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중국 고대사 뿐만 아니라 현대사에 있어서도 여성의 정치적 역할은 제한적이다 못해 거의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잠시나마 唐제국의 명맥을 끊고 스스로 황제의 위에 올랐던 미증유의 여성황제가 있었으니 그녀가 바로 성신황제(聖神皇帝) 측천무후이다. 무측천(武則天: 624~705)의 본명은 무조(武照), 당(唐) 고종(高宗)의 황후에 불과하였으나 고종이 죽은 후에 황제에 등극하였다. 황제로 16년간 재위하였지만 실제로는 50여년간 집권을 한 중국역사상 유일무이한 여자황제이다. 그녀의 치적과 평가는 차지하고 먼저 시대적 배경과 출신내력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자. 그런 다음 그녀의 대한 일화와 황제가 되기까지의 과정, 측전무후의 정책을 두루 살펴본 다음, 객관적이고 현대적인 시각에서 그녀에 대해 재평가해보기로 하자.
본문내용
영구는 장안으로 운송되어 그녀의 유언에 따라 고종의 무덤인 건릉(乾陵: 지금의 서안시 서북쪽 건현乾縣 양산梁山에 있음)에 합장되었다. 무측천이 죽은 후 그녀의 휘호는 여러 번 바뀌었지만 후손들의 존경심은 바뀌지 않았다. 중종이 죽은 후 다시 황위에 올란 무측천의 막내 아들 예종 이단은 그녀의 존호를 "천후(天后)"라 하였다가 다시 "대성천후(大聖天后)에서 "천후황제(天后皇帝)", "성후(聖后)"라 하였다.
6. 측천무후에 대한 평가
측천무후는 중국 3천년 역사 가운데 유일무이한 여황제였다. 당시의 지나친 남성 우월사상은 여자의 정권계승은 꿈꿔보지도 못할 시대적 배경에서 여성황제의 탄생은 하늘에 별따기에 비유할만큼 어려운 일이다. 그러한 어려움 가운데서, 측천무후는 날카로운 지혜와 대담한 결단력과 야심, 자신의 정치적 능력에 의지하여 제위에 올랐으니 사회통념상 인정하기 어려운 사건이었다. 그렇다면 측천무후는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가?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고찰하기로 하자.
일단 측천무후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에 대해서 알아보자.
첫째, 확고한 통치기반을 위해 도입한 과거제를 통하여 출신보다 능력을 우선하여 우수한 인력을 등용하였다. 따라서 일반 서민들에게도 사회신분의 기회를 마련함으로써, 사회적 안정을 통해 제국의 질서가 굳건한 토대 위에서 유지되게 됐다.
둘째, 측천무후는 또한 산업발전, 특히 농업발전에 심혈을 기울였다. 적극적인 산업진흥정책 덕으로 그녀의 통치기간에 중국의 사회경제가 안정추세로 접어들었다.
셋째, 무측천은 변방강화를 위해 주변 이민적과의 관계 개선에 주력했다. 고종 재위시 그녀는 북방민족의 침략에 대해 단호하게 응징, 대처하는 동시에 적극적인 햇볕정책도 펼쳤다. 이 같은 유연한 기미정책의 실시로 제국사회의 안정에 이바지 하였다.
넷째, 문화적 측면에서 불교 장려의 일환으로 대단위 사원 공사를 벌이고 불교 행사의 거행으로 불교문화의 발전에 이바지 하였다.
이러한 업적에도 불구하고, 그녀가 후세의 사가들에 의해 혹평을 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첫째, 확고한 정치기반 마련을 위하여 지나친 숙청과 견제를 감행하여 반대세력의 반발을 부채질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둘째, 대규모 사찰공사로 인한 백성의 부담을 증대시켰으며, 사원경제가 국가의 통제를 벗어날 만큼 지나치게 확장되는 것을 방조했다. 더욱이 그녀의 통치말기에 친족들의 권력남용은 절정에 달했다.
셋째, 황제가 되기까지의 과정에서 자신의 앞날에 장애가 되면 과감하게 숙청하여 도덕적·윤리적 측면에서의 결함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한사람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내리기란 대단히 어려운 작업이다. 그것은 예컨대 그것은 동전의 양면에 비유할 수 있을것이다. 대단위 사원공사가 불교문화 발전에 이바지하는 반면, 민생고의 어려움을 야기하듯이... 그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한사람이 장점만을 가진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볼 때 측천무후는 생전의 가혹한 행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정치가, 지도자로써 황제라는 지위에 걸맞는 인물이라고 평가해야 할 것이다.
6. 측천무후에 대한 평가
측천무후는 중국 3천년 역사 가운데 유일무이한 여황제였다. 당시의 지나친 남성 우월사상은 여자의 정권계승은 꿈꿔보지도 못할 시대적 배경에서 여성황제의 탄생은 하늘에 별따기에 비유할만큼 어려운 일이다. 그러한 어려움 가운데서, 측천무후는 날카로운 지혜와 대담한 결단력과 야심, 자신의 정치적 능력에 의지하여 제위에 올랐으니 사회통념상 인정하기 어려운 사건이었다. 그렇다면 측천무후는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가?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고찰하기로 하자.
일단 측천무후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에 대해서 알아보자.
첫째, 확고한 통치기반을 위해 도입한 과거제를 통하여 출신보다 능력을 우선하여 우수한 인력을 등용하였다. 따라서 일반 서민들에게도 사회신분의 기회를 마련함으로써, 사회적 안정을 통해 제국의 질서가 굳건한 토대 위에서 유지되게 됐다.
둘째, 측천무후는 또한 산업발전, 특히 농업발전에 심혈을 기울였다. 적극적인 산업진흥정책 덕으로 그녀의 통치기간에 중국의 사회경제가 안정추세로 접어들었다.
셋째, 무측천은 변방강화를 위해 주변 이민적과의 관계 개선에 주력했다. 고종 재위시 그녀는 북방민족의 침략에 대해 단호하게 응징, 대처하는 동시에 적극적인 햇볕정책도 펼쳤다. 이 같은 유연한 기미정책의 실시로 제국사회의 안정에 이바지 하였다.
넷째, 문화적 측면에서 불교 장려의 일환으로 대단위 사원 공사를 벌이고 불교 행사의 거행으로 불교문화의 발전에 이바지 하였다.
이러한 업적에도 불구하고, 그녀가 후세의 사가들에 의해 혹평을 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첫째, 확고한 정치기반 마련을 위하여 지나친 숙청과 견제를 감행하여 반대세력의 반발을 부채질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둘째, 대규모 사찰공사로 인한 백성의 부담을 증대시켰으며, 사원경제가 국가의 통제를 벗어날 만큼 지나치게 확장되는 것을 방조했다. 더욱이 그녀의 통치말기에 친족들의 권력남용은 절정에 달했다.
셋째, 황제가 되기까지의 과정에서 자신의 앞날에 장애가 되면 과감하게 숙청하여 도덕적·윤리적 측면에서의 결함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한사람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내리기란 대단히 어려운 작업이다. 그것은 예컨대 그것은 동전의 양면에 비유할 수 있을것이다. 대단위 사원공사가 불교문화 발전에 이바지하는 반면, 민생고의 어려움을 야기하듯이... 그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한사람이 장점만을 가진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볼 때 측천무후는 생전의 가혹한 행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정치가, 지도자로써 황제라는 지위에 걸맞는 인물이라고 평가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영화 ‘인생’과 중국 역사에 관하여
[조선족, 중국] 중국 조선족의 역사적 배경과 현황
중국 영화 역사
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역사 재현 시도- 여성이론가 김경미를 중심으로
한국 역사 속의 여성 (북한의 여성)
도읍지(수도)의 변천사를 통해 고찰한 중국의 역사
[중국현대사]아편전쟁 이후부터 5.4운동 이전까지 중국 현대 역사상 발생한 사건 - 양무운동
중국무협지의 발달과정과 역사
중국과아프리카외교,중국과아프리카외교현황,중국 아프리카 외교역사
[중국, 일본, 농업, 근대화, 역사인식, 역사왜곡]중일농업(중국과 일본의 농업), 중일근대화(...
[세계의 역사 B형] 2013년 한 해 동안 중국에서 일어난 사건이나 현상들 중 하나를 선택, 그...
중국 송제국의 역사 - 송(宋)의 건국에서 멸망까지 (송나라, 송 태조, 송 주변국과의 관계, ...
티베트와 중국: 티베트의 역사와 현재 중국과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