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봉제 도입 및 운영 실태
2. 성과배분제 도입 및 운영 실태
3. 연봉제 및 성과배분제의 효과 및 문제점
2. 성과배분제 도입 및 운영 실태
3. 연봉제 및 성과배분제의 효과 및 문제점
본문내용
공부문이 35.1%로 민간부문 23.1%보다 12%P 높고, 민간부문중에는 30대그룹이 50.2%로 기타 업체 21.7%보다 2배이상 높음
구 분
조사업체(개소)
도입업체(개소)
비율(%)
01년
02년
그룹구분
30대그룹사
305
153
44.1
50.2
기타
4,693
1,019
20.3
21.7
공공/민간
공공부문
148
52
36.2
35.1
민간부문
4,850
1,120
21.3
23.1
기업규모별로는 규모가 클수록 성과배분제 실시 비율이 높음
- 5000인이상 사업장이 62.5%로 가장 높고, 100∼299인 사업장이 가장 낮음
구 분
조사업체수
도입업체(개소)
비율(%)
01년
02년
100∼299인
3,594
736
18.9
20.5
300∼499인
616
164
24.4
26.6
500∼999인
440
119
30.5
27.0
1000∼4999인
316
133
33.9
42.1
5000인이상
32
20
43.6
62.5
적용단위는 회사전체가 54.6%, 부서단위 19.5%, 사업부단위 13.8%로 나타남.
구 분
회사전체
사업부
부서단위
비율(%)
54.6
13.8
19.5
적용대상 직종은 전 직종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72.9%로 가장 많음.
구 분
전 직종
관리사무직
영업직
전문직
생산직
비율(%)
72.9
5.2
11.0
3.2
5.7
적용대상은 전체근로자의 50%이상을 적용하는 경우가 82.3%임.
구 분
30%미만
30∼50%미만
50∼70%미만
70%이상
전체인원대비(%)
7.3
5.5
4.6
77.7
기업의 성과목표는 회사에서 일방적으로 결정하기 보다는 노사간 협의를 거쳐 결정하는 경우가 대부분(65.9%)임.
구 분
회사에서 일방적으로 결정
노사협의회를 거쳐 회사가 결정
노사간 협의로 결정
비율(%)
17.7
32.5
33.4
성과목표는 이익(72.0%), 매출액(60.9%)이 대부분을 차지
구 분
이 익
매출액
부가가치
(생산성)
비용절감
품질관리
성과기준
(복수응답)
72.0
60.9
40.8
30.3
18.4
3. 연봉제 및 성과배분제의 효과 및 문제점
연봉제 및 성과배분제의 도입으로 직원의 태도변화 , 임금관리의 효율성 제고 , "생산성 향상"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는 반면, 인건비 감소는 적은 것으로 나타남.
연봉제의 경우 실적평가가 어렵고, 성과배분제는 성과배분의 기준마련(49.9%)과 성과상여금의 고정급화 우려(23.3%)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구 분
조사업체(개소)
도입업체(개소)
비율(%)
01년
02년
그룹구분
30대그룹사
305
153
44.1
50.2
기타
4,693
1,019
20.3
21.7
공공/민간
공공부문
148
52
36.2
35.1
민간부문
4,850
1,120
21.3
23.1
기업규모별로는 규모가 클수록 성과배분제 실시 비율이 높음
- 5000인이상 사업장이 62.5%로 가장 높고, 100∼299인 사업장이 가장 낮음
구 분
조사업체수
도입업체(개소)
비율(%)
01년
02년
100∼299인
3,594
736
18.9
20.5
300∼499인
616
164
24.4
26.6
500∼999인
440
119
30.5
27.0
1000∼4999인
316
133
33.9
42.1
5000인이상
32
20
43.6
62.5
적용단위는 회사전체가 54.6%, 부서단위 19.5%, 사업부단위 13.8%로 나타남.
구 분
회사전체
사업부
부서단위
비율(%)
54.6
13.8
19.5
적용대상 직종은 전 직종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72.9%로 가장 많음.
구 분
전 직종
관리사무직
영업직
전문직
생산직
비율(%)
72.9
5.2
11.0
3.2
5.7
적용대상은 전체근로자의 50%이상을 적용하는 경우가 82.3%임.
구 분
30%미만
30∼50%미만
50∼70%미만
70%이상
전체인원대비(%)
7.3
5.5
4.6
77.7
기업의 성과목표는 회사에서 일방적으로 결정하기 보다는 노사간 협의를 거쳐 결정하는 경우가 대부분(65.9%)임.
구 분
회사에서 일방적으로 결정
노사협의회를 거쳐 회사가 결정
노사간 협의로 결정
비율(%)
17.7
32.5
33.4
성과목표는 이익(72.0%), 매출액(60.9%)이 대부분을 차지
구 분
이 익
매출액
부가가치
(생산성)
비용절감
품질관리
성과기준
(복수응답)
72.0
60.9
40.8
30.3
18.4
3. 연봉제 및 성과배분제의 효과 및 문제점
연봉제 및 성과배분제의 도입으로 직원의 태도변화 , 임금관리의 효율성 제고 , "생산성 향상"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는 반면, 인건비 감소는 적은 것으로 나타남.
연봉제의 경우 실적평가가 어렵고, 성과배분제는 성과배분의 기준마련(49.9%)과 성과상여금의 고정급화 우려(23.3%)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추천자료
연봉제의 허와 실
연봉제와 임금관리에 관한 내용과 사례
[연봉제][일본 연봉제 사례][동양제과 연봉제][LG의 연봉제]연봉제의 특징, 연봉제의 장단점,...
[연봉제][연봉제 사례]연봉제의 배경, 연봉제의 기대효과, 연봉제의 도입효과, 연봉제의 요소...
[연봉제][선진국과 연봉제 비교]연봉제의 필요성, 연봉제의 배경, 연봉제의 장단점, 연봉제의...
[연봉제][연봉제 사례][연봉제 도입][연봉][임금체계][임금제도]연봉제 사례로 본 연봉제의 ...
[연봉제][연봉제도][미국 연봉제 사례]연봉제의 의미, 연봉제의 도입배경, 연봉제의 기본구조...
[연봉제][연봉제도입][한국연봉제][연봉제사례]연봉제의 필요성, 연봉제의 요소, 유형과 연봉...