때문에 당연히 처리 시간이 길어진다.
□ ATM교환기는 스위치를 하드웨어로 구성되기 때문에 고속 동작이 가능한 소자를 사용하면 대단히 높은 비트레이트로 셀을 전송할 수 있다.
□ 교환은 회선교환→패킷교환→ATM교환으로 발전될 예정이다.
4. 단말
□ 멀티미디어 단말은 음성과 데이터, 화상 등 각종 정보미디어를 통합해서 다루는 것이라 정의할 수 있다.
□ 멀티미디어 단말은 컴퓨터 분야에 발전한 것과 통신 분야에서 발전한 것, 또한 가전분야에서 발전한 것 등으로 다양하게 존재하리라 본다.
□ 멀티미디어 PC
- 화면표시기능 강화
- 오디오 기능이 필요
- 대용량의 기억장치 필요
- CPU의 고속처리능력
- 멀티미디어 대응 OS가 필요
□ 멀티미디어 OS
- 애플사의 Quick Time
- MS MS-window3.1
□ 멀티미디어 DBMS
- 객체지향 DMBS
□ 휴대용 정보단말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 차세대 휴먼인터페이스
- 에이전트 인터페이스 (agent interface)
□ 멀티미디어 응용 틀
- 오쏘링툴 (authoring tool)
【4교시 6번 문제】IMT-2000에 관한 정부의 사업자 선정에 관하 여 정부의 정책담당자 입장에서 표준화방식, 주파수배정, 사업자 관련 이슈(ISSUE)을 정리, 중요사업을 결정하고 그 근거를 기술하시오.
1. 개요
궁극적인 통신 이용자들의 욕구는 시간과 장소에 전혀 구애받지 않는 완전한 개인 통신비스의 구현이다. 그러므로 개인 통신 서비스는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보편적 이동성을 실현할 수 있다.
2. 소요기술
가. IMT-2000
1) 개요
□ 이동전화, 코드리스 폰, 이동데이터, 위성 등 다양한 시스템을 통합하여 제한된 무선 접속을 통해 일체화된 이동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가입자들로 하여금 어느 나라에서나 통화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국제 로밍을 제공하고 인구가 희박한 지역에서도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능망과 위성망을 연동한다.
□ ITU-R TG8에서 1986년부터 서비스 내용과 시스템 구성방법 등 기술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검토, 지상계 시스템은 2000년에 표준화가 완성되므로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이라고 부른다. 한편 투자비용 때문에 우리 나라에서 제시한 표준화가 채택되기 위하여 제주회의를 개최한 바가 있다.
2) 특징
① 1.8∼2.2GHz주파수대의 시스템
② 광범위 지역에서의 다양한 무선환경(셀룰라, 코드리스, 위성 및 고정망) 수용
③ 로밍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 이동성 제공
④ 광범위한 통신서비스 제공
⑤ 보다 우수한 통합성 보장
⑥ 국제적 로밍 기능 제공 및 핸드오프 지원
⑦ 이동 관리 및 서비스 제어를 위한 지능망 기능 활용
⑧ 유연하고 개방된 망 구조
⑨ 높은 보안성 및 프라이버시 제공
⑩ 음성 영상 및 고속 데이터(2[Mbps])
1992년 WARC(World Adminstrative Radio Conference)에서는 필요한 주파수 소요대역을 230[MHz]로 정하고 대역을 1.885∼2.025 및 2.110∼2.2[GHz]로 설정하였다.
3) 향후 서비스 요구 사항
①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 진화된 비화 제공
② 고정 ISDN망의 장비의 대체사용 가능토록 단말 인터페이스
③ 무선 중계기 및 PABX사용 가능
나. UPT(Universal Personal Telecommunication)
개인 및 서비스 이동성을 가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지능망, ISDN에 도입되고 있는 서비스의 개념이다. UPT서비스 환경에서 가입자에게는 고유한 UPT번호가 부여된다. UPT번호는 가입자에게 호를 접속할 때 서비스 요구시 가입자의 신원을 확인할 때 사용된다.
1) 특징
① 고유한 개인번호(UPT Number)를 이용한 개인 이동성 제공
② 가입자가 서비스 프로파일 액세스하도록 하여 서비스 이동성 및 제어기능 제공
③ 단말을 대신한 UPT번호에 근거한 과금
④ 다양한 망(PSTN, ISDN, PLMN), 단말 형태(fixed, portable, mobile)와 무관한 서비스 용이성 / 액세스 제공
⑤ UPT가입자가 메뉴 방식으로 선정하는 형식의 서비스 제공
⑥ 가입자 인증과 확인에 의한 액세스 보안성 및 위치 보안 유지
2) 진화방향
UPT서비스 발전은 다음의 3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 Phase 1 : 제한적 UPT시나리오
□ Phase 2 : 기본적 UPT시나리오
□ Phase 3 : 개선된 UPT시나리오
Phase1은 제한적인 망구조, 서비스특징, 보안 및 사용자에 대한 친숙성을 갖는다. 현재의 망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구현할 수 있는 서비스 기능들의 집합으로 규정된다. 즉 Phase1은 ISDN, PSTN, PLMN정도로 제한되며 음성서비스에 한정된다. Phase2는 보다 포괄적인 서비스로의 접근성, 풍부한 서비스 기능 제공, 서로 다른 망 사이에서의 단말 독립성과 운용성을 위한 것으로 지능망이 이용되며 데이터 서비스도 포함된다. Phase3은 제 2세대 UPT서비스의 향상된 형태로서 UPT서비스의 궁극적인 목표이며 이 단계에서는 음성인식이나 음성 인증, 멀티미디어 단말 도입 등에 따라 보다 사람에게 친근하고 편리한 서비스형태로 발전될 것이다.
다. 결론
단말 이동성인 IMT-2000은 hand-off와 roaming으로 말미암아 이동이 자유로우나 반드시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어야 하며 사용자 이동성인 UPT는 고정성과 이동성의 자유로운 선택이 필요하다. 그러나, 단말기는 반드시 망내에 고정되어 있어야 하므로 완전히 이동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IMT-2000과 UPT가 서로 합칠 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