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성 역할의 개념
2. 성차별의 역사
3. 성 차이에 대한 분석
4. 성 역할을 규정하는 것은 여자뿐만 아니라 남자에게도 불이익을 가져온다.
5. 남녀의 성 차이어와 성 차별어
2. 성차별의 역사
3. 성 차이에 대한 분석
4. 성 역할을 규정하는 것은 여자뿐만 아니라 남자에게도 불이익을 가져온다.
5. 남녀의 성 차이어와 성 차별어
본문내용
본다면 그것은 성 차별어라 할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성 차이어와 성 차별어를 구별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여기서 우리의 언어 생활을 관찰하여 보면 어떤 언어 표현이 어떤 특정 한 성에 대해서만 쓰이거나 아니면 일부 성에 더 잘 쓰이거나 남녀 양성 에 고루 쓰이거나 하는 경우로 나뉨을 알 수 있다. 가령 ‘늘씬하다’는 여성에게만 쓰이지만, ‘날씬하다’는 남자에게도 쓰이되 여성에게 주로 쓰인다. 다음에 이를 분류해 본다.
① 여성전용어 : 여성에 대해서만 쓰이는 표현. 어머니, 미녀(美女), 여 체(女體), 정숙하다, 늘씬하다, 아리땁다, 시집가다 등.
② 여성중심어 : 남성에게도 쓰이지만 주로 여성에게 더 쓰이는 표현. 화장(품), 곱다, 얌전하다, 알뜰하다, 차분하다, 날씬하다 등.
③ 남녀통용어 : 남녀에게 고루 쓰이는 표현. 부모, 팔방미인(八方美人), 분장(扮裝), 침착하다, 부지런하다, 결혼하다 등.
④ 남성중심어 : 여성에게도 쓰이지만 주로 남성에게 쓰이는 표현. 나 그네, 늠름하다, 씩씩하다, 점잖다 등.
⑤ 남성전용어 : 남성에 대해서만 쓰이는 표현. 아버지, 미남(美男), 신 사답다, 장가가다 등.
그런데 위에서 ①, ②의 여성어들을 보면 단순히 여성을 가리키는 표현 도 있지만, 남성들이 여성을 성적(性的) 또는 부정적 성품의 관점에서 묘사한 표현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이 사실이다. 다음에 그런 예를 더 들어 본다.
① 긍정 품행어 : 정절, 청순(하다), 양순(하다), 참하다, 야무지다, 섬세하다, 정숙(하다), 얌전하다, 상냥하다, 다소곳하다, 조신하다, 발랄하다 등.
② 부정 품행어 또는 성적 묘사어 : 강샘, 투기(妬忌), 내숭, 앙큼, 교태 (嬌態), 아양, 추파(秋波), 포달, 앙탈, 호박, 무쪽, 말괄량이, 히스테리, 토라지다, 시새우다, 쫑알대다, 소박맞다, 새침떨다, 방정맞다, 화냥질, 몸팔 다, 수다스럽다, 표독스럽다, 여우같다, 홀짝대다, 요염하다, 늘씬하다, 잘 빠졌다, 펑퍼짐하다, 섹시하다 등.
위에서 긍정 품행어들도 사실은 남성들이 여성에게 강요한 품행 표현으로 본다면 성차별어이지만 여성 스스로 선택한 품행 표현이라면 성차이어 가 될 것이다. 아무튼 남성에 의해 만들어진 부정적 품행어나 성적 묘사 어가 긍정적 품행어보다 많다는 것은 남성들의 편견을 드러낸다. 따라서 이런 부정적 품행어를 여성에게 사용함은 여성차별어로 해석되므로 삼가 야 한다.
① 여성전용어 : 여성에 대해서만 쓰이는 표현. 어머니, 미녀(美女), 여 체(女體), 정숙하다, 늘씬하다, 아리땁다, 시집가다 등.
② 여성중심어 : 남성에게도 쓰이지만 주로 여성에게 더 쓰이는 표현. 화장(품), 곱다, 얌전하다, 알뜰하다, 차분하다, 날씬하다 등.
③ 남녀통용어 : 남녀에게 고루 쓰이는 표현. 부모, 팔방미인(八方美人), 분장(扮裝), 침착하다, 부지런하다, 결혼하다 등.
④ 남성중심어 : 여성에게도 쓰이지만 주로 남성에게 쓰이는 표현. 나 그네, 늠름하다, 씩씩하다, 점잖다 등.
⑤ 남성전용어 : 남성에 대해서만 쓰이는 표현. 아버지, 미남(美男), 신 사답다, 장가가다 등.
그런데 위에서 ①, ②의 여성어들을 보면 단순히 여성을 가리키는 표현 도 있지만, 남성들이 여성을 성적(性的) 또는 부정적 성품의 관점에서 묘사한 표현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이 사실이다. 다음에 그런 예를 더 들어 본다.
① 긍정 품행어 : 정절, 청순(하다), 양순(하다), 참하다, 야무지다, 섬세하다, 정숙(하다), 얌전하다, 상냥하다, 다소곳하다, 조신하다, 발랄하다 등.
② 부정 품행어 또는 성적 묘사어 : 강샘, 투기(妬忌), 내숭, 앙큼, 교태 (嬌態), 아양, 추파(秋波), 포달, 앙탈, 호박, 무쪽, 말괄량이, 히스테리, 토라지다, 시새우다, 쫑알대다, 소박맞다, 새침떨다, 방정맞다, 화냥질, 몸팔 다, 수다스럽다, 표독스럽다, 여우같다, 홀짝대다, 요염하다, 늘씬하다, 잘 빠졌다, 펑퍼짐하다, 섹시하다 등.
위에서 긍정 품행어들도 사실은 남성들이 여성에게 강요한 품행 표현으로 본다면 성차별어이지만 여성 스스로 선택한 품행 표현이라면 성차이어 가 될 것이다. 아무튼 남성에 의해 만들어진 부정적 품행어나 성적 묘사 어가 긍정적 품행어보다 많다는 것은 남성들의 편견을 드러낸다. 따라서 이런 부정적 품행어를 여성에게 사용함은 여성차별어로 해석되므로 삼가 야 한다.
추천자료
성차별 여성과 남성
미즈의 남성과 여성
문학과 문화속의 남성성 여성성 언어란 무엇인가
대기업 직장인 남성의 여성인력에 대한 인식 분석
델마와루이스에 나타난 여성상과 남성상에 관한 내용
페미니즘 -남녀평등인가 남성배타적 여성우월주의인가
대중매체속의 여성과 남성
성의 생물학 남성호르몬과 여성호르몬
대중매체속의 여성과 남성
광고에 나타난 여성과 남성에 대한 고정관념
현대인의 남성과 여성의 성역할에 관해서
진화 이론에서는 남성과 여성이 파트너 선택에 서로 어떤 기준을 사용하며, 왜 그러하다고 설...
첫 만남에 여성이 남성에게 가지고 있는 심리
광고 속에서 여성과 남성의 달라진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