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본문내용
고통과 슬픔을 통해서 성숙하고, 그 눈물은 인간의 영혼을 맑게 씻어 주는 역할을 한다는 삶의 역설적 의미를 잘 드러낸 작품이다. 이 시의 서정적 자아는 자신의 눈물이 부활의 씨앗이고 자신의 완전함이요, 사람이 가장 가장 순수하고도 근원적인 것임을 노래하고 있다.
김현승 시인이 아들을 잃은 후 지은 이 시는 삶의 환희보다는 눈물을 통한 역설적인 자기 성숙의 목소리를 차분히 드러내 주고 있다. 따라서, '웃음'이 잠시 피었다 스러지는 삶의 '꽃'이라면, '눈물'은 진실과 영원에 이르는 삶의 '열매'와 같다는 대조적 상징이 이 작품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나의 전체'와 '나의 가장 나아종 지니인 것'도 '눈물'뿐이라는 단정 속에서 시인은 눈물에 자신의 인격을 걸 만큼 소중한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김현승 시인이 아들을 잃은 후 지은 이 시는 삶의 환희보다는 눈물을 통한 역설적인 자기 성숙의 목소리를 차분히 드러내 주고 있다. 따라서, '웃음'이 잠시 피었다 스러지는 삶의 '꽃'이라면, '눈물'은 진실과 영원에 이르는 삶의 '열매'와 같다는 대조적 상징이 이 작품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나의 전체'와 '나의 가장 나아종 지니인 것'도 '눈물'뿐이라는 단정 속에서 시인은 눈물에 자신의 인격을 걸 만큼 소중한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