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 학교시
2. 현시
3. 부시
4. 원시
5. 과거시
6. 향시
7. 회시
8. 전시
9. 무과거
10. 제과
3>결론
2>본론
1. 학교시
2. 현시
3. 부시
4. 원시
5. 과거시
6. 향시
7. 회시
8. 전시
9. 무과거
10. 제과
3>결론
본문내용
밖의 국가 요직 및 전문인 등용시험에는 이와 유사한 이름으로써 1500년경의 실시한 과거를 이름만 바꾸어 실시하고 있다. 과거란 중국인이 고안해낸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지배방법 중의 하나였다. 과거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그것이 교육을 수반하지 않는 관리 등용시험이라는 점에 있다. 관리를 채용하는데 시험을 실시한다는 것은 그 당시 유럽에서는 생각하지도 못한 일이었던 것이다. 나는 지금까지 막연히 중국의 과거제도에 관해서는 각 시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고, 그저 관리에 임용되는데 있어서 행해지는 시험이라고만 알고 있었을 뿐 그것에 대해 깊숙히 생각해 본 저깅 없었다. 당시 천자 혼자서 통치하는 것이 불가능했던 시대였다. 백성들 가운데 뛰어난 자를 등용하는데 있어 시작된 시험제도인 과거제는 모든 백성들에게 기회의 균등원칙이 주어진 반면 그에 따른 폐단도 컸다고 생각한다. 책이 귀한 시대에 과거를 보기 위해서는 일단 경제적인 면이 해결되어야했기 때문에 빈민들은 과거응시를 생각할 수도 없었을 뿐더러 적지 않은 사람들이 인생을 과거에 대한 열의로 보냈고 과거 낙제자로써 실패의 고배를 마시고 실의에 빠져 생활한 것은 과거제의 하나의 단점이라고 해도 좋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