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전자상거래의 현황과 정책방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목적
제 2 절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2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전자상거래의 개념과 유형
제 2 절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개요
제 3 절 국내외 인터넷 특성 및 현황
제 4 절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특성
제 5 절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국내외 현황
3 장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국제기구 동향
제 1 절 국제기구의 정책추진 동향
제 2 절 한국과 미국의 정책동향
제 4 장 국내 인터넷 전자상거래 현황
1 절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국내 현황
제 2 절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시장전망
제 3 절 국내 인터넷 전자상거래에 대한 정책 방향
5 장 결 론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참 고 문 헌
국내자료
해외자료
웹사이트

본문내용

인력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전체의 35%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시장개방에 따른 대응방안 마련, 핵심 기반기술의 개발, 신제품 개발의 순으로 당면문제가 지적되었다.
일곱째, 국내 인터넷 전자상거래 업체의 정부 지원의 평가에 대한 조사결과, 전체 응답자의 70% 정도가 현 정부의 지원에 대해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문별 필요한 정부 지원에 대해서는 국가차원의 기술개발 전략 수립, 세제 및 금융지원, 그리고 전문인력 양성, 중소기업 지원 순으로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현재 국제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인터넷 교역의 무관세화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92%가 국내 인터넷 전자상거래 업체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으며, 국내 인터넷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인터넷 전자상거래 무관세화에 대해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응답자(전체의 45%)가 정보화 강대국에 의한 기존시장 잠식의 문제를 가장 많이 지적했다. 다음으로는 관세 부과시에 비하여 가격경쟁력이 상실된다는 문제가 많이 지적되었다.
이에 대비한 정부차원의 대책방안에 대해 인터넷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바라는 것은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한 세금 감면의 혜택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수요확보를 위한 국가차원의 홍보, 기술개발 지원, 관련 법안의 확보 순으로 나타났다.
참 고 문 헌
국내자료
기술과 법연구소, "인터넷과 법", 인터넷과 법연구소, 1996
김혜양, "인터넷 활용이 이용자의 정보이용형태에 미치는 영향 : 대학병원의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2.
노재범, "인터넷라운드와 기업의 대응", CEO Information 102호, 삼성경제연구소, 1997.8
박화만, "인터넷을 이용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 한국기 업의 Web-site 이용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2.
서영호, "전자상거래와 인터넷 활용전략", 삼성경제, 1996. 12.
신동민, "전자상거래(CALS/EC)의 추진형황 및 향후전망", 신한리뷰, 1997. 3.
이기영, "인터넷을 이용한 마케팅에 관한 연구 : 인터넷상의 구매행동 인자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8.
이재규 外, "인터넷과 EC 비지니스", 정보화사회, 1996. 12.
정완용, "전자상거래의 입법방향과 법적문제", 경희대학교, 1997.
최종욱,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금융, 1997. 6.
통상산업부, 인터넷 전자상거래 국내외 동향, 1997.9
, 인터넷 전자상거래 종합대책(안), 1997.9
통신개발연구원, "미국의 전자상거래 현황과 과제", 통신정책동향, 1996. 4.
한국전산원, "국가기간전산망 표준화 연구중 전자 상거래 환경을 위한 기술 조사 연구", 한국전산원, 1996.
한국통신 통신경제연구소,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국회가 상정보가치연구회, 1997.
한영주, "효율적인 인터넷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사례분석적 접근",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8.
홍경권 外,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NTT 추진사례를 중심으로", 경영과 기술,1996. 12.
해외자료
原田保 寺本義也, "インタ-ネット時代の 電子取引革命", 東洋經濟新報社, 1996.
Bob Gaffincy, EDI moves to Electronic Commerce, EDI Forum vol 8. no1. OECD, "OVERVIEW OF OECD WORK BEARING ON ELE CTRONIC COMMERCE", R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s, 1997. 9. 18-19.
______, "INFORMATION INFRASTRUCTURES FOR ELECTRONIC COMMERCE", 1997. 9. 18-19.
______, "Demand for Internet-based Services: Education, Business Services and Entertainment", OECD, paris, 1997. 9. 18-19.
웹사이트
http://www.etnews,co.kr/1997. 8. 28.
http://www.etnews,co.kr/1997. 9. 5.
http://www.etnews,co.kr/1997. 7. 18.
http://www.etnews,co.kr/1997. 9. 12.
http://www.etnews,co.kr/1997. 8. 11.
http://www.etnews,co.kr/1997. 8. 18.
http://www.etnews.co.kr/1997. 8. 29.
http://www.etnews,co.kr/1997. 8. 20.
http://www.etnews,co.kr/1997. 9. 24.
http://www.etnews,co.kr/1997. 8. 11.
http://www.etnews,co.kr/1997. 9. 20.
http://www.etnews,co.kr/1997. 9. 24
http://www.krnic.net/stat/inet_use.html, 1996. 12.
http://www.krnic.net/stat/1995.
http://www.shopmadang.com/main/search.cfm
http://www.shopmadang.com/main/DO. HTML
http://www.ccci.or.jp/cbcb/cb stat.html
http://www.krnic.net
http://www.un.or.at/uncitral
http://www.Jungang.com
http://w3.naeun.co.kr
http://www.compint.com
http://internetpia.com
http://www.miti.go.jp
http://e-land.com
http://www.iitf.nist.gov/electronic commerce.htm
http://www.korealink.co.ku/computer/32-2/cci3.htm
  • 가격3,300
  • 페이지수41페이지
  • 등록일2002.06.15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1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