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 시 연구 -향수, 유리창, 말1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지용 시 연구 -향수, 유리창, 말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향수
1. 작가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
2.일제 강점기 조국상실의 아픔
3.민족적인 고향

Ⅱ.유리창1
1.자식을 잃은 어버이의 슬픔
2. 상념에 젖어있는 시적 화자..
3. 감정의 절제와 노출의 대립

Ⅲ. 말1
1. 미지의 세계의 동경
2. 가축이 겪는 이산의 아픔 - 우리의 모습을 반성하게 하는 매개체 󰡐말󰡑
3. 말을 통한 유년의 기억 - 소박한 동시적 감각의 시

<참고문헌>

본문내용

낳은 줄도 모르고
밤이면 먼 데 달을 보며 잔다.
1. 미지의 세계의 동경
「말」에서는 시적 화자의 말에 대한 말 건냄의 형식으로 된 시이며, 화자는 말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투사하고 있다. 누가 낳은 줄도 모르는 혈육관계의 부재에서 오는 고독감은 주변에서 의지할 대상을 찾지 못하고 먼데 달을 보며 잘 수밖에 없다. 더할 수 없는 외로움의 상태의 묘사다. 결국 이러한 외로움은 자아로 하여금 미지의 세계를 동경하게 만든다.
* 장도준(1994), 「정지용 시 연구」, 태학사
2. 가축이 겪는 이산의 아픔 - 우리의 모습을 반성하게 하는 매개체 말
가축은 인간이 기르는 동물이다. 기른다는 것은 생활의 일부이다. 그 생활 속에서 우리의 모습을 돌이켜보고 반성한다. 그 매개체를 말로 등장시키고 있다. 동물에게도 따뜻한 그리움이 육화되어 있음을 인식시키고 화자의 무한한 애정을 함축한다. 말에게도, 사람에게 하듯이 검정콩, 푸렁콩을 주마,너는 왜 그리 슬퍼뵈니?하고 말하는 것은 동물에 대한 따뜻한 애정을 느끼게 한다. 화자가 말에서 슬픔을 느끼는 이유는 2연에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말은 누가 난 줄도 모르고 / 밤이면 먼 데 달을 보며 자기 때문이다. 이것을 통해 말이 밤마다 달을 쳐다보며 헤어진 부모를 그리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연에서는 말이 밤마다 자신의 부모를 그리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사람이 이산의 아픔을 느끼는 것과 같다. 사람들은 온갖 정성과 사랑을 기울여 가축을 길러 내지만, 가축의 입장에서 볼 때는 가족과의 이산의 아픔을 겪게 하는 것임을 알게 해 주는 이 작품은 가축을 기르는 우리의 일상적 삶을 반성하게 하는 한편, 나아가 동물에게도 육친에 대해 갖는 그리움이 인간과 동일하다는 것을 깊이 인식시키고 있다.
3. 말을 통한 유년의 기억 - 소박한 동시적 감각의 시
첫 행에서 화자는 말을 다락과 같다고 한다. 이것은 어두컴컴하고 높은 곳에 위치해 있는 다락과 말이 사는 마구간이 비슷하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발상으로, 이것을 통해서 화자가 어린 아이임을 짐작할 수 있다. 어두컴컴할 뿐만 아니라 곰팡이 냄새까지 배어 있어, 흡사 마구간을 연상하게 하는 다락은 우리의 전통 가옥 구조에서 볼 수 있는 특징으로 부엌과 천장 사이의 공간에 이층처럼 만들어 물건을 넣어 두게 된 곳을 말한다. 유년의 화자는 부모님의 눈을 피해 그 곳에 몰래 기어 들어가 자기만의 세계를 건설하고, 그 속에서 군것질도 하고, 책도 읽고, 동무들과 장난도 하며 무지개 꿈을 키웠을 것이다. 말을 다만 동물로만 여기지 않고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가축으로 생각하는 화자는 말아, 사람 편인 말아라고 다정히 부르며 검정콩 푸렁콩을 주겠다고 말한다. 콩은 말이 가장 좋아하는 먹이로, 화자가 콩을 주겠다고 하는 것은, 곧 말에 대한 무한한 애정을 함축한다. 그러나 키가 크고 날렵하게 생긴 말에게서 화자는 점잖음을 느끼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말에게서 진한 슬픔을 느낀다.
*양승준, 양승국 공저 「한국현대시 400선-이해와 감상」
<참고문헌>
장도준(1994), 「정지용 시 연구」, 태학사
이남호(2001), 「교과서에 실린 문학작품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현대문학
이숭원(1996), 「한국현대시인연구 - 정지용」, 문학세계사
元明洙(1987), 「모더니즘詩 硏究」, 啓明大學校出版
李震興, 「鄭芝溶의 作品 《琉璃窓》을 통한 詩의 存在論的 解明」, 慶北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978
元明洙(1987), 「모더니즘詩 硏究」, 啓明大學校出版部
양승준, 양승국 공저 「한국현대시 400선-이해와 감상」
(http://www. chungdong.or.kr/middroom/pbk)

키워드

정지용,   향수,   유리창,   말1,   현대시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7.30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18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