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림별곡> 작품 해설
2. 작품 정리
3. 시대적 배경
2. 작품 정리
3. 시대적 배경
본문내용
에서,
아! 지저귀는 꾀꼬리가 반갑기도 하구려.
▶주제 : 선경의 미녀와 꾀꼬리의 자태
제8장
唐唐唐 唐楸子 莢남긔
당당당 당츄 조협
紅실로 紅글위 요이다
홍 홍
혀고시라 밀오시라 鄭少年하
뎡쇼년
위 내가논 갈셰라
(葉)削玉纖纖 雙手ㅅ 길헤 削玉纖纖 雙手ㅅ 길헤
샥옥셤셤 솽슈 샥옥셤셤 솽슈
위 携手同遊ㅅ 景 긔 엇더니잇고
휴슈동유 경
<현대어 풀이>
호두나무, 쥐엄나무에다
붉은 실로 붉은 그네를 매었습니다
그네를 당기시라· 밀어시라 왈자패인 정소년이여.
아! 내가 가는 곳에 남이 갈까 두렵구려.
마치 옥을 깎은 듯이 가녀린 아리따운 두 손길에,
아! 옥같은 손길 마주 잡고 노니는 광경, 그것이야말로 어떻습니까?
▶주제 : 그네뛰기의 즐거운 광경과 풍류 생활의 찬양
● <한림별곡> 작품 해설
<한림별곡>은 고려 고종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들이 합작한 경기체가의 시초 작품으로 당시 무관들이 정권을 잡자, 벼슬 자리에서 물러난 문인들이 풍류적이며 향락적인 생활 감정을 현실도피적으로 읊은 노래이다.
기본 음률수가 3.3.4로서, 별곡체라는 독특한 음률과 구법(句法)을 가지는 경기체가의 효시가 되었다. 모두 8장으로 이루어졌으며, 시부(詩賦),서적(書籍),명필(名筆),명주(名酒),화훼(花卉),음악(音樂),누각(樓閣),추천(韆)의 순서로 각각 1장씩을 읊어 당시 한림의 생활상을 묘사하였다. 그러나 처음 3장까지만 문사들의 수양과 학문에 연관이 있고, 나머지 5장은 풍류라기보다 향락적인 내용으로 되었다. 또한 경기하여체가(景幾何如體歌), 곧 경기체가라는 호칭은 이 노래의 각 연의 끝이 ‘…경(景) 긔 엇더하니잇고’로 되어 있음에서 유래한다.
한림별곡은 당시의 귀족 계급의 생활상이 눈이 부시도록 호화찬란하게 그려져 있다. 곧 시장ㅅ 경, 간발ㅅ 경, 휴수동유 ㅅ 경 등 여덟 폭 병풍의 풍속도와도 같이 눈 앞에 전개된다. 매 장마다, '아아, ......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 하는 설의법 종지에 대하여는 '참으로 좋구나' 하는 대답이 절로 나오지 않을 수 없도록 넘치는 흥과 향락의 절정을 보여주고 있다. 제1장에서 제7장까지는 한자어의 나열로 당시의 명류를 열거하다가 제8장에 가서는 우리말을 중심으로 하는 표현으로 바뀌면서 그들의 정욕적이고 퇴폐한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표현면에서는 한문에 토를 단 듯한 느낌을 주지만 자구의 구사가 매우 다듬어지고 조화되어 있다. 전문이 한문으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금도 한문이라는 냄새를 느낄 수 없을 만큼 우리말의 결에 맞게 자연스러움을 느끼게 한다. 내용에서의 문학성은 빈약하다 하더라도, 이 조급한 듯하면서도 유유적적한 음악적 운율미는 높이 살 만하다.
● 작품 정리
* 출전 : 악장가사, 고려사 악지, 악학궤범
* 연대 : 고려 고종 2년(1216)
* 성격 : 과시적, 풍류적, 향락적
* 형식 : 경기체가, 별곡체, 8장의 분절체
* 작자 : 한림제유 (한림의 여러 유학자들이 공동으로 지은 작품)
* 주제 : 향락적인 풍류생활
* 내용: 시부(시인), 서적, 명필, 명주, 화훼(花卉), 음악, 누각, 추천
* 의의 : 경기체가의 최고의 현존 작품
● 시대적 배경
고려 고종 때는 어느 시기보다 내우외환의 고통이 심했다. 안으로는 무신의 집권과 밖으로는 몽고의 침입 등으로 국토가 유린되는 시대였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귀족 계급의 문화는 한문의 도입이 융성해지자, 난숙기에 달해 당시의 문신들은 집권 계급인 무신들의 문객으로서 그들의 호화로운 연락에 참여하여 현실에 영합하는 퇴폐적 향락에 취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자연 속에서 시와 술을 즐기며 현실도피적인 풍류를 일삼는 나약한 문사들이 되었다.
아! 지저귀는 꾀꼬리가 반갑기도 하구려.
▶주제 : 선경의 미녀와 꾀꼬리의 자태
제8장
唐唐唐 唐楸子 莢남긔
당당당 당츄 조협
紅실로 紅글위 요이다
홍 홍
혀고시라 밀오시라 鄭少年하
뎡쇼년
위 내가논 갈셰라
(葉)削玉纖纖 雙手ㅅ 길헤 削玉纖纖 雙手ㅅ 길헤
샥옥셤셤 솽슈 샥옥셤셤 솽슈
위 携手同遊ㅅ 景 긔 엇더니잇고
휴슈동유 경
<현대어 풀이>
호두나무, 쥐엄나무에다
붉은 실로 붉은 그네를 매었습니다
그네를 당기시라· 밀어시라 왈자패인 정소년이여.
아! 내가 가는 곳에 남이 갈까 두렵구려.
마치 옥을 깎은 듯이 가녀린 아리따운 두 손길에,
아! 옥같은 손길 마주 잡고 노니는 광경, 그것이야말로 어떻습니까?
▶주제 : 그네뛰기의 즐거운 광경과 풍류 생활의 찬양
● <한림별곡> 작품 해설
<한림별곡>은 고려 고종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들이 합작한 경기체가의 시초 작품으로 당시 무관들이 정권을 잡자, 벼슬 자리에서 물러난 문인들이 풍류적이며 향락적인 생활 감정을 현실도피적으로 읊은 노래이다.
기본 음률수가 3.3.4로서, 별곡체라는 독특한 음률과 구법(句法)을 가지는 경기체가의 효시가 되었다. 모두 8장으로 이루어졌으며, 시부(詩賦),서적(書籍),명필(名筆),명주(名酒),화훼(花卉),음악(音樂),누각(樓閣),추천(韆)의 순서로 각각 1장씩을 읊어 당시 한림의 생활상을 묘사하였다. 그러나 처음 3장까지만 문사들의 수양과 학문에 연관이 있고, 나머지 5장은 풍류라기보다 향락적인 내용으로 되었다. 또한 경기하여체가(景幾何如體歌), 곧 경기체가라는 호칭은 이 노래의 각 연의 끝이 ‘…경(景) 긔 엇더하니잇고’로 되어 있음에서 유래한다.
한림별곡은 당시의 귀족 계급의 생활상이 눈이 부시도록 호화찬란하게 그려져 있다. 곧 시장ㅅ 경, 간발ㅅ 경, 휴수동유 ㅅ 경 등 여덟 폭 병풍의 풍속도와도 같이 눈 앞에 전개된다. 매 장마다, '아아, ......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 하는 설의법 종지에 대하여는 '참으로 좋구나' 하는 대답이 절로 나오지 않을 수 없도록 넘치는 흥과 향락의 절정을 보여주고 있다. 제1장에서 제7장까지는 한자어의 나열로 당시의 명류를 열거하다가 제8장에 가서는 우리말을 중심으로 하는 표현으로 바뀌면서 그들의 정욕적이고 퇴폐한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표현면에서는 한문에 토를 단 듯한 느낌을 주지만 자구의 구사가 매우 다듬어지고 조화되어 있다. 전문이 한문으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금도 한문이라는 냄새를 느낄 수 없을 만큼 우리말의 결에 맞게 자연스러움을 느끼게 한다. 내용에서의 문학성은 빈약하다 하더라도, 이 조급한 듯하면서도 유유적적한 음악적 운율미는 높이 살 만하다.
● 작품 정리
* 출전 : 악장가사, 고려사 악지, 악학궤범
* 연대 : 고려 고종 2년(1216)
* 성격 : 과시적, 풍류적, 향락적
* 형식 : 경기체가, 별곡체, 8장의 분절체
* 작자 : 한림제유 (한림의 여러 유학자들이 공동으로 지은 작품)
* 주제 : 향락적인 풍류생활
* 내용: 시부(시인), 서적, 명필, 명주, 화훼(花卉), 음악, 누각, 추천
* 의의 : 경기체가의 최고의 현존 작품
● 시대적 배경
고려 고종 때는 어느 시기보다 내우외환의 고통이 심했다. 안으로는 무신의 집권과 밖으로는 몽고의 침입 등으로 국토가 유린되는 시대였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귀족 계급의 문화는 한문의 도입이 융성해지자, 난숙기에 달해 당시의 문신들은 집권 계급인 무신들의 문객으로서 그들의 호화로운 연락에 참여하여 현실에 영합하는 퇴폐적 향락에 취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자연 속에서 시와 술을 즐기며 현실도피적인 풍류를 일삼는 나약한 문사들이 되었다.
추천자료
[시가작품론]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음들을 중심으로-
나룻배와 행인의 작품설명 및 한용운의 작품관
[만해 한용운][만해 한용운 사상][한용운 작품세계]만해 한용운의 사상과 작품세계 분석 고찰...
굴원-어부사 작품전문해석 및 작가, 작품 소개
고산 윤선도 연구 - 생애, 시대적 배경, 문학관, 작가 및 작품론적 연구, 작품연구, 시조작품론
[영어시][영문시]영어시(영문시)의 어휘, 영어시(영문시)와 신고전주의, 영어시(영문시) THE ...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님 작품분석, 조선...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
[소설가][최서해][기아와 살육]소설가 최서해의 생애, 소설가 최서해의 작품경향, 소설가 최...
고려시대 시조 부벽루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사리화 작품...
[작품분석, 가시리]고려가요(고려속요) 동동 작품분석, 고려가요(고려속요) 가시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어부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강호가도, 훈민가 작품분석, 조...
캔터베리이야기,수도승(A Monk),canterbury tales,A monk, 영한대역,해설,영미문학
영화 『싸이코 (Psycho) 1960』의 영화사적 의미와 개인적인 평가를 서술하시오 _ 감독 :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