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종문학분석) 어둠의 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고 든다. : 아버지의 죽음을 통해서 아버지의 존재 의미를 확인하는 부분이다. '가슴이 아프다'는 표현으로 보아 '나'와 아버지 사이의 거리감이 해소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린 나에게 너무나 큰 수수께끼를 남기고 죽어 버린 아버지의 일생을 더듬을 때 나는 알 수 없는 두려움 때문에 사시나무처럼 떤다. : 소년의 떠는 행동을 통하여 삶에 대한 외경(畏敬)과 그것과 대립되는 죽음의 참혹함을 묘사하고 있다.
▶ 작품 해제
갈래 : 단편 소설. 순수 소설
배경 : 광복 직후 이데올로기의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된 시대
성격 : 회상적
문체 : 현재형의, 호흡이 급한 문체
제재 : 분단 이후 사상 대립으로 인한, 아버지의 죽음
주제 : 삶의 외경을 통한 고통스러운 현실 극복 의지
▶ 작품 해설
"어둠의 혼"은 1973년 <월간 문학(月刊文學)>에 발표된 단편으로서, 분단 문제에 대한 관심을 구체적으로 드러낸 작품이다. 이 작품은 좌익 운동을 하는 아버지를 둔 소년을 화자로 설정하여, 광복 직후 이데올로기의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던 상황을 치밀하게 드러내고 있다. 작가는 이념적 혼란의 와중에 처한 아버지의 삶을 바라보는 소년의 눈을 통해, 이데올로기에 집착하던 당대 지식인들의 행동에 비판을 가하고 있다.
어린 소년의 시선으로 이데올로기의 갈등을 서술한 것은, 곧 이념의 문제를 가족적인 상황 안에만 국한시켜 다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소설적 장치를 통하여, 작가는 이데올로기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직접 거론하지 않을 수 있게 되며, 이데올로기 자체에 대한 가치 판단을 유보할 수 있게 된다. 작가는 이 소설의 이야기를 저녁 한나절의 시간으로 압축하여 현재형의 문장으로 서술함으로써, 이데올로기의 갈등과 그 비극성의 핵심에 놓여 있는 아버지의 죽음과, 이를 지켜보는 어린 소년의 내면을 더욱 생생하게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작품은 궁극적으로, 가족 관계의 단절과 가난을 초래한 것이 개인의 책임이냐 시대 상황의 책임이냐 하는 물음을 던진다. 작가는 이 물음에 대한 확실한 대답을 서술하지 않고, 소년으로 하여금 그것을 모색하게 한다. 아버지의 과거를 회상하며 새삼 두려움에 떠는 소년의 모습은, 삶의 외경을 통하여 고통스러운 현실을 극복해 나가야 한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다.
▶ 작품 이해
■ "어둠의 혼"의 작품에 나타난 시각
분단의 비극이 한 순진한 소년 화자의 눈을 통해 묘사되어 있다. 아무것도 모르는 소년의 시선이기에 사건의 전모가 제한되어 서술될 수도 있으나 역설적으로 전쟁, 좌·우익의 대립이 어린 소년에게 얼마나 큰 비극을 몰고 왔는가를 보여 줌으로써 이데올로기 대립의 참상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전쟁의 비극을 객관적으로 묘사하고 이데올로기 문제에 대해 정공법적으로 이를 취급하기 위해서는 '어른의 시각'에서 다루어야 한다. 그러나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작자 자신이 이데올로기에 대한 사회 과학적인 지식이 있어야 하며, 사상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가 확보되어야 한다. 이것이 불가능할 때, '소년의 시점'이 채택된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6.19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4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