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8종문학분석) 별에 대한 내용, 줄거리, 해설 및 감상입니당...
본문내용
고 여기며 눈물을 떨어뜨린다.
<인문 평론(人文評論)>
▶ 작품 해제
갈래 : 단편 소설. 성장 소설
배경 : 대동강변 어느 성 밖 마을. 어느 소년이 삶과 죽음에 대하여 눈뜨는 시절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성격 : 동화적. 신비적
경향 : 순수 문학
인물 : 개성적. 평면적
특징 : 소년의 내적 체험을 생략과 암시, 그리고 심리주의적 수법으로 묘하였다.
제재 :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
주제 : 자아 성숙의 과정. 죽은 어머니를 절대화하는 '소년'이 누이의 죽음을 통하여 생사(生死)와 애증(愛憎) 등 인간의 운명적 관계를 지각(知覺)하게 되는 성장 과정
▶ 작품 해설
이 작품에는 죽은 어머니의 이미지를 절대화하고, 그 이미지를 찾아 방황하는 소년의 내면적 심리가 밀도 있게 그려져 있다. 작가 특유의 치밀한 구성과 시적으로 세련된 간결한 문장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따라서, 소년이 보여 주는 심리의 변화와 그 변화를 서술하는 작가의 태도에 유의하여 읽을 필요가 있다. 특히 누이에 대한 혐오와 애정이 교차되는 장면에서 성장기에 갖는 소년의 아픔과 그 극복이라는 성장 소설의 주제와 만날 수 있다.
우리는 이 작품에서 주인공 소년의 심리와 그 변화 상태를 세심하게 살펴보면서 동시에 인물의 행동과 대화를 서술하는 작가의 시선도 유의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소설의 화자는 상당히 객관적인 자리에서 소년의 행동을 서술하다가도 소년의 내면 심리를 이해하고 있는 듯이 소년의 심리 상태를 드러내는 서술을 하기도 한다. 그러한 화자의 서술 태도를 음미해 가면서 이 작품을 읽으면 더욱 충실한 이해에 도달할 것이다.
▶ 작품 이해
■ 성장 소설
성장 소설이란 말 그대로 '주인공의 육체적, 정신적 성장 과정을 구체적인 사건을 통해 형상화한 작품을 말한다.
이러한 소설의 발단은 무엇인가 결핍된 상태에서 출발한다. 이 때 그 결핍된 요소는 주로 개인의 지적 성숙도이거나 사회적 지위이며, 이것으로 인해 갈등이 야기된다. 그러나 주인공은 이러한 결핍으로 인한 좌절에 굴복하지 않고 이를 통해서 새로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통과 제의(通過祭儀)'적인 성격의 이야기로, 이러한 시련을 통해서 새로운 경지에 입문(Initiation)하게 되므로, 성장 소설을 '이니시에이션 소설'이라고도 한다.
이 작품은 이와 같이 성장 소설의 구조를 잘 보여 주는 작품이다. 어느 날 우연히 과수 노파에게 들은, 어머니가 못 생긴 누이와 닮았다는 충격적인 경험과 그로 인한 정신적인 손상이 발단이 되어 누이와 갈등을 일으키다가(누이가 준 인형을 땅에 묻는 행위 등), 결국은 누이의 죽음을 통해서 정신적인 성숙, 즉 아름다움과 추함, 참사랑의 의미를 깨닫게 되기 때문이다.
이 작품 외에도 "닭 제(祭)", "소나기", "늪" 등이 여기에 해당하는 작품이다.
■ 구성상의 특징
이 작품의 진행 방법은 표면적인 사건보다는 소년의 내면적 심리의 추이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다. 소년의 마음의 기복에 따라 나타나는 행위가 그것을 뒷받침한다. 어머니의 아름다운 모습이 현세에는 없다고 생각하는 소년에게 어머니와 누이가 닮았다는 말을 듣고 누이를 미워하기 시작하고(심리), 누이가 만들어 준 인형을 묻는다(행위). 이어서 누이를 죽이고 싶은 충동을 느끼고(심리), (소년이 죽인 것은 아니지만) 누이가 죽게 되고 인형을 찾으러 간다(행위). 이렇게 보면 심리적인 것이 행위(사건)를 가져오는 인과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 구성
발단 : 죽은 어머니에 대해서 지나치게 집착하고 있던 아이에게, 추하게 생긴 누이가 어머니를 닮았다는 동네 노파의 말에 아이는 누이를 혐오하게 되고, 누이가 만들어 준 인형을 묻어 버린다.
전개 : 죽은 어머니에 대한 집착 때문에 사사건건 누이를 배척하는 것은 물론, 이웃집 소녀에게 가졌던 호감도 어머니의 환상으로 깨지고 만다.
위기 : 누이가 연애를 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 아버지는 노여워하고, 죽은 어머니를 들추어 내는 일을 참을 수 없다고 생각한 소년은 누이를 죽이려고 강가로 유인하지만, 누이의 어머니다운 애정을 인정하기가 싫어서 그만둔다.
절정 : 누이가 결혼을 했지만 얼마 되지 않아, 누이의 부음(訃音)을 듣고서 그제서야 누이의 사랑을 깨닫고 묻어 버린 인형을 파냄으로써 누이에 대한 애정의 회복을 암시한다.
결말 : 죽은 어머니처럼 누이도 별이 되었으리라고 생각하지만, 어머니처럼 아름다운 별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고 눈 속의 별을 몰아 낸다.
■ 등장 인물의 성격
소년 : 과수 노파에게 환상과 그리움의 대상인 어머니가 못생긴 누이와 닮았다는 충격적인 말을 듣고 누이를 적대적으로 대하다 그 누이를 통해서 어머니의 실체를 인식해 간다. 육체적, 정신적 미성숙에서 성숙으로 나아가는 역할을 한다.
누이 : 어머니처럼 소년을 보살펴 준다. 그러나 아름답지 못한 용모 때문에 모성 고착(mother-fixation)에 빠진 소년의 갈등을 일으키게 되는 원인을 제공함과 동시에 소년으로 하여금 정신적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 "별"에서의 갈등
갈등은 작중 인물이 겪게 되는 내외적(內外的)인 대립 관계로서 정서나 욕망, 이념 등이 분열되고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소설에는 개인 내부의 갈등, 개인 간의 갈등, 개인과 사회의 갈등, 집단 간의 갈등, 자연 환경과의 갈등 등 다양한 갈등의 양상이 나타난다. 갈등은 작중 인물의 대화나 행동을 통해서 직접적 혹은 암시적으로 표출된다.
이 작품에 나타나는 갈등은 개인 내부의 갈등이다. 죽은 어머니의 얼굴이 아름다울 거라고 생각하는 소년은 못생긴 누이가 어머니와 닮았다는 것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 이 작품의 갈등은 이러한 환상과 현실 사이의 격차를 거치면서 비롯되며, 소년은 이 과정을 거치면서 아름다움과 추함, 죽음, 진정한 사랑의 의미 등에 눈떠 가게 된다. 그러나 물론 이러한 갈등이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는다. 결말 부분에 나타나듯이 소년은 어머니와 누이를 동등한 위치에 두는 것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소년의 깨달음의 인식 수준은 비교적 성숙했으나, 아직은 완전한 정신적 성숙에는 이르지 못했음을 보여 주는 것이기도 하다.
<인문 평론(人文評論)>
▶ 작품 해제
갈래 : 단편 소설. 성장 소설
배경 : 대동강변 어느 성 밖 마을. 어느 소년이 삶과 죽음에 대하여 눈뜨는 시절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성격 : 동화적. 신비적
경향 : 순수 문학
인물 : 개성적. 평면적
특징 : 소년의 내적 체험을 생략과 암시, 그리고 심리주의적 수법으로 묘하였다.
제재 :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
주제 : 자아 성숙의 과정. 죽은 어머니를 절대화하는 '소년'이 누이의 죽음을 통하여 생사(生死)와 애증(愛憎) 등 인간의 운명적 관계를 지각(知覺)하게 되는 성장 과정
▶ 작품 해설
이 작품에는 죽은 어머니의 이미지를 절대화하고, 그 이미지를 찾아 방황하는 소년의 내면적 심리가 밀도 있게 그려져 있다. 작가 특유의 치밀한 구성과 시적으로 세련된 간결한 문장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따라서, 소년이 보여 주는 심리의 변화와 그 변화를 서술하는 작가의 태도에 유의하여 읽을 필요가 있다. 특히 누이에 대한 혐오와 애정이 교차되는 장면에서 성장기에 갖는 소년의 아픔과 그 극복이라는 성장 소설의 주제와 만날 수 있다.
우리는 이 작품에서 주인공 소년의 심리와 그 변화 상태를 세심하게 살펴보면서 동시에 인물의 행동과 대화를 서술하는 작가의 시선도 유의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소설의 화자는 상당히 객관적인 자리에서 소년의 행동을 서술하다가도 소년의 내면 심리를 이해하고 있는 듯이 소년의 심리 상태를 드러내는 서술을 하기도 한다. 그러한 화자의 서술 태도를 음미해 가면서 이 작품을 읽으면 더욱 충실한 이해에 도달할 것이다.
▶ 작품 이해
■ 성장 소설
성장 소설이란 말 그대로 '주인공의 육체적, 정신적 성장 과정을 구체적인 사건을 통해 형상화한 작품을 말한다.
이러한 소설의 발단은 무엇인가 결핍된 상태에서 출발한다. 이 때 그 결핍된 요소는 주로 개인의 지적 성숙도이거나 사회적 지위이며, 이것으로 인해 갈등이 야기된다. 그러나 주인공은 이러한 결핍으로 인한 좌절에 굴복하지 않고 이를 통해서 새로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통과 제의(通過祭儀)'적인 성격의 이야기로, 이러한 시련을 통해서 새로운 경지에 입문(Initiation)하게 되므로, 성장 소설을 '이니시에이션 소설'이라고도 한다.
이 작품은 이와 같이 성장 소설의 구조를 잘 보여 주는 작품이다. 어느 날 우연히 과수 노파에게 들은, 어머니가 못 생긴 누이와 닮았다는 충격적인 경험과 그로 인한 정신적인 손상이 발단이 되어 누이와 갈등을 일으키다가(누이가 준 인형을 땅에 묻는 행위 등), 결국은 누이의 죽음을 통해서 정신적인 성숙, 즉 아름다움과 추함, 참사랑의 의미를 깨닫게 되기 때문이다.
이 작품 외에도 "닭 제(祭)", "소나기", "늪" 등이 여기에 해당하는 작품이다.
■ 구성상의 특징
이 작품의 진행 방법은 표면적인 사건보다는 소년의 내면적 심리의 추이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다. 소년의 마음의 기복에 따라 나타나는 행위가 그것을 뒷받침한다. 어머니의 아름다운 모습이 현세에는 없다고 생각하는 소년에게 어머니와 누이가 닮았다는 말을 듣고 누이를 미워하기 시작하고(심리), 누이가 만들어 준 인형을 묻는다(행위). 이어서 누이를 죽이고 싶은 충동을 느끼고(심리), (소년이 죽인 것은 아니지만) 누이가 죽게 되고 인형을 찾으러 간다(행위). 이렇게 보면 심리적인 것이 행위(사건)를 가져오는 인과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 구성
발단 : 죽은 어머니에 대해서 지나치게 집착하고 있던 아이에게, 추하게 생긴 누이가 어머니를 닮았다는 동네 노파의 말에 아이는 누이를 혐오하게 되고, 누이가 만들어 준 인형을 묻어 버린다.
전개 : 죽은 어머니에 대한 집착 때문에 사사건건 누이를 배척하는 것은 물론, 이웃집 소녀에게 가졌던 호감도 어머니의 환상으로 깨지고 만다.
위기 : 누이가 연애를 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 아버지는 노여워하고, 죽은 어머니를 들추어 내는 일을 참을 수 없다고 생각한 소년은 누이를 죽이려고 강가로 유인하지만, 누이의 어머니다운 애정을 인정하기가 싫어서 그만둔다.
절정 : 누이가 결혼을 했지만 얼마 되지 않아, 누이의 부음(訃音)을 듣고서 그제서야 누이의 사랑을 깨닫고 묻어 버린 인형을 파냄으로써 누이에 대한 애정의 회복을 암시한다.
결말 : 죽은 어머니처럼 누이도 별이 되었으리라고 생각하지만, 어머니처럼 아름다운 별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고 눈 속의 별을 몰아 낸다.
■ 등장 인물의 성격
소년 : 과수 노파에게 환상과 그리움의 대상인 어머니가 못생긴 누이와 닮았다는 충격적인 말을 듣고 누이를 적대적으로 대하다 그 누이를 통해서 어머니의 실체를 인식해 간다. 육체적, 정신적 미성숙에서 성숙으로 나아가는 역할을 한다.
누이 : 어머니처럼 소년을 보살펴 준다. 그러나 아름답지 못한 용모 때문에 모성 고착(mother-fixation)에 빠진 소년의 갈등을 일으키게 되는 원인을 제공함과 동시에 소년으로 하여금 정신적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 "별"에서의 갈등
갈등은 작중 인물이 겪게 되는 내외적(內外的)인 대립 관계로서 정서나 욕망, 이념 등이 분열되고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소설에는 개인 내부의 갈등, 개인 간의 갈등, 개인과 사회의 갈등, 집단 간의 갈등, 자연 환경과의 갈등 등 다양한 갈등의 양상이 나타난다. 갈등은 작중 인물의 대화나 행동을 통해서 직접적 혹은 암시적으로 표출된다.
이 작품에 나타나는 갈등은 개인 내부의 갈등이다. 죽은 어머니의 얼굴이 아름다울 거라고 생각하는 소년은 못생긴 누이가 어머니와 닮았다는 것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 이 작품의 갈등은 이러한 환상과 현실 사이의 격차를 거치면서 비롯되며, 소년은 이 과정을 거치면서 아름다움과 추함, 죽음, 진정한 사랑의 의미 등에 눈떠 가게 된다. 그러나 물론 이러한 갈등이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는다. 결말 부분에 나타나듯이 소년은 어머니와 누이를 동등한 위치에 두는 것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소년의 깨달음의 인식 수준은 비교적 성숙했으나, 아직은 완전한 정신적 성숙에는 이르지 못했음을 보여 주는 것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