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의 시는 흐름과 떨어짐으로 인한 '유동성'을 지님. 곧, 정지적(靜止的)이고 객관적이 아니라 유동적, 가변적임
- 영랑의 이러한 표현은 김소월의 '풀따기'에서 그리움을 자라나는 풀과 흐르는 냇물에 비유한 것과 유사하다. 이 흐름 속에서 삶의 모습을 투영하고 있는 것이다.
- '가늘한 내음'에서 3연의 흐르는 마음이란 구절에서도 상실감에 젖은 마음의 유동성을 노래하고 있다.
- '춘향', '독을 차고' 등에서는 민족의 매서운 정신을 형상화함
6.25 전쟁 때 포탄에 맞아 숨짐
시 81편(이 중 60여 편은 강진에서 씀)
첫시집 <영랑 시집>(1935), 시와 산문집 <모란이 피기까지는>(1981)
유적지
1) 생가(전남 강진군 강진읍 남성리 211)
2) 시비(생가) : '모란이 피기까지는' 새김
3) 묘(서울 망우리 묘지 내) : 위치 확인 불명
4) 김영랑 시비(광주 광주공원) : '모란이 피기까지는' 새김
대표작 : '모란이 피기까지는', '가늘한 내음', '꽃',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내 마음을 아실 이', '오월', '독을 차고', '두견', '누이의 마음아 나를 보아라', '돌담에 소색이는(속삭이는) 햇발같이', '거문고' 등
- 영랑의 이러한 표현은 김소월의 '풀따기'에서 그리움을 자라나는 풀과 흐르는 냇물에 비유한 것과 유사하다. 이 흐름 속에서 삶의 모습을 투영하고 있는 것이다.
- '가늘한 내음'에서 3연의 흐르는 마음이란 구절에서도 상실감에 젖은 마음의 유동성을 노래하고 있다.
- '춘향', '독을 차고' 등에서는 민족의 매서운 정신을 형상화함
6.25 전쟁 때 포탄에 맞아 숨짐
시 81편(이 중 60여 편은 강진에서 씀)
첫시집 <영랑 시집>(1935), 시와 산문집 <모란이 피기까지는>(1981)
유적지
1) 생가(전남 강진군 강진읍 남성리 211)
2) 시비(생가) : '모란이 피기까지는' 새김
3) 묘(서울 망우리 묘지 내) : 위치 확인 불명
4) 김영랑 시비(광주 광주공원) : '모란이 피기까지는' 새김
대표작 : '모란이 피기까지는', '가늘한 내음', '꽃',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내 마음을 아실 이', '오월', '독을 차고', '두견', '누이의 마음아 나를 보아라', '돌담에 소색이는(속삭이는) 햇발같이', '거문고'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